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한랭질환* 피해 발생 현황 감시를 위해 실시한 「2024-2025 한랭질환 응급실 감시체계」운영 결과를 발표하였다.

  * 한랭질환은 추위가 직접 원인이 되어 인체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질환으로 저체온증(전신성), 동상‧동창(국소성)이 대표적 질환

질병관리청은 겨울철 한파로 한랭질환에 대한 주의 환기 및 예방 활동 유도 등을 위해 지난 2013년부터 매년 겨울철에 「한랭질환 응급실감시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 전국 500여 개 응급의료기관을 대상으로 관할 지자체 협력을 통해 한파로 인한 건강 피해 발생을 감시

감시체계로 수집된 한랭질환 주요 발생 특성 정보는 질병청 누리집을 통해 일별로 제공*하고 있으며, 한파로 인한 건강피해를 최소화하고자 언론, 누리집 등을 통하여 예방수칙을 안내하고 있다. 

  * 질병관리청(www.kdca.go.kr) > 정책정보 > 건강위해 > 기후변화 > 한파 > 감시체계 신고현황

이번 겨울철(’24.12.1.~’25.2.28.)에 감시체계로 신고된 한랭질환자는 총 334명(사망 8명)으로, 전년(한랭질환자 400명, 사망 12명) 대비 환자는 16.5% 감소하였고, 사망자는 33.0% 감소하였다.

  * 한파일수는 1.1일(3.2일→ 4.3일) 증가, 평균 일 최저기온은 2.5℃(-1.9→ -4.4℃) 감소(기상청 제공)

한랭질환자가 가장 많이 발생했던 2017-2018절기(’17.12월~’18.2월, 631명 발생)는 가장 긴 한파일수(11.8일)와 가장 낮은 최저기온(-5.5℃)을 기록한 절기로, 그간 한랭질환자 발생은 한파일수, 최저기온과의 연관성이 두드러졌으나, 최근 5년 동안의 한랭질환 발생 추이는 기상변화와 뚜렷한 상관관계를 보이지는 않고 있다.

이번 한랭질환 감시 결과의 증상 발생 추이를 보면, 한랭질환자의 주 증상은 저체온증(80.2%, 268명)으로 나타났으며, 추정 사망자(8명)의 경우도 사인이 주로 저체온증(87.5%, 7명)으로 나타났다.

한랭질환 발생은 남성(69.8%, 233명)이 여성(30.2%, 101명)보다 약 2.3배 많이 나타났으며, 연령대로는 65세 이상(54.8%, 183명)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대부분의 추정 사망자 또한 65세 이상(87.5%, 7명)이었다.

특히, 80세 이상의 고령층에서 30.8%(103명)의 환자 발생과 75.0%(6명)의 추정 사망을 보이고 있어, 고령층일수록 한랭질환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발생 장소로는 실외 발생(74.0%, 247명)이 실내 발생(26.0%, 87명)보다 약 2.9배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많은 발생 비율을 나타낸 장소는 길가(25.4%, 85명), 집(18.3%, 61명), 주거지 주변(14.1%, 47명) 순으로 나타났다.

발생 연령과 발생 장소의 연관성을 비교해 보면, 가장 많은 한랭질환자 발생 분포를 띄는 65세 이상 연령층(183명)의 주요 증상 발생 장소가 길가(27.9%, 51명), 집(26.8%, 49명), 주거지 주변(20.2%, 37명)으로, 노년층의 일상생활 속 한랭질환 예방이 중요함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주로 한랭질환이 발생하는 시간은 6~9시(20.1%, 67명), 9시~12시(16.8%, 56명)로, 밤 사이 낮아진 온도가 한랭질환의 영향이 될 수 있는 점에서 오전 시간 활동 시 주의가 필요하다.

지역별 발생 분포로는 경기지역(19.5%, 65명)이 한랭질환자가 가장 많았고, 인구 10만명당 발생은 강원지역(2.8명)이 가장 많은 한랭질환자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 인구 10만명당 발생: 강원(2.8명) > 경북(1.5명) > 충북(1.4명) > 전북(1.3명) 순

「한랭질환 응급실감시체계」 운영결과에 대한 상세정보는 2024-2025절기(’24.12월~’25.2월) 「한파로 인한 한랭질환 신고현황 연보」*를 발간하여 제공할 예정이다.

  * 질병관리청(www.kdca.go.kr) > 정책정보 >  건강위해 > 기후변화 > 한파 > 감시체계 연보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이번 감시 결과 한랭질환자와 사망자가 65세 이상 노년층에서 많이 발생함에 따라 매년 동절기 어르신의 일상생활 속 한랭질환 예방을 위해 한파 시 야외활동을 자제하고 평상시와 외출 시에는 보온에 신경써 건강관리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 줄 것”을 당부하며, “향후 2025-2026절기 겨울철을 대비하여 관계기관 간 협력을 통해 한랭질환 발생률을 낮추는데 더욱 노력할 것” 이라고 밝혔다.



[ 질병관리청 2025-03-1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699 소비기한 경과 원료 사용 식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17 27
14698 인공지능(AI) 단추 플러스로 똑똑하게 공부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17 40
14697 부당특약 근절을 위한 하도급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17 41
14696 2024년 SNS 기만광고(뒷광고) 모니터링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17 35
14695 건설업·벌목업 사업장은 3.31.까지 고용·산재 보험료 신고·납부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17 26
14694 닌자 프로페셔널 초퍼 블렌더, 자발적 용기 제공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14 57
14693 인구감소지역법 개정안 국회 통과, 맞춤형 지원으로 인구감소지역 활력 회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13 68
14692 보다 신속하고 촘촘한 재난관리를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13 57
14691 모바일 주민등록증 전국 발급 개시,디지털 신분증 시대로 도약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13 72
14690 [양모솜 이불 품질비교 결과]봄·가을용 양모솜 이불, 사용 계절에 적합한 수준의 보온성 갖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13 71
14689 화장품 허위·과대광고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13 71
14688 공매도 제도개선에 대한 의문과 진실 e-팜플렛 배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13 58
14687 2024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13 77
14686 ’25년 공동주택 공시가격(안) 열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13 56
14685 벤츠·폭스바겐 등 자발적 시정조치(리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13 69
Board Pagination Prev 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1015 Next
/ 101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