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프랜차이즈 치킨, 제품별 영양성분·중량 등에 차이 있어

- 나트륨, 당류 등의 저감화를 위한 제조업체의 노력이 필요 -

0

치킨은 맥주와 치킨을 함께 먹는다는 치맥이라는 신조어를 만들어 낼 정도로 대중적 인기가 높은 식품이다. 특히, 최근에는 프랜차이즈 치킨브랜드와 매장이 증가하면서 대표적인 배달음식으로 자리 잡았지만 브랜드별 제품 정보가 부족하고 과다 영양 섭취에 대한 우려도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은 소비자에게 합리적인 상품선택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시중에 판매되는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프랜차이즈 치킨 11개 브랜드의 22개 제품을 대상으로 영양성분, 매운맛 성분, 중량 및 안전성 등을 시험·평가했다.

시험결과, 나트륨, 당류 등 하루 섭취량을 제한하는 영양성분의 함량이 높아 과다 섭취를 피하기 위한 먹는 양 조절이 필요했고 제조업체에서는 제품별로 정확한 영양정보를 제공하는 노력이 미흡했다. 산가, 벤조피렌 등의 안전성 및 튀김유 관리에서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별 영양성분 함량 차이 있었고, 나트륨, 당류 등의 저감화 노력 필요

1

(나트륨) 뼈 등 먹을 수 없는 부위를 제외한 가식부 100 g 당 나트륨은 맘스터치의 매운양념치킨(552 mg)이 가장 높았고, 페리카나의 후라이드치킨 (257 mg)이 가장 낮았다.

(당류) 가식부 100 g 당 당류는 호식이두마리치킨의 매운양념소스치킨(12.6 g)이 가장 높았다.

(포화지방) 가식부 100 g 당 포화지방은 네네치킨의 후라이드마일드(6.5 g) 가장 높았고, 멕시카나의 땡초치킨(2.5 g)이 가장 낮았다.

(저감화 필요) 특히 매운맛양념치킨의 경우 반 마리만 먹어도 나트륨, 포화지방 등이 하루 영양성분 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나, 해당 성분 저감화를 위한 제조업체의 노력이 필요했다.

- 2012년 한국소비자원에서 실시한 프랜차이즈 치킨 품질시험과 나트륨 함량을 비교한 결과, 동일한 6개 브랜드 제품 중 페리카나의 후라이드치킨이 유일하게 나트륨을 저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치킨의 먹는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품별 영양성분 정보 제공이 필요

(먹는 양 조절) 치킨의 영양성분을 고려해 과다 섭취하지 않도록 치킨의 먹는 양을 조절할 필요가 있었다.

* 소비자 설문조사 결과, 치킨을 간식 또는 야식으로 먹는 다는 응답이 58.4 %, ‘한 번에 반 마리 이상 먹는다는 응답이 68.9 %를 차지

(영양정보) 영양성분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 않은 제조업체가 많아 소비자에게 정확한 영양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제조업체의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조사대상 11개 브랜드 중 교촌치킨은 홈페이지 등을 통해 비교적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었지만 3개 브랜드는 일부 제품만 표시하거나 표시값과 측정값의 차이가 커 개선이 필요했고, 7개 브랜드는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매운맛양념치킨의 매운맛 성분 함량은 제품별 최대 3.6배 차이

(매운맛 성분) 매운맛의 주성분인 캡사이신류의 함량은 가식부 100 g 당 제품별 최대 3.6배까지 차이가 났다.

- 또래오래의 리얼핫양념치킨(2.9 mg)이 가장 높았고, 호식이두마리치킨의 매운 양념소스치킨(0.8 mg)이 가장 낮았다.

튀김유 관리는 전반적으로 양호한 편

(유지 관리) 산가는 기준에 적합했고, 과산화물가, 벤조피렌은 문제가 없는 수준이어서 조사대상 제품의 유지 관리 및 안전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치킨의 영양성분에 대한 정보제공을 위해 제조업체에 영양성분 표시에 관한 개선을 권고하였고 7개 업체가 이를 수용한 자율적 개선 계획을 알려왔다. ‘프랜차이즈 치킨에 대한 비교정보는 정부 3.0 달성 차원에서 스마트컨슈머(www.smartconsumer.go.kr)내 비교공감을 통해 제공될 예정이다.

 

[한국소비자원 2016-07-1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0 2020년 9월 강원도 산업활동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0.30 7
319 가을철 소라독 이렇게 예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0.29 7
318 체온 측정, 반드시 ‘의료기기’로 인증된 체온계를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09 7
317 식약처·특허청·한국소비자원 마스크 합동점검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04 7
316 코로나19 치료제.백신 임상시험 등 진행 현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01 7
315 국민권익위, “휴대전화 문자로만 ‘채권소멸 개시’ 알려준 것은 부당” 행정심판 결정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01 7
314 긴급재난지원금 8월 31일까지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28 7
313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올바른 체온계 사용법 알아 두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25 7
312 기록적 폭우에 풍수해보험 역할 톡톡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19 7
311 우리동네 혁신 사례 60초 영상에 담아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18 7
310 수해지역 주민의 국민연금보험료 부담 덜어준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18 7
309 전국 내륙 올여름 최고 더위, 온열질환 예방위한 건강수칙 준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22 7
308 1기분 자동차세, 편리하게 납부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22 7
307 유통기한 경과 원료 사용 맥주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22 7
306 공공 체육·휴양시설 과도한 위약금 합리적 개선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22 7
Board Pagination Prev 1 ... 900 901 902 903 904 905 906 907 908 909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