•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7월 13일,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는 제52차 중앙생활보장위원회를 개최, ’17년도 기준 중위소득을 4인 가구 기준 447만원으로, ’16년 대비 7.6만원 인상(1.73%↑)하기로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기준 중위소득은 보건복지부 장관이 국토교통부, 교육부, 기획재정부 등 관계부처 및 민간위원들로 구성된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고시하는 국민 가구소득의 중위값으로,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자료를 기준으로 ’15년 중위소득에 과거 3개년(’12~’15년) 중위소득의 평균증가율을 반영하여 결정된다.

중앙생활보장위원회는 기준 중위소득과 함께 ’17년도 급여별 선정기준 및 급여수준도 확정하였다.

급여별 선정기준은 기준 중위소득 대비 비율을 적용하며, 기준 중위소득 대비 생계는 30%(’16년 29%), 의료는 40%(’16년 동일), 주거는 43%(’16년 동일), 교육은 50%(’16년 동일) 이하 가구이다.

4인 가족을 기준으로 할 때 급여별 선정기준은 생계 134만원, 의료 179만원, 주거 192만원, 교육 223만원 이하 가구이다.

가구원수에 따른 급여별 선정기준 금액은 아래 표와 같다.

생계급여는 선정기준이 곧 최저보장수준으로, 중위소득의 29%에서 30%로 인상됨에 따라 최대 급여액이 4인 가족 기준 127만원에서 134만원으로 인상(66,698원↑)되어 보장성이 강화된다.*

* 생계급여 최저보장수준은 ’17년까지 기준 중위소득의 30%로 단계적 인상하기로 한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부칙에 따라 ’16년 29% → ’17년 30%로 1%p 인상

의료급여는 종전과 동일하게 급여대상 항목에 대한 의료비 중 수급권자 본인 부담 금액을 제외한 전액을 지원한다.

주거급여 최저보장수준은 ’16년 임차가구 기준임대료에 최근 3년간(’12~’15년) 주택임차료 상승률을 반영하여, 약 0.3~0.9만원 상승하였다.

자가가구의 경우 주택 노후도에 따라 구분한 보수범위(경/중/대보수)별 수선비용을 올해와 동일한 수준으로 지급한다.

교육급여 최저보장수준은 최근 3년 평균 교육분야 물가상승률(1.5%)을 감안하여 학용품비·교과서대 단가를 상향하고, 부교재비의 경우 단가 현실화를 위해 5%를 인상하였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17년 기준 중위소득 및 선정기준, 최저보장수준이 인상됨으로써 조금 더 두터운 보호가 가능할 것이라 기대된다.”고 밝혔다.

기초생활보장 맞춤형 급여 신청은 주민등록 주소지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가능하며, 문의사항이 있을 경우 보건복지콜센터(국번없이 129), 주거급여 콜센터(1600-0777)을 이용하면 된다.

 

[국토교통부 2016-07-1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100 이상 작동하는 ㈜코웨이 음식물처리기 부품 무상 교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26 143
13099 설 맞아 전국 467개 전통시장 주변도로 주차 허용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6 143
13098 후원방문판매업자 정보공개에 관한 고시 개정안 행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17 142
13097 치과 임플란트 분쟁, 10건 중 4건은 부작용으로 시술 중단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06 142
13096 '16년 7월 항공여객 950만 명으로 43.2%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9.02 142
13095 음주 영향 알코올 간질환자, 50대 이상 64.4% 차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8 142
» 기초수급자, '17년 생계급여 '16년 대비 5.2% 인상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14 142
13093 ´6살에 만나는 평생건강 친구´ 만 6세에 나오는 첫 영구치 어금니, 백세까지 간직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09 142
13092 과자, 중국 수출 더 쉬워진다 - 중국 정부, 과자류 미생물 기준 완화 -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30 142
13091 파티접시 자발적 제품 회수 및 환급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18 142
13090 15개 산후도우미업체의 불공정약관 시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09 142
13089 2016년 3월 소비자상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25 142
13088 1381 인증·표준 콜센터 2년, 상담 업 (up), 서비스 업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29 142
13087 편의점 즉석섭취식품 안전한 수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25 142
13086 2016년 봄·여름 바뀌는 항공편, 확인하고 타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25 142
Board Pagination Prev 1 ...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