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국세청(청장 강민수)은 국민에게 보다 적시성 있는 국세통계를 제공하고자 국세통계연보 발간(12월말)에 앞서 분기별로 국세통계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 이번에 4차로 공개(12.19.)하는 국세통계는 근로소득 연말정산, 양도소득세 등 228개로 국세통계포털(TASIS)에서 쉽고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연말정산 분야 -

□ ’23년 귀속 근로소득 연말정산 신고 인원은 2,085만 명으로 전년(2,053만 명) 보다 32만 명(1.5%) 증가하였습니다.

○ 평균 총급여액은 전년(4,213만 원) 대비 2.8%(119만 원) 늘어난 4,332만 원으로 최근 5년간 지속적 증가 추세이며, 평균 결정세액은 428만 원으로 소득세 과세표준 구간 조정*으로 전년도 434만 원보다 1.4%(6만 원) 감소하였습니다.

   * 서민・중산층 세부담 완화를 위해 과세표준 5,000만 원 이하의 세율 적용 구간 조정

□ 총급여액이 1억 원을 초과하는 억대 연봉자는 139만 명으로 전체 신고 인원(2,085만 명)의 6.7%로 억대 연봉자 점유율은 계속하여 증가하고 있으며 전년(132만 명, 6.4%)과 비교할 때 0.3%p(7만 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한편, 총급여액 규모별 신고 인원을 살펴보면 3천만 원 이하 945.2만 명(45.3%), 3천만 원 초과 5천만 원 이하 540.3만 명(25.9%), 5천만 원 초과 1억 원 이하 460.4만 명(22.1%)으로 확인되었습니다.

□ ’23년 귀속 근로소득 연말정산에 자녀 세액공제를 신고한 근로자는 전년(259.3만 명) 대비 6.6% 감소한 242.2만 명으로 최근 지속적 감소하고 있으며, 연령별로는 40세 이상(145.6만 명, 60.1%), 50세 이상(77.2만 명, 31.9%), 30세 이상(16.9만 명, 7.0%) 순으로 많았습니다.

□ 출산입양 세액공제를 신고한 근로자는 13.6만 명으로 전년(14.6만 명) 대비 6.8%(1만 명) 감소하였으며, 연령별로 살펴보면 30세 이상 40세 미만이 10.3만 명(75.3%)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원천징수지별 평균 총급여액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광역시・도 단위는 울산(4,960만 원), 서울(4,797만 원), 세종(4,566만 원) 순으로 높았고,

 ○ 시・군・구 단위는 인천 동구(7,014만 원), 울산 북구(6,458만 원), 경기 이천시(6,324만 원) 순으로 높은 것으로 확인됩니다.


- 국 제 조 세 분야 -

□ ’23년 귀속 외국인 근로자의 연말정산 신고 인원은 61.1만 명, 결정세액은 1조 1,657억 원이며, 국적별 신고 인원을 살펴보면 중국(19.0만 명, 31.1%), 베트남(5.2만 명, 8.5%), 네팔(4.5만 명, 7.4%) 순으로 많았습니다.

○ 외국인 근로자의 연말정산 평균 총급여액은 3,278만 원, 평균 결정세액은 191만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 ’24년 해외금융계좌 신고 인원은 4,957명이고, 신고 금액은 64.9조 원으로 전년(5,419명, 186.4조 원) 대비 신고 인원은 8.5%(462명), 신고 금액은 65.2%(121.5조 원)이 각각 감소하였습니다.

○ 신고 금액을 계좌 종류별로 살펴보면 주식(23.6조 원), 예・적금(20.6조 원), 가상자산(10.4조 원) 순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23년) 가상자산(130.8조 원), 주식(23.4조 원), 예・적금(22.9조 원) 순


- 양도소득세 분야 -

□ ’23년 귀속 양도소득세 신고 건수는 총 65.2만 건(예정신고 43.7만 건・확정신고 21.5만 건)으로 전년(66.4만 건) 보다 1.8%(1.2만 건) 감소하였습니다.

○ 양도소득금액은 70.8조 원, 총결정세액은 17.8조 원으로 전년(양도소득금액 90.9조 원‧총결정세액 25.6조 원) 대비 각각 22.1%(20.1조 원), 30.5%(7.8조 원) 감소하였으며, ’21년 정점 이후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세 무 조 사 분야 -

□ 세무조사 규모는 납세자의 성실신고를 유도할 수 있는 수준에서, 대내외경제 상황, 조사 인력‧예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유연하고 탄력적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 ’23년 세무조사* 건수와 부과세액은 각각 13,973건, 5.8조 원으로 전년(14,174건, 5.3조 원) 대비 세무조사 건수는 1.4%(201건) 감소한 반면 부과세액은 9.4%(0.5조 원) 증가하였습니다.

   *개인사업자・법인사업자 조사 및 부가가치세・양도소득세 조사
                                                                     
□ 아울러, 국세청은 누구나 조세정책 평가 및 연구 목적으로 활용 가능한 ’22년 귀속 소득세 표본자료를 국세통계센터 누리집에 공개하였으며,

○ 국세통계 총 563개를 수록한 「2024년 국세통계연보」*를 12월 30일에 발간할 예정입니다.

   * 발간일 이후 국세통계포털(TASIS)에서 확인 가능(자료실 > 통계간행물)

□ 앞으로도 국세청은,
   국세행정역량강화TF의 일환으로 국민 실생활과 경제활동에 유용한 통계를 지속적으로 확대 발굴하는 등 정부혁신과 
   적극행정 실천으로  
  「일 하나는 제대로 하는, 국민께 인정받는 국세청」이 되겠습니다.


[ 국세청 2024-12-1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409 비타민D, 노년기 근감소증 예방에도 효과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19 20
14408 [금융꿀팁] 157 은퇴준비자의 연금설계를 위한 꿀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19 21
14407 상속받거나 수용된 부동산, 양도세 비과세·감면 실수사례 알아두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19 18
» ’23년 근로소득자 평균 연봉 작년보다 119만 원 늘고, 세금은 6만 원 줄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19 38
14405 ‘25년 표준지·표준주택 공시가격(안) 열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19 15
14404 의료기기 사용 중 발생한 부작용, 첨부문서를 통해 문의처를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18 17
14403 추잉껌, 토마토케첩 등 소비기한 참고값 추가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18 30
14402 2030 청년 구직자 대상 신종 보이스피싱 수법 소비자경보(주의)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18 15
14401 기아·현대등 자발적 시정조치(리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18 16
14400 장애인 이동편의 개선한다 … 다인승 특별교통수단·점자 안내판 기준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18 18
14399 “장애인이 타고 다닌다면, 본인 차량 아니어도 차고지증명제 예외 인정받는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18 22
14398 표시·광고사항에 대한 통합 공고 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18 18
14397 가전제품업체 파세코의 재판매가격 유지행위 제재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18 11
14396 인테리어 중개 플랫폼사업자의 불공정 이용약관 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18 17
14395 비정형데이터 가명처리, 결합 데이터 제공 등 보건의료 데이터 활용 지원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18 21
Board Pagination Prev 1 ...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990 Next
/ 99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