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여성가족부는 한부모가족을 위해 분야별 정부지원 복지서비스를 한 곳에 모은 ‘2025년 한부모가족 복지서비스 종합안내서(이하 안내서)’를 발간한다. 

 ㅇ 안내서는 한부모가족이 필요한 복지서비스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17개 정부‧공공기관의 한부모가족 지원서비스 70개를 수록하였다. 

 ㅇ 2025년부터 달라지는 제도를 포함하여 소책자, 전단지 및 전자책 형태로 발간하고, 한부모가족에게 문자메시지 등을 통해 직접 안내한다.  
    *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주민센터) 비치 및 한부모가족복지시설, 한부모단체 등 배포  

□ 주요 내용은 ▴임신‧출산 ▴양육‧돌봄 ▴시설‧주거 ▴교육‧취업 ▴금융‧법률 등으로 지원 내용과 신청 방법을 함께 담았다.

 ㅇ (임신‧출산) 임신‧출산 진료비와 의료비 지원,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출산 전‧후 입소 가능한 시설 등을 안내하고, 

   - 미혼부도 한부모가족 지원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자녀 출생신고와 출생신고 전 복지급여, 건강보험신청 절차를 수록하였다.

 ㅇ (양육‧돌봄) 저소득 한부모‧조손가족을 위한 아동양육비 지원, 아동수당, 보육료 및 가정양육수당 등 복지급여 지원과 온가족보듬사업을 통한 사례관리, 아이돌봄서비스와 공동육아나눔터 등 돌봄 지원이 포함되어 있다.

   - 또한 양육비 이행 지원을 위한 양육비 추심, 상담 등 다양한 서비스와 올해 7월부터 시행되는 양육비 선지급 제도 등을 안내한다.

 ㅇ (시설‧주거) 한부모가족의 안정적 자녀 양육에 필요한 한부모가족 복지시설, 공동생활가정형 매입임대주택, 공공주택 지원 등 주거 지원 서비스를 담고 있다. 

 ㅇ (교육‧취업) 학업을 지속하고자 하는 청소년한부모를 위한 미혼모 대안교육 위탁기관과 자녀 교육비 지원, 자립을 원하는 한부모가족을 위한 여성새로일하기센터, 국민취업지원제도 정보를 찾아볼 수 있다. 

 ㅇ (금융‧법률) 저금리 미소금융, 소액보험과 비양육부모의 양육비이행을 위한 법률 지원서비스, 무료법률구조 서비스 등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다. 

   - 특히 소액보험은 한부모가족 아동양육비 지원대상자 중 생계‧의료급여 대상자가 아닌 경우 보험료를 전액 지원하며, 별도 가입절차 없이 모두 가입이 되어 있어 상해, 질병 발생 시 보험금 청구가 가능하다. 

 ㅇ 이밖에도 저소득한부모 주택자금대여, 운전면허 무료교육 등 생활밀착형 지원서비스와 올해부터 한부모가족이 지원 대상에 포함되는 아동발달지원계좌(디딤씨앗통장) 내용도 새로이 수록되었으며,

   - 한부모 근로자의 육아휴직 급여 상한액 인상* 등 지원 확대 내용도 반영되었다. 
    *(’24)(3개월)250만 원/(4~12개월)150만 원→(’25)(3개월)300만 원/(4~6개월)200만 원/ (7개월~)160만 원

□ 여성가족부는 한부모․조손가족 등 다양한 가족이 자녀를 안정적으로 양육할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ㅇ 올해에는 저소득 한부모가족(기준 중위소득 63% 이하)의 아동양육비 지원 금액을 자녀 1인당 월 21만원에서 월 23만원으로 인상*하고, 자녀 학용품비의 지원 대상을 기존 중‧고등학생에서 초등학생까지 확대하였다.
    * 24세 이하 청소년한부모(기준 중위소득 65% 이하) : 월 35만원 → 월 37만원

 ㅇ 한부모가족복지시설 입소기준을 완화*하고, 매입임대주택 공급을 확대(’24년 306호→’25년 326호)하는 등 주거지원도 강화하였다.
    * 인구감소지역 시설은 소득에 관계없이 입소 가능, 무주택 저소득 조손가족 입소대상에 포함 등

 ㅇ 아울러 청소년한부모가 자녀의 출생신고 시, 지자체 담당 공무원이 정책정보를 의무적으로 제공*토록 하는 등 정책정보 접근성을 개선해나간다.
    * 한부모가족지원법 제5조의3 개정(‘24.12.4.) 및 시행(’25.6.4.)

□ 안내서는 여성가족부(http://www.mogef.go.kr), 한국건강가정진흥원(http://www.kihf.or.kr), 가족센터(http://familynet.or.kr) 등 관련기관 누리집에서도 확인할 수 있으며,

 ㅇ 안내서 내용에 관한 문의 사항은 가족상담전화(☎ 1577-4206) 또는 가족센터(☎ 1577-9337)로 연락하면 자세히 안내받을 수 있다.


[ 여성가족부 2025-02-0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575 당근마켓 등 부동산 직거래플랫폼에 운영 가이드 배포 및 권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2.13 48
14574 티메프(여행‧숙박‧항공) 집단분쟁조정 일부 성립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2.12 47
14573 건강한 학교생활을 위해 초·중학교 입학생 예방접종 완료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2.12 40
14572 “너무 비싸 포기합니다, 결혼∙출산∙육아” 2030 울리는 스∙드∙메, 산후조리원, 영어유치원 세무조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2.12 34
14571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티몬·위메프에서 판매된 상품권 및 해피머니 상품권 관련 집단분쟁조정 절차 개시 결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2.11 29
14570 [일체형 세탁건조기 품질비교 결과] 기존 개별 제품보다 세탁성능은 개선, 건조성능은 비슷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2.11 45
14569 (노후,유병력자) 실손보험의 가입연령과 보장연령을 확대하여 고령화 시대의 의료비 보장 기능을 강화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2.11 45
14568 무순위 청약, 이제 무주택ㆍ거주자에게 공급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2.11 30
14567 임대차거래 단순 지연 신고 과태료 완화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2.11 27
14566 임신초기 유산·사산 휴가 5→10일로 확대, 임신·출산·육아 지원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2.11 26
14565 2025년 오피스텔·상가 등 건축물의 시가표준액(안) 의견을 듣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2.10 51
14564 재난안전사고 공제·보험금 신청, 더욱 간편하고 빨라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2.10 38
14563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 2월 14일부터 단계적 전국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2.10 41
14562 전자상거래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2.10 40
14561 스크린골프 만족도, ‘결제 편의성’ 높고 ‘부가 지원 서비스’ 낮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2.07 36
Board Pagination Prev 1 ...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 1016 Next
/ 101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