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는 상업‧산업용 로봇 등 정보통신기술 기기의 무선충전기 인증 기준을 기존 50와트(W) 이하에서 1킬로와트(㎾) 이하 제품까지 확대하는 내용의 제도개선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제도개선은 상업‧산업용 로봇 등의 이용 활성화와 사용자 편의를 위해  무선충전 인증 기준을 전격 개선한 것으로, 관련 고시* 개정 후 3월 27일부터 시행된다.


* ▲ 통신설비 외의 전파응용설비 중 허가가 필요하지 아니한 설비 및 기기 고시(제3조제1항제7조 신설) 

  ▲ 방송통신기자재등의 적합성평가에 관한 고시(별표1의 11. ‘인증대상기자재’ 항목 신설)


기존에는 50와트(W) 초과 무선충전기는 사용자가 설치 장소마다 별도로 허가를 받아야 사용할 수 있었으나, 이번 고시개정으로 1킬로와트(㎾) 이하 무선충전기는 인증 제품을 구매하여 바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배달‧접대 로봇 등을 사용하는 소상공인은 무선충전기를 설치할 경우, 최대 24일에 걸쳐 설치 장소마다 허가를 받아야 하는 불편을 겪지 않고, 제조사에서 적합성평가 인증을 받은 제품을 구매해 바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과기정통부는 지난해 9월부터 산업계 요청을 반영하여 전문가들과 함께 무선충전기의 전자파적합성 시험 기준, 안전성 검증 방법 등을 검토하여 1킬로와트(㎾) 이하 무선충전기의 적합성평가 인증 기준을 마련하였다. 인증제 시행 이후에는 인증 시험을 엄격히 관리하고, 출시 제품에 대한 사후관리도 철저히 진행해 국민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무선충전기는 유선충전기에 비해 누전, 감전 위험이 적고, 먼지, 누수 등으로 인한 고장 위험이 낮아 배달·접대 로봇 등을 사용하는 상업 시설(식당, 카페 등)이나 물류 로봇을 사용하는 산업 환경(지능형 공장<스마트팩토리>, 물류창고 등)에서 활용도가 높다. 특히, 자동화 충전이 가능해 충전 관리 인력의 감축, 로봇 가동률 증가가 기대된다. 


또한 충전관리의 어려움이 있던 해상 풍력발전기 점검용 드론, 산불 및 산림 감시용 드론, 치안 및 안전용 드론 등의 이용 기반도 개선되어 안전·안보 분야에서 활용성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규제개선으로 국내 무선충전기술이 이동전화, 무선제품 등 일반 기기에서 로봇, 드론, 전기차와 같이 고출력 기기에 이르기까지 편리하게 활용될 수 있는 기반이 확보되어 산업적 발전 가능성도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 해외 시장조사기관에 따르면 이동 로봇시장은 연평균 20% 이상 성장해 ‘30년까지 해외 682억 달러(’23, 196억 달러), 국내 27억 달러(’23, 8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며, 이와 관련한 무선충전 시장도 해외 277억 달러(’23, 61억 달러), 국내 10억달러(’23, 3억 달러)까지 성장할 전망(출처 : ‘24 Allied Market Research)


과기정통부 김남철 전파정책국장은 “현재 상업시설이나 산업현장에서 별도 허가 없이도 로봇 등 다양한 정보통신기술 기기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를 충전하기 위한 무선충전기는 설치 장소마다 허가를 받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산업 발전에 큰 걸림돌이었다.”면서,


“이번 제도개선으로 시장 활성화를 가로막는 애로사항을 선제적으로 해소하여 정보통신기술 산업 활성화 기반을 조성해 나가고자 하며, 앞으로도 관련 기술의 개발과 확산이 이어지도록 적극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5-03-2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4 「모바일 공무원증」 4월 1일부터 전국 확대 운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26 10
93 로보어드바이저가 퇴직연금을 자동으로 운용해주는 새로운 연금투자 방식이 시행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27 9
92 농촌 단독주택 규제 풀고, 농공단지 건폐율 높인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27 10
91 2024년 디지털 정보격차·웹 접근성·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27 11
» 무선충전 제도개선으로 배달·접대·물류 로봇의 무선충전 활성화 기반 마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27 7
89 어려울 때 찾는 ‘대국민 법령 내비게이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27 8
88 사회보장급여 적정성 확인을 위한 2025년 상반기 정기 확인조사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27 7
87 많이 걷고, 학교 체육활동 적극 참여하면 정신건강, 비만 등 건강지표에 긍정적 영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27 11
86 '24년 3/4분기 「생활인구」 산정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27 8
85 2023년 일자리행정통계 임금근로자 부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27 8
84 주민센터 갈 때 실물 신분증 없이 '모바일 신분증'만 간편하게 챙기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27 8
83 기획부동산·미끼매물 의심되면 통합 신고센터에 신고하세요(부동산소비자보호기획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27 11
82 스팸 신고, 6개월 만에 약 30% 급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28 7
81 이동통신 3사 위치정보, 신속?정확해졌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28 7
80 청소년 42%?성인 13% 사이버폭력 경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28 7
Board Pagination Prev 1 ... 979 980 981 982 983 984 985 986 987 988 ... 990 Next
/ 99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