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은 본격적인 캠핑 시즌이 시작되는 봄철을 맞이해 캠핑장 안전사고에 주의를 당부했다. 
  
최근 5년간(2020년~2024년)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캠핑장 관련 안전사고는 총 409건으로 매년 지속적으로 접수*되고 있다.

  * 연도별 위해접수(건) : (’20년) 77건 → (’21년) 66건 → (’22년) 101건 → (’23년) 93건 → (’24년) 72건

※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58개 병원, 52개 소방서, 2개 유관기관 등 112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분석‧평가하는 시스템

특히 ‘화재‧발연‧과열‧가스’로 인한 안전사고는 3월에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나 춥고 건조한 봄철 캠핑 시 화재 등에 대한 소비자의 주의가 필요하다.

☐ 안전사고에 따른 증상은 ‘화상’과 ‘열상(찢어짐)’이 절반 이상
  
안전사고 원인을 세부 분석한 결과, ‘미끄러짐‧넘어짐’이 21.1%(86건)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고온물질’ 16.9%(69건), ‘추락’ 16.4%(67건), ‘가스누설 및 폭발’ 11.3%(46건) 등의 순이었다.

안전사고로 위해를 입은 380건을 세부 분석한 결과, ‘화상’을 입은 사례가 30.0%(114건)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열상(찢어짐)’이 29.2%(111건)로 나타나 ‘화상’과 ‘열상(찢어짐)’이 절반 이상(59.2%, 225건)을 차지했다.
  
특히 ‘중독’은 2.1%(8건)로 비중은 낮으나 모두 일산화탄소 중독 사고 사례로, 사망, 의식소실 등 중대한 피해로 이어질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난방‧가열을 위한 캠핑용품 사용 중 안전사고가 가장 많아
  
안전사고 발생 품목을 분석한 결과, 난로, 화로대, 야외용 버너, 부탄가스, 토치 등 난방이나 취사를 위한 가열(점화 등) 목적의 캠핑용품 사용 중 사고가 가장 많이(32.0%, 131건) 발생했다. 이에 캠핑장에서 난방‧가열용품 사용 시 소비자의 주의가 필요했다.

☐ 안전사고는 가족 단위로 놀러간 ‘어린이(만 13세 미만)’에게 가장 많이 발생
  
연령이 확인된 안전사고 392건 중 절반 이상(61.2%, 240건)이 ‘만 13세 미만의 어린이’에게 발생하였으며, 다음으로 ‘30~40대’가 22.4%(88건)를 차지하였다.
  
이는 ‘30~40대’ 부모가 ‘만 13세 미만의 어린이’인 자녀와 함께 가족 단위로 캠핑을 즐기다 안전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보여 보호자의 주의와 관찰이 요구된다.
  
한국소비자원은 캠핑장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어린이가 캠핑장에서 넘어지거나 화상을 입지 않도록 지도‧관찰할 것, ▲텐트, 의자, 해먹 등을 평평한 곳에 설치하고 고정 줄에 걸려 넘어지지 않도록 조치할 것, ▲텐트 등 밀폐된 공간에서 연소성인 숯, 장작, 석유(등유), 가스로 난방을 하지 말 것 등을 당부했다.

물품 등의 사용 중 안전사고를 경험하였거나 사고 우려가 있는 경우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에 제보 혹은 신고할 수 있습니다.

  [위해정보 신고]
• (홈페이지) www.ciss.go.kr 에서 ‘위해정보 신고하기’ 클릭
• (핫라인) 국번없이 080-900-3500



[ 한국소비자원 2025-03-1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29 사고 위험이 있는 Dunlop 오토바이 타이어(5)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25.03.13
328 자연산 민물고기 날로 먹지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7 2025.03.17
327 코드 끝의 균열으로 파손 우려가 있는 헤어드라이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8 2025.03.17
326 주의 표시 누락으로 익사 위험이 있는 반려견용 휴대용 수영장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25.03.17
325 뚜껑에서 기준치를 초과한 증발잔류물이 검출된 캠핑용 물통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25.03.17
324 기준치를 초과한 이산화황이 함유된 머스타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8 2025.03.17
323 시력 손상 위험이 있는 프로젝터 조명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9 2025.03.17
322 자연산 민물고기 날로 먹지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8 2025.03.18
321 선불업 등록 처리 상황 및 소비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3 2025.03.19
» 봄철 캠핑, 화상과 일산화탄소 중독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5.03.19
319 주)문화상품권의 선불업 미등록 관련 조치사항 및 소비자 유의사항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2 2025.03.20
318 주요 민원사례로 알아보는 소비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25.03.20
317 익사 위험이 있는 반려동물용 수영장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3 2025.03.20
316 감전 위험이 있는 헤어 스타일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0 2025.03.20
315 에틸렌옥사이드 검출된 WAIWAI 인스턴트 라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6 2025.03.20
314 땜납부에 과도한 농도의 납이 함유된 LED 확대경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25.03.20
313 땜납부에 과도한 농도의 납이 함유된 차고 리모컨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1 2025.03.20
312 2024년 자동차 고의사고 보험사기 조사 결과 및 소비자 대응 요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7 2025.03.21
311 식중독균 검출된 견과류가공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3 2025.03.24
310 제조일자 없는 튀김부각·김부각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2 2025.03.24
Board Pagination Prev 1 ...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 263 Next
/ 263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