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2023년 귀속 근로·자녀장려금이 현재까지 507만 가구에 5조 6천억원으로, 장려세제 도입 후 역대 최다가구에 최대금액을 지급하였습니다.
  * 2025.1월 지급 예정인 기한 후 신청(9월∼11월)분 포함시 518만 가구, 5.7조원 지급 예상 

○ 가구당 평균 지급액은 근로장려금 111만원, 자녀장려금 102만원으로 전체 평균은 109만원입니다.

○ 2009년 최초 지급부터 2024년 8월 지급까지 근로·자녀장려금 누적 수혜자는 4천 4백만 가구에, 총 41조 4천억원을 지급하였습니다.

□ 혼인 및 출산율 저조로 자녀장려금이 해마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자녀장려금을 최초 지급한 2015년(2014년귀속)에 107만가구가 수급하였으나, 2023년(2022년귀속)에는 52만 가구로 51.4%p 감소하였습니다.

○ 다만, 올해(2023년귀속)는 자녀장려금 첫 시행 이후 10년만에 소득 기준이 4천만원 미만에서 7천만원 미만으로 완화되면서, 95만 가구에 9,720억원을 지급하여 수급자가 전년보다 약 2배가량 증가하였습니다.

□ 연령별 근로장려금 수급 현황은 청년층과 노년층인 20대 이하(28.7%)와 60대 이상(32.2%)이 전체의 61%를 차지하고, 30대~50대는 고르게(12%~15%) 분포되어 있습니다.
  * 2023년 귀속분으로 기한 후 신청 및 지급 미포함

○ 특히, 수급 가구 중 60대 이상의 고령층 수급자가 2018년 귀속 24.2%에서 2023년 귀속(기한후 제외) 32.2%로 해마다 1~2%씩 증가하고 있습니다.
  * (’19년귀속) 26.4%, (’20년귀속) 27.6%, (’21년귀속) 29.0%, (’22년귀속) 30.9%

○ 반면, 연령별 자녀장려금 수급 현황은 부양 자녀가 있는 중장년층인 30대 이하(28.5%), 40대 이하(47.6%), 50대 이하(17.9%)가 전체의 94%를 차지하고, 20대 이하와 60대 이상이 각각 3.5%, 2.5%에 해당합니다.

□ 가구 유형별로 근로장려금은 단독가구가 287만 가구(70%), 홑벌이는 105만 가구(25.6%), 맞벌이는 18만 가구(4.4%)로 지난해와 유사합니다. 

○ 다만, 자녀장려금은 소득 기준이 완화됨에 따라 지난해보다 홑벌이 가구가 1.5배 증가한 64만 가구(67.3%), 맞벌이 가구는 3.8배 증가한 31만 가구(32.7%)에 지급하였습니다.


□ 2019년에 도입된 반기 지급제도*는 안정적으로 정착하여 최근 반기제도를 선택한 지급 가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근로소득자에 한해 당해연도 소득을 기준으로 상·하반기로 나누어 신청받아 상반기분으로 35%를 먼저 지급하고, 하반기분 지급 시 정산하여 추가 지급(환수)하는 제도


○ 2023년 귀속 반기지급은 207만 가구에 2.4조원을 지급하였으며, 2019년 최초 지급보다 38만(22.5%p↑)가구, 0.5조원(26.3%p↑)이 증가하였습니다.


□ 한편, 지난 9월부터 11월까지 기한 후 신청한 2023년 귀속 근로·자녀장려금은 2025년 1월 설 명절 전에 지급할 예정입니다.




[ 국세청 2024-12-2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29 “반복적인 폭행과 성희롱으로부터 장기요양요원 보호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20 26
428 방통위, ”인공지능(AI) 서비스 이용자 피해 신고창구“ 개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20 19
427 2023년 지역소득(잠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20 12
426 농식품부, 국산 쌀가공식품 20% 할인 지원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23 19
» 근로·자녀장려금 역대 최다가구에 최대금액 지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23 11
424 은행권은 지속가능한 맞춤형 소상공인 금융지원 방안을 마련하였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23 21
423 농가경영 부담 완화를 위해 농기계 임대료 50% 감면 연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23 15
422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지능형 법령검색 서비스’가 시작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23 14
421 지역사회건강조사 2024년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23 34
420 2023년 생애단계별 행정통계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23 13
419 애써 적립받은 포인트, 이젠 더 오래 쓰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23 17
418 이젠 여행용 가방 살 때도 환경표지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23 10
417 겨울철 실내공기 개선에 자생식물 활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23 21
416 일부 다중이용시설 초미세먼지 기준, 2026년부터 40㎍/㎥로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23 22
415 손실이 발생한 새마을금고 배당은 엄격히 제한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23 38
Board Pagination Prev 1 ... 957 958 959 960 961 962 963 964 965 966 ... 990 Next
/ 99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