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청소년건강행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청소년 신체활동 추이와 관련 요인」을 주제로 2025년 「국민건강통계플러스」 첫 요약통계를 발간하였다.

「국민건강통계플러스」는 국가건강조사 결과를 정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도록 건강수준 변화를 다각적으로 분석한 보고서로, 2021년부터 매년 발간*되고 있다.

  * 요약통계, 현안보고서, 심층보고서 등 세 가지 형태로 발간

[신체활동 추이, 2015~2024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는 매년 유산소 신체활동(하루 60분 이상 신체활동, 고강도 신체활동), 근력강화운동, 주중/주말 앉아서 보낸 시간 등을 조사하여 신체활동 현황을 파악한다.

특히 2022년에는 신체활동 심층조사를 실시하여 ▲걷기 실천 일수, ▲등하교/등하원 시 신체활동 일수, ▲학교 체육수업시간 직접 운동 참여 횟수, ▲학교 스포츠 활동팀 참여 개수 등을 추가로 조사하였다.

최근 10년 간(2015~2024년) 신체활동 실천율(하루 60분 주 5일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 주 3일 이상 근력강화운동 실천율)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높았다. 

특히, 중학교 남학생의 신체활동 실천율 증가 폭이 큰 반면, 고등학교 여학생은 뚜렷한 변화 없이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었다.

국외 청소년과 비교했을 때, 우리나라 청소년의 신체활동 실천율은 146개 국가 중 가장 낮았고(WHO, 2016년 기준)*, 고등학생의 신체활동 실천율은 미국에 비해 약 30%p(YRBS, 2023년 기준)** 낮은 수준이었다(붙임 2 참고)

  * 세계보건기구(WHO)의 청소년(11-17세) 신체활동 실천율(매일 60분 이상 중강도 이상의 신체활동) 자료
    (출처: Lancet Child Adolesc Health 2020; 4:23–35)

 ** Youth Risk Behavior Survey(YRBS), 우리나라 청소년건강행태조사와 유사한 조사로 2년 주기 실시

[신체활동 참여 정도와 건강행태] 

신체활동 심층조사 결과(2022년 기준), 매일 10분 이상 걷기를 실천하는 청소년은 남학생 59.8%, 여학생 55.2%이었고, 주 1회 이상 학교 체육수업 시간에 직접 운동을 한 경우는 남학생 82.3%, 여학생 79.3%이었다.

일상생활에서 신체활동과 학교에서의 체육활동 참여 정도에 따라 참여*와 미참여 군으로 구분 시, 걷거나 체육활동 등에 적극 참여한 학생은 미참여 군에 비해 아침식사 결식, 스트레스 인지 등이 낮아 건강행태가 더 양호하였고, 비만율도 참여군 10.3%, 미참여 군 11.8%로 참여군에서 더 낮았다.

 * (신체활동 참여군) 주 5일 이상 10분 이상 걷기 실천, 주 5일 이상 등하교/등하원 시 신체활동, 주 3회 이상 학교 
   체육수업 시간 직접 운동 참여, 1개 이상 학교 스포츠 활동팀 참여를 모두 충족

[신체활동 관련 요인]

하루 60분 주 5일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 관련 요인은 성별, 걷기 실천, 등하교/등하원 시 신체활동, 학교에서 체육‧스포츠 활동팀 참여, 주중 학습 목적 이외 좌식 활동 시간 등이었다.

특히, 일상생활에서 매일 10분 이상 걷기를 실천한 학생은 주 5일 미만에 비해 신체활동 실천율이 약 3배 높았고, 학교에서 체육수업 시간 직접 운동 참여 횟수(주 3회 이상), 스포츠 활동팀 참여 개수(2개 이상)가 많은 학생은 참여하지 않은 학생에 비해 실천율이 약 2.5배 더 높았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최근 10년간 청소년의 신체활동 실천율 증가는 긍정적인 변화이지만 여전히 개선이 필요한 수준”이라며, “일상생활에서 신체활동과 학교에서의 체육활동의 적극적 참여는 정신건강, 비만 등 건강지표에도 바람직한 영향을 미치므로, 청소년의 신체활동 증가를 위해 학교‧가정·지역사회의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 하다”고 강조하였다.

아울러 “학교 체육활동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체육‧스포츠 활동 관련 문항을 3년 주기에서 매년 조사로 변경하고, 2025년에 실시하는 신체활동 심층조사 결과를 상세 분석하여「청소년건강행태조사 결과발표회」를 통해 공유하는 등 청소년 건강정책 근거 생산 강화 및 관련 부처와 적극 협력해 나갈 계획이다”고 덧붙였다. 

「국민건강통계플러스」 및 국가건강조사 관련 보고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누리집(https://knhanes.kdca.go.kr)에서 내려받아 활용 가능하다.



[ 질병관리청 2025-03-2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794 질병관리청과 함께하는 손상예방 캠페인 “모두 헬멧 쓰고 타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03 75
14793 ‘아이돌봄사’ 국가자격제, 민간 서비스기관 등록제 도입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03 64
14792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구매권(바우처), 사용이 더욱 편리해집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03 64
14791 음식점, 편의점 등에서 신분증 확인 요청하면 협조해 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03 64
14790 소상공인 대상 신용평가등급 발급 서비스 등 혁신금융서비스 4건 신규 지정 의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03 64
14789 「개인채무자보호법」 계도기간은 종료('25.4.16일)하되, 새로운 제도가 현장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03 58
14788 국세청이 콕 짚어 주는 성실신고 핵심 포인트, 신고에 반영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03 59
14787 결혼준비대행업(웨딩플래너) 표준계약서 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03 65
14786 4월은 '법인지방소득세' 신고·납부의 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02 81
14785 2025년 3월 소비자물가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02 72
14784 산불 피해지역 위기극복 ‘고향사랑기부’로 함께할 수 있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01 80
14783 맥주효모 · 비오틴 식품, 모발 건강 효과와 무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01 39
14782 우리 동네 편의점에서 고립·은둔 청소년 상담 번호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01 42
14781 청소년 매체이용률 1위는 ‘짧은 영상(숏폼)’, 절반 생성형 인공지능(AI) 사용 ‘2024년 청소년 매체이용 및 유해환경 실태조사’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01 29
14780 생활 속 불편한 법령에 대한 국민의 의견을 기다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01 3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990 Next
/ 99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