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년 치매 유병률 9.25%(2016년 대비 0.25%p↓) -
- 지역사회 치매 환자 가족의 절반에 가까운 45.8%가 돌봄 부담 -
- 치매 환자 1인당 연간 관리 비용은 지역사회 1733.9만 원, 요양병원·시설 3138.2만 원 -
□ 2023년 치매역학조사 결과, 2023년 65세 이상 노인의 치매 유병률*은 9.25%, 경도인지장애 유병률은 28.42%로 조사되었다. 지난 2016년 역학조사 치매 유병률(9.50%) 대비 소폭(0.25%p) 감소하고, 경도인지장애 유병률(22.25%)은 6.17%p 증가한 수치이다.
* (치매 유병률) 65세 이상 인구 중 치매 환자 수의 비율
ㅇ 고령일수록, 남성보다는 여성, 도시보다 농어촌, 가족 동거가구보다 독거가구, 낮은 교육수준일수록 치매 유병률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 2025년의 치매 환자 수는 97만 명(치매 유병률 9.17%)으로, 치매 환자 수가 100만 명을 넘는 시점은 2026년, 200만 명을 넘는 시점은 2044년으로 추정*되었다.
* 2023년 치매역학조사 결과를 토대로 통계청「장래인구 추계」 노인인구 수 활용
ㅇ 치매 위험성이 높은 경도인지장애진단자는 2025년 298만 명(경도인지장애 유병률 28.12%), 2033년에는 400만 명에 진입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 한편 치매 환자와 가족의 돌봄 현황 등을 파악한 치매실태조사 결과, 지역사회 거주 치매 환자 가족의 절반에 가까운 45.8%가 돌봄 부담을 느끼고, 비동거 가족의 경우 주당 평균 돌봄시간은 18시간, 외부서비스는 주당 평균 10시간 이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ㅇ 돌봄 과정에서 어려움은 경제적 부담*이 가장 높았고, 요양병원·시설 입원(소) 전 가족 돌봄 기간은 27.3개월, 돌봄 중단 사유로는 가족원의 경제·사회활동으로 24시간 돌봄 어려움 27.2%, 증상 악화로 가족들 불편 25%로 나타났다.
* (경제적 부담) 지역사회 38.3%, 시설·병원 41.3%,
□ 치매 환자 1인당 연간 관리 비용은 지역사회 1733.9만 원, 시설·병원 3138.2만 원으로 조사되었고, 보건의료비 보다 돌봄비의 비중이 높았다.
* (보건의료비) 지역사회 438.2만 원, 시설·병원 1489.1만 원, (돌봄비) 지역사회 1162.2만 원, 시설·병원 1533.1만 원
□ 치매안심센터에 대해서는 치매 환자보다 가족의 인지도가 높았고, 치매 환자 가족은 경제적 비용 부담에 대한 정책 지원 욕구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 (치매안심센터 인지도) 지역사회 환자 56.2%, 지역사회 가족 84.1%, 시설·병원 가족 85.7%
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3월 13일(목) 치매 유병률 및 치매 관련 위험요인을 분석한 치매역학조사 결과와 치매 환자·가족의 돌봄 부담 수준 및 치매로 인한 사회적 비용 등을 조사한 치매실태조사 결과를 함께 발표하였다.
치매역학조사는 「치매관리법」 제14조에 근거하여 치매 발생 원인 규명 등을 위한 필요성 인정 시 실시할 수 있고, 그동안 2008년, 2012년, 2016년 총 3차례 실시하였다.
2023년 치매역학조사는 2016년 전국 치매역학조사 이후 7년 만에 시행한 전국 단위의 대규모 치매역학조사로 우리나라의 치매 유병률에 관한 최신 통계 및 치매 발병 위험 요인을 분석하였다.
치매실태조사는 동법 제14조의2(2020년 12월 법 개정)에 따라 매 5년 주기로 실시하여야 하는 법정 조사이고, 그동안 2008년, 2011년 총 2차례 실시하였다.
이번 치매실태조사는 최초의 법정 실태조사로, 치매역학조사와 연계하여 치매 환자를 선별한 후, 치매 환자와 가족의 돌봄 현황 등을 파악하고 치매로 인한 질병 부담을 측정하였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보건복지부 2025-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