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한랭질환* 피해 발생 현황 감시를 위해 실시한 「2024-2025 한랭질환 응급실 감시체계」운영 결과를 발표하였다.

  * 한랭질환은 추위가 직접 원인이 되어 인체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질환으로 저체온증(전신성), 동상‧동창(국소성)이 대표적 질환

질병관리청은 겨울철 한파로 한랭질환에 대한 주의 환기 및 예방 활동 유도 등을 위해 지난 2013년부터 매년 겨울철에 「한랭질환 응급실감시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 전국 500여 개 응급의료기관을 대상으로 관할 지자체 협력을 통해 한파로 인한 건강 피해 발생을 감시

감시체계로 수집된 한랭질환 주요 발생 특성 정보는 질병청 누리집을 통해 일별로 제공*하고 있으며, 한파로 인한 건강피해를 최소화하고자 언론, 누리집 등을 통하여 예방수칙을 안내하고 있다. 

  * 질병관리청(www.kdca.go.kr) > 정책정보 > 건강위해 > 기후변화 > 한파 > 감시체계 신고현황

이번 겨울철(’24.12.1.~’25.2.28.)에 감시체계로 신고된 한랭질환자는 총 334명(사망 8명)으로, 전년(한랭질환자 400명, 사망 12명) 대비 환자는 16.5% 감소하였고, 사망자는 33.0% 감소하였다.

  * 한파일수는 1.1일(3.2일→ 4.3일) 증가, 평균 일 최저기온은 2.5℃(-1.9→ -4.4℃) 감소(기상청 제공)

한랭질환자가 가장 많이 발생했던 2017-2018절기(’17.12월~’18.2월, 631명 발생)는 가장 긴 한파일수(11.8일)와 가장 낮은 최저기온(-5.5℃)을 기록한 절기로, 그간 한랭질환자 발생은 한파일수, 최저기온과의 연관성이 두드러졌으나, 최근 5년 동안의 한랭질환 발생 추이는 기상변화와 뚜렷한 상관관계를 보이지는 않고 있다.

이번 한랭질환 감시 결과의 증상 발생 추이를 보면, 한랭질환자의 주 증상은 저체온증(80.2%, 268명)으로 나타났으며, 추정 사망자(8명)의 경우도 사인이 주로 저체온증(87.5%, 7명)으로 나타났다.

한랭질환 발생은 남성(69.8%, 233명)이 여성(30.2%, 101명)보다 약 2.3배 많이 나타났으며, 연령대로는 65세 이상(54.8%, 183명)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대부분의 추정 사망자 또한 65세 이상(87.5%, 7명)이었다.

특히, 80세 이상의 고령층에서 30.8%(103명)의 환자 발생과 75.0%(6명)의 추정 사망을 보이고 있어, 고령층일수록 한랭질환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발생 장소로는 실외 발생(74.0%, 247명)이 실내 발생(26.0%, 87명)보다 약 2.9배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많은 발생 비율을 나타낸 장소는 길가(25.4%, 85명), 집(18.3%, 61명), 주거지 주변(14.1%, 47명) 순으로 나타났다.

발생 연령과 발생 장소의 연관성을 비교해 보면, 가장 많은 한랭질환자 발생 분포를 띄는 65세 이상 연령층(183명)의 주요 증상 발생 장소가 길가(27.9%, 51명), 집(26.8%, 49명), 주거지 주변(20.2%, 37명)으로, 노년층의 일상생활 속 한랭질환 예방이 중요함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주로 한랭질환이 발생하는 시간은 6~9시(20.1%, 67명), 9시~12시(16.8%, 56명)로, 밤 사이 낮아진 온도가 한랭질환의 영향이 될 수 있는 점에서 오전 시간 활동 시 주의가 필요하다.

지역별 발생 분포로는 경기지역(19.5%, 65명)이 한랭질환자가 가장 많았고, 인구 10만명당 발생은 강원지역(2.8명)이 가장 많은 한랭질환자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 인구 10만명당 발생: 강원(2.8명) > 경북(1.5명) > 충북(1.4명) > 전북(1.3명) 순

「한랭질환 응급실감시체계」 운영결과에 대한 상세정보는 2024-2025절기(’24.12월~’25.2월) 「한파로 인한 한랭질환 신고현황 연보」*를 발간하여 제공할 예정이다.

  * 질병관리청(www.kdca.go.kr) > 정책정보 >  건강위해 > 기후변화 > 한파 > 감시체계 연보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이번 감시 결과 한랭질환자와 사망자가 65세 이상 노년층에서 많이 발생함에 따라 매년 동절기 어르신의 일상생활 속 한랭질환 예방을 위해 한파 시 야외활동을 자제하고 평상시와 외출 시에는 보온에 신경써 건강관리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 줄 것”을 당부하며, “향후 2025-2026절기 겨울철을 대비하여 관계기관 간 협력을 통해 한랭질환 발생률을 낮추는데 더욱 노력할 것” 이라고 밝혔다.



[ 질병관리청 2025-03-1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4 '24년 4분기 주요 민원,분쟁사례 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11 35
173 '사후소득'인 사망보험금을 '생전소득'으로 유동화하여 노후생활의 안정적 소득을 지원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11 35
172 ETF의 부동산 재간접펀드 투자가 허용되고, 대체투자자산에 대한 평가가 강화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11 36
171 이의신청 후 권리구제의 혼선은 줄이고, 과징금 체납 시 가산금 상한은 명확하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11 33
170 반도체 투자 촉진을 위한 세제혜택 확대 등 56개 법률공포안 국무회의 상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11 36
169 안전하고 즐거운 캠핑을 위한 생활용품 안전기준 마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11 36
168 미성년 자녀가 성년에 이를 때까지 양육비 선지급 등 「양육비이행법」 하위법령 입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11 44
» 2024-2025절기 겨울철 한랭질환자 전년대비 16.5% 감소, 사망자는 33.0% 감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11 82
166 육포의 나트륨ㆍ당류 함량, 제품 간 차이 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11 120
165 유산취득세 도입 방안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12 83
164 ''나도 모르게 개설되는 계좌'' 이제는 사전에 차단할 수 있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12 73
163 2023년 치매역학조사 및 실태조사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12 77
162 냉이, 달래 등 봄철 농산물 집중 안전관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12 62
161 2025년 2월 고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12 62
160 벤츠·폭스바겐 등 자발적 시정조치(리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13 55
Board Pagination Prev 1 ... 974 975 976 977 978 979 980 981 982 983 ... 990 Next
/ 99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