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4/4분기 가계소득은 임금상승 및 사회안전망 확충 등으로 근로소득(+2.3%)·사업소득(+5.5%)·이전소득(+5.6%)이 모두 증가하며 총소득이 +3.8% 증가6분기연속, 실질소득도 +2.2% 증가3분기연속하였다.
* 총소득 증감률(전년동기비, %): (’23.4/4)3.9 (’24.1/4)1.4 (2/4)3.5 (3/4)4.4 (4/4)3.8
실질소득 증감률(전년동기비, %): (‘23.4/4)0.5 (‘24.1/4)△1.6 (2/4)0.8 (3/4)2.3 (4/4)2.2
** 항목별 소득(전년동기비, 만원): (근로)324.1<+2.3%> (사업)109.1<+5.5%> (이전)70.9<+5.6%>
3분기 연속 모든 분위에서 총소득이 증가한 가운데, 1분위의 경우 고령가구 증가 등으로 근로·사업소득이 감소하였다. 5분위는 근로·사업·이전소득이 모두 증가하였다.
* 분위별 총소득 증감률(전년동기비, %): (전체)+3.8 (1분위)+3.0 (2)+4.4 (3)+4.4 (4)+3.6 (5)+3.7
소비지출은 주거·수도·광열, 음식숙박 등 중심으로 증가하여 전체 소비지출은 +2.5% 증가16분기연속(실질 +0.9%)하였다. 지난 분기에 이어 2분기 연속 소득 증가율이 소비지출 증가율을 상회, 흑자액은 +7.8%(실질 +6.1%) 대폭 증가하였다.
* 처분가능소득 = 총소득 – 비소비지출, 흑자액 = 처분가능소득 – 소비지출
소득 5분위배율은 5.28배로 전년동기대비 하락(△0.02배p)하였다. 다만, 공식적인 소득분배 개선여부는 가계금융복지조사(연간지표)를 통해 판단할 수 있다.
*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기준 5분위배율(배): (‘21.4/4)5.71 (’22.4/4)5.53 (’23.4/4)5.30 (‘24.4/4)5.28
정부는 가계소득 증가 흐름이 지속될 수 있도록 일자리 창출·물가안정 노력을 강화하는 한편, 소상공인 등 취약계층 지원에도 만전을 기할 것이다.
[ 기획재정부 2025-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