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5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장내기생충* 감염병 관리를 위해 지역 보건소 및 한국건강관리협회와 협력하여 5대강 주변 유행지역** 39개 시·군 주민 24,000명을 대상으로 간흡충 등 장내기생충 감염 실태를 조사한다고 밝혔다.  

   * 간흡충, 장흡충, 회충, 편충, 폐흡충 등 11종
  ** 수계 인접 민물고기 생식 문화가 있는 지역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국내 장내기생충 감염병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간흡충은 식품매개 기생충 감염으로, 유행지역 하천의 자연산 민물고기를 생식하여 감염된다. 간흡충은 만성적 담도질환을 일으킬 수 있고, 심한 경우 담관암을 유발할 수 있는 생물학적 발암원인체*로 알려져 있어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는 간흡충을 생물학적 발암원인체 1군으로 분류

이에 질병관리청은 2005년부터 간흡충 유행지역을 중심으로 장내기생충 감염 실태 조사 및 치료지원 사업을 수행해 오고 있다. 2024년 조사 결과, 간흡충 감염률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나, 일부 유행 빈발 지역 중심으로 여전히 5% 이상의 높은 감염률을 보이고 있다.

 * 간흡충 감염률: ’05년 9.1% → ’12년 9.4% → ’21년 3.3% → ’24년 2.3% 

유행지역 장내기생충 감염 실태조사는 매년 3월부터 10월까지 검체 수거 및 진단검사가 진행되며, 12월 사업 평가대회에서 조사결과를 발표한다. 특히, 감염이 확인된 양성자에게는 간흡충 양성자관리시스템(Clo-Net)을 통한 투약 및 재검사 등 감염자 관리 서비스를 지원할 예정이다.

이번 사업에서는 장내기생충 감염병 퇴치를 가속화하기 위해, 24년 조사에서 간흡충 고감염(감염률 9% 이상)이 확인된 지역을 대상으로 해당 시·군 보건소 및 사업지원단의 협조를 받아 전수조사 및 예방 교육이 이루어진다. 아울러, 지역 하천의 자연산 민물고기 감염률 등 위험요인 분석을 추진하여 예방관리 근거를 제공할 계획이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지속적인 유행지역 관리사업과 주민 보건의식 향상으로 국내 장내기생충 감염률이 과거에 비해 감소하였지만, 여전히 일부 지역에서는 높은 감염률을 보이는 만큼 자연산 민물고기는 반드시 익혀 먹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면서, “감염이 의심되면 각 지역 보건소에서 적극적으로 검사를 받아 주실 것”을 당부하였다.



[ 질병관리청 2025-03-1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27 사고 위험이 있는 Dunlop 오토바이 타이어(4)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 2025.03.13
226 사고 위험이 있는 Dunlop 오토바이 타이어(5)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 2025.03.13
225 자연산 민물고기 날로 먹지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5.03.17
224 코드 끝의 균열으로 파손 우려가 있는 헤어드라이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 2025.03.17
223 주의 표시 누락으로 익사 위험이 있는 반려견용 휴대용 수영장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 2025.03.17
222 뚜껑에서 기준치를 초과한 증발잔류물이 검출된 캠핑용 물통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 2025.03.17
221 기준치를 초과한 이산화황이 함유된 머스타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4 2025.03.17
220 시력 손상 위험이 있는 프로젝터 조명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6 2025.03.17
» 자연산 민물고기 날로 먹지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5.03.18
218 선불업 등록 처리 상황 및 소비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0 2025.03.19
217 봄철 캠핑, 화상과 일산화탄소 중독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5.03.19
216 주)문화상품권의 선불업 미등록 관련 조치사항 및 소비자 유의사항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5.03.20
215 주요 민원사례로 알아보는 소비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5.03.20
214 익사 위험이 있는 반려동물용 수영장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6 2025.03.20
213 감전 위험이 있는 헤어 스타일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 2025.03.20
212 에틸렌옥사이드 검출된 WAIWAI 인스턴트 라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5.03.20
211 땜납부에 과도한 농도의 납이 함유된 LED 확대경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5.03.20
210 땜납부에 과도한 농도의 납이 함유된 차고 리모컨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5.03.20
209 2024년 자동차 고의사고 보험사기 조사 결과 및 소비자 대응 요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1 2025.03.21
208 식중독균 검출된 견과류가공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 2025.03.24
Board Pagination Prev 1 ...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 258 Next
/ 25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