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국내 주요 만성질환 현황과 건강위험요인을 분석하여, 만성질환 관련 정책 및 보건사업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만성질환 현황과 이슈」를 매년 발간해왔다.

이번에 발간하는 「2024 만성질환 현황과 이슈」는 국내외 관계 기관에서 발간된 주요 만성질환* 통계를 기반으로, 국내 만성질환의 주요 이슈와 관련 요인을 통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 세계보건기구(WHO)는 전 세계적으로 질병 부담이 높은 ‘심혈관질환, 당뇨병, 만성호흡기질환, 암’을 주요 만성질환으로 지정하여, 국가 차원의 대책을 마련할 것을 권고함

「2024 만성질환 현황과 이슈」에 따르면, ’23년 기준으로 만성질환으로 인한 사망은 275,183명*으로 전체 사망의 78.1%를 차지하였다.
  * (’20년) 244,719명 → (’21년) 252,993명 → (’22년) 276,930명 → (’23년) 275,183명

’23년 10대 사망원인* 중 만성질환으로 인한 사망은 악성신생물(암), 심장 질환, 뇌혈관 질환, 알츠하이머병, 당뇨병, 고혈압성 질환으로 대부분 ’22년 대비 순위가 증가하였다. 
  * 23년 10대 사망원인 순위: 암, 심질환, 폐렴, 뇌혈관질환, 고의적자해(자살), 알츠하이머병, 당뇨병, 고혈압성 질환, 패혈증, 
    코로나19 순


노인인구 증가와 함께 만성질환으로 인한 진료비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23년 기준, 우리나라 만성질환으로 인한 진료비*는 90조 원으로 전체 진료비의 84.5%를 차지하였다.

  * (’20년) 71조 원 → (’21년) 78조 원(9.24%↑) → (’22년) 83조 원(6.80%↑) → (’23년) 90조 원(9.19%↑)


진료비 중 순환계통 질환으로 인한 비용이 13조 4천억 원으로 만성질환별 진료비 전체의 14.9%를 차지하였고, 근골격계질환이 12.9%, 악성신생물(암)이 11.2%로 진료비 비율이 높았다. 만성질환 중 단일 질환으로는 본태성(원발성) 고혈압에 의한 진료비가 4.4조 원으로 가장 높았고, 2형 당뇨병이 3.1조 원으로 뒤를 이었다.


최근 10년간의 주요 만성질환 유병률 변화를 살펴보면, 19세 이상 성인의 고혈압 유병률은 20~22%, 당뇨병 유병률은 10% 내외를 유지하며 정체 중이다.


반면 성인의 고콜레스테롤혈증은 ‘12년 11.9%에서 ‘22년 22.0%로 10년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코로나19 유행기간에 증가한 성인 비만율이 ’22년 37.2%로 유지되고 있다.


건강위험요인 중 흡연율은 꾸준히 감소하고 있으나, 음주, 신체활동은 정체 상황이다. ’22년의 성인 현재 흡연율은 17.7%로 전년 대비 1.6%p 감소하였으며, 성인 고위험 음주율은 14.2%로 지난 10년간 12~14%를 유지하고 있다. 한편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율은 53.1%로 전년대비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만성질환으로 인한 사망, 질병부담이 증가 추세로, 초고령사회 진입에 따라 만성질환으로 인한 질병부담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매년 발간하는 ‘만성질환 현황과 이슈’를 통해 국내 만성질환 현황을 공유하고, 효과적인 예방관리 전략 수립의 근거자료로 활용하여 증가하고 있는 만성질환 부담 경감을 위한 전략 개발에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2024 만성질환 현황과 이슈」는 질병관리청 누리집*에서 누구나 열람 및 내려받기가 가능하며, 유관기관, 관련학회, 지자체 등에 제공하여 적극 활용하도록 홍보할 예정이다.

  * 질병관리청 누리집(www.kdca.go.kr) >> 알림‧자료 >> 홍보자료 >> 홍보지




[ 질병관리청 2024-12-2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479 전국 평생교육시설 정보를 한눈에, 나에게 맞는 평생교육 프로그램 찾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1.02 2
14478 2025학년도 1학기 학자금 대출 1월 3일부터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1.02 2
14477 K-패스, ’25년부터 다자녀 가구 유형 신설 등 혜택이 확대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1.02 5
14476 취약계층에 대한 국민내일배움카드 지원이 확대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1.02 2
14475 2024년 12월 및 연간 소비자물가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31 12
14474 여권 로마자성명이 한글성명의 발음과 다른 경우 로마자를 변경할 수 있는 대상이 확대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31 1
14473 ‘24년 11월 주택 통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31 1
14472 “취업도 힘든데, 대학 전자증명서 발급비용도 부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31 2
14471 2024년 하도급거래 실태조사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31 14
14470 ‘우리아이 예방접종 확인’, ‘미납통행료 납부’ 민간 앱으로 이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30 5
14469 한국소비자원 ‘섬유제품 권장 품질기준’ 4차 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30 5
14468 심근경색증, 뇌졸중 발생 지속 증가 추이, 치명률은 심근경색증 감소세 뇌졸중 ‘20년 이후 증가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30 2
14467 우리 아이 놀이터, 이제 사물 주소로 쉽게 찾아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30 5
14466 치과 임플란트 보철재료 확대 및 치아 우식검사 급여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30 2
14465 2025년부터 미혼 남녀도 가임력 검사 받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30 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971 Next
/ 97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