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이 2024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이하 ‘CISS’)에 접수된 위해정보를 분석해 일상 속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주의를 당부했다. 

* CISS(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58개 병원, 52개 소방서, 2개 유관기관 등 112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 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분석·평가하는 시스템

 ☐ 전 연령대에서 안전사고 다발장소가 가정으로 나와
  
2024년 CISS에 접수된 소비자 위해정보는 총 85,639건으로, 전년(79,264건) 대비 8% 증가해 최근 5년 중(2020~2024년)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20년70,022건→’21년74,000건(5.7%↑)→’22년78,591건(6.2%↑)→’23년79,264건(0.9%↑)→’24년85,639건(8.0%↑)
  
생애주기별* 위해 발생 장소를 분석한 결과, 모든 연령대에서 가정(주택) 내 안전사고가 가장 많았다. 특히 신체적 제약으로 부상의 위험이 큰 ‘영유아’(75.0%)와 ‘고령자’(68.4%)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신체적·행동적·환경적 요인에 의한 유사성을 고려해 연령분석이 가능한 63,804건으로 생애주기별 분석 수행
  영유아(0~5세), 어린이(6세~12세), 청소년(13세~18세), 청년(19세~34세), 성인(35세~64세), 고령자(65세~)

☐ 가정 내 ‘영유아’ 추락사고, 2명 중 1명은 침대에서 발생
  
세부적으로 ‘영유아’의 가정 내 안전사고(7,830건)의 주요 원인은 추락(3,252건, 41.5%)으로, 특히 침대(1,550건, 47.7%)에서 추락하는 사고가 전체 추락 사고의 절반 가까이 차지했다.
  
최근 주목할 점은 ‘옷 갈아입히는 테이블(기저귀 교환대)’(144건, 4.4%)에서 추락하는 사고가 2021년(51건) 대비 182.4% 증가*한 것인데, 주로 기저귀를 갈아입히는 동안 영유아가 낙상하는 사례가 많아 보호자의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 ‘22년 51건 → ‘23년 125건(145.1%↑)  → ‘24년 144건(15.2%↑)

☐  ‘고령자’ 미끄러짐 사고에 주의, 특히 욕실에서 전년 대비 116.5% 증가
 
‘고령자’의 가정 내 안전사고(10,751건) 원인으로는 ‘미끄러짐·넘어짐’ (7,423건, 69.0%)이 가장 많았다.
  
특히 ‘욕실’(3,338건, 45.0%)에서 발생한 안전사고가 전년(1,542건) 대비 116.5% 증가했는데, 주로 욕실 바닥에서 미끄러지거나(3,174건) 문틀에 걸려 넘어지는 사고(86건)였다.

☐ 가정 내 추락·미끄러짐 안전사고, 무엇보다 ‘사전 예방’이 최우선
  
실내 생활이 비교적 많은 영유아와 고령자는 가정 내 안전사고에 특히 취약하므로 사전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위해 가정 내 설치된 가구 등의 위해요소를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침대에는 낙상 방지를 위한 안전 난간과 충격 흡수용 바닥 매트 설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욕실에는 미끄럼 방지 타일(스티커)을 부착하고, 밝은 조명을 설치하며, 사용 후 물기를 즉시 제거하는 등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 
  
한국소비자원은 앞으로 ‘영유아’와 ‘고령자’의 안전사고를 집중 분석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에 발간되는 「2024년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및 통계 분석집」의 자세한 내용은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 누리집(www.ciss.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자세한 내용은 한국소비자원 CISS 홈페이지 내 ‘안전이슈’ - ‘소비자위해동향’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한국소비자원 2025-03-2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966 식품원료로 사용할 수 없는 ‘갑오징어 뼈’ 사용 식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4 2025.04.03
4965 유명인 무료강연을 활용한 브리핑 영업 방식 보험상품 판매에 대한 소비자 경보 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3 2025.04.02
4964 주요 민원사례로 알아보는 소비자 유의사항 - 보험계약대출 관련 유의사항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5 2025.04.01
4963 잔류농약 기준 초과 검출된 수입 '영지버섯(불로초)' 회수 조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6 2025.03.31
4962 필라테스 ‘폐업’ 관련 소비자피해 급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5 2025.03.31
4961 프리마켓 시간대 거래시 주가 급등락에 따른 추종매매 유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5 2025.03.28
4960 식중독균 검출된 고춧가루 회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6 2025.03.28
4959 봄철 배달음식 식중독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3 2025.03.28
4958 올해 첫 일본뇌염 매개모기 발견! 예방 수칙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1 2025.03.28
4957 땜납부에 납이 과다 함유된 휴대용 미니 저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3 2025.03.27
4956 땜납부에 납이 과다 함유된 거짓말 탐지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3 2025.03.27
4955 파손 가능성이 있는 Asics 럭비화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4 2025.03.27
4954 감전 위험이 있는 왁스 워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1 2025.03.27
4953 감전 위험이 있는 GW 헤어 드라이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1 2025.03.27
4952 “상조서비스 가입 시 계약내용 꼼꼼히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2 2025.03.27
4951 선불식 할부거래분야 결합상품 피해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1 2025.03.27
4950 과도한 농도의 납이 함유된 유아용 헤드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3 2025.03.26
4949 전선 분리로 인한 감전 및 화재 우려가 있는Vornado 히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2 2025.03.26
4948 땜납부에 과도한 농도의 납이 함유된 Sonoff 보안 카메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2 2025.03.26
4947 라벨 미표기 우유 성분을 함유한 Pearl Milling Company 팬케이크 & 와플 믹스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5.03.2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51 Next
/ 25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