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농공단지 건폐율 완화에 대한 현장의 목소리 >
 # (○○농공단지 입주 업체) 주문 물량이 늘어나도 그간 부자재를 적재할 공간을 마련하지 못해 생산량을 늘리지 못했었다. 이번 시행령 개정으로 건폐율이 높아져 자재 창고를 지을 수 있어 그간 밀린 주문 물량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군) 건폐율 때문에 공장 증설이 어려워 관내 농공단지 입주 기업 중 일부 기업이 타 지역 공장 이전을 고려하고 있었다. 공장을 이전할 경우, 인구 유출 등 지역 경제에 큰 타격을 주게 되어 고민이 많았는데 이번 결정으로 입주 기업들의 투자 여건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 행정안전부와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지방규제혁신위원회*’ 논의를 거쳐 농공단지 내 건폐율**을 상향 조정(70%→80%)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후속조치로 올해 상반기 중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을 개정한다고 밝혔다.
    * 지방규제에 대한 전문적 검토·조정을 위해 대통령 직속 규제개혁위원회 산하에 설치된 자문기구로, 
      행안부 훈령(지방규제혁신위원회 운영 지침)에 근거하여 운영 중(’23.5월~) 
   ** 건폐율: 건설부지에 건축물이 차지하는 비율

 ○ 이번 조치로 그동안 공장 증설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농공단지 내 건축이 가능한 토지가 없어 어려움을 겪던 지역 기업 애로가 해소되고, 농공단지 내 토지 이용률도 개선되는 등 농어촌지역의 투자 여건이 개선될 전망이다.

□ 지금까지 농공단지의 건폐율은 농어촌 지역 과밀화 방지와 산업단지 난립 예방 등을 위해 일반 산업단지(80%)보다 낮은 70%로 설정돼 있었다. 

 ○ 그동안 국토교통부는 농공단지 건폐율 완화의 필요성에는 공감했으나, 타 산업단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노후화가 심한 농공단지의 기반시설 부족, 재난 취약성 등을 이유로 무조건적인 완화에는 신중한 입장이었다.

 ○ 하지만, 농공단지 입주 업체들은 “공장부지 내 유휴 공간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건폐율 제약 때문에 농공단지 외에 토지를 매입하거나 타 지역으로 공장을 이전해야 하는 등 기업 운영에 효율성이 떨어진다”며, 건폐율을 상향시켜 줄 것을 지속적으로 요구해왔다.

 ○ 지자체도 “지역 내 농공단지 입주 업체가 타 지역으로 이전할 경우, 인구와 세수가 감소해 지역 경제에 타격을 줄 수 밖에 없다”며 인구 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어촌 지역의 애로를 해소하기 위해서라도 농공단지 건폐율 완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해왔다.

□ 행정안전부는 중앙규제책임관*이 현장을 방문하여 지자체와 지역 업체의 의견을 수렴하였고, 지방규제혁신위원회의 두 차례 심의로 이견을 조율해 나가는 등 국토교통부와 함께 해결 방안을 모색했다.
    * 규제 수용률 제고를 위해 지자체 입장을 대변할 수 있는 행안부 간부를 중앙규제책임관으로 지정하여 현장방문, 
      중앙부처 논의 등 적극적으로 규제 애로 해소 노력

 ○ 이에, 국토교통부는 인구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방의 투자 여건 개선과 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방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거치는 등 농공단지의 기반시설이 충분히 확보되었다고 지자체가 인정하는 경우, 건폐율을 80%까지 완화할 수 있도록 관련 법령을 개정하기로 했다.

□ 이번 결정으로, 전국 484개 농공단지, 7천672개 업체(업체수는 ’24.3분기 가동업체 기준)가 혜택을 받게 되었다.

 ○ 건폐율 완화로 농공단지 입주 기업 투자 여건이 개선됨은 물론, 향후 농공단지의 활성화로 지역 균형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특히, 농공단지 68%(330개소)가 인구감소지역에 있어, 해당 지역의 인구소멸을 완화하고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전망된다.

□ 국토교통부 이상주 국토도시실장은 “이번 결정으로 기업 부담이 줄고 투자가 활성화되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 경제 활력 회복과 국토 균형 발전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 한순기 행정안전부 지방재정경제실장은 “앞으로도 행정안전부는 지속적으로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지역 투자 여건을 개선하여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협의하고 규제 애로 사항을 발굴해 해결하겠다”고 밝혔다.



[ 행정안전부 2025-01-2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4 13월의 월급이 짭짤해지는 주택자금 공제혜택 몰아보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1.20 18
323 전통시장에서 우리 농산물 구매하고 온누리상품권 받아가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1.20 17
322 반려동물과 함께 안전한 설 연휴 보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1.20 11
321 수입식품 민원처리 현황 알림톡으로 받아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1.20 11
320 건강한 설연휴를 보내기 위한 감염병 예방수칙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1.20 12
319 나도 혹시 뇌졸중, 심근경색증, 우리 가족 건강 위해 조기증상 기억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1.20 18
318 12월 가습기 관련 소비자 상담 전월 대비 3배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1.20 9
317 2024년 4분기 선불식 할부거래업자 등록 변경사항 정보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1.21 15
316 설 명절기간 안전하고 편리한 이동을 위한 특별교통대책을 시행합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1.21 11
315 국가건강검진 C형간염 양성자 대상 확진검사비 지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1.21 10
314 고속도로 휴게소 등 귀성길 공중화장실, 안심하고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1.21 14
» 농공단지 건폐율 완화해 농어촌지역 투자 여건을 개선하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1.21 17
312 민간 사전청약 당첨취소자 모두 구제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1.22 11
311 3월부터 개인투자용 국채가 다양화되고 투자절차도 더욱 편리해 집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1.22 12
310 올해부터 장애인 식사도움·이동지원 비용도 의료비 세액공제 받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1.22 14
Board Pagination Prev 1 ... 964 965 966 967 968 969 970 971 972 973 ... 990 Next
/ 99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