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Ⅰ. 인구·가구·생활
□ 2023년 1인가구는 전체 가구의 35.5%인 782만 9천 가구임
 ㅇ '23년 1인가구는 전체 가구의 35.5%인 782만 9천 가구이고, 연령대별 비중은 70세 이상 19.1%, 29세 이하 18.6%, 60대 17.3%, 30대 17.3% 순임 (7~8쪽)
 ㅇ '23년 1인가구의 지역별 비중은 경기가 21.9%로 가장 높고, 서울(20.8%), 부산(6.8%), 경남(6.2%) 순임 (9쪽)
 ㅇ ’23년 지역별 전체 가구 대비 1인가구 비중은 대전이 39.4%로 가장 높았고, 서울(39.3%), 강원(38.8%), 충북(38.5%), 경북(38.1%) 순임 (10쪽)

□ 2023년 1인가구로 생활한 기간은 5~10년 미만이 28.3%로 가장 많음
 ㅇ ‘23년 1인가구로 생활한 기간은 5~10년 미만이 28.3%로 가장 많고, 10~20년 미만(24.0%), 1~3년 미만(16.5%) 순임 (11쪽)
 ㅇ ’23년 1인가구로 생활하는 주된 이유는 배우자의 사망이 31.9%로 가장 많았고, 본인의 학업·직장(22.4%), 혼자 살고 싶어서(14.3%) 순임 (12쪽)

Ⅱ. 주거
□ 2023년 1인가구의 거처는 단독주택(40.1%), 아파트(34.9%) 순임
 ㅇ '23년 1인가구의 거처는 단독주택 40.1%, 아파트 34.9%, 연립‧다세대 11.7% 순이고, 전체 가구보다 단독주택, 주택이외의 거처 비중이 높았음 (14쪽)
 ㅇ '23년 1인가구의 주택 소유율은 31.3%이고, 연령대가 높을수록 높아져 70세 이상이 49.4%로 가장 높았고, 60대(43.4%), 50대(37.6%) 순임 (15쪽)

Ⅲ. 고용
□ 2023년 취업자 1인가구는 467만 5천 가구로 전년보다 12만 가구 증가
 ㅇ '23년 10월 취업자 1인가구는 467만 5천 가구이고, 연령별로는 50~64세(26.5%), 30대(23.3%), 15~29세(19.4%) 순으로 비중이 높았음 (20쪽)
 - ’23년 10월 취업자 1인가구의 산업별 비중은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41.4%), 도소매·숙박음식점업(18.2%), 광·제조업(14.5%) 순임 (21쪽)
 - '23년 10월 취업자 1인가구의 직업별 비중은 전문가 및 관련종사자(24.1%), 사무종사자(16.6%), 단순노무종사자(15.2%) 순임 (22쪽)
 ㅇ '23년 1인가구의 주당 평균 취업 시간은 38.5시간이며, 남자는 40.9시간, 여자는 35.5시간으로 남녀 모두 전년 보다 증가함 (23쪽)

Ⅳ. 소득·소비·자산
□ 2023년 1인가구의 연간 소득은 3,223만 원으로 전체 가구의 44.9% 수준임
 ㅇ ’23년 1인가구의 연간 소득은 3,223만 원으로 전년대비 7.1% 증가하였으며, 전체 가구(7,185만 원)의 44.9% 수준임 (24쪽)
 ㅇ ’23년 1인가구의 월평균 소비지출은 163만 원으로 전체 가구(279만 2천 원) 대비 58.4% 수준이고, 주거‧수도‧광열비(18.2%), 음식‧숙박(18.0%) 순임 (26쪽)
 ㅇ '24년 1인가구 자산은 2억 1,217만 원으로, 전체 가구(5억 4,022만 원)의 39.3%, 부채는 4,012만 원으로 전체 가구(9,128만 원)의 44.0% 수준임 (27쪽)

Ⅴ. 건강·복지
□ 2023년 1인가구의 월평균 보건지출은 13만 2천 원임
 ㅇ ’23년 1인가구의 월평균 보건지출은 13만 2천 원으로 전체 가구(23만 9천 원)의 55.5% 수준이고, 지출 비중은 외래의료서비스(34.1%), 의약품(29.7%) 순임 (28쪽)
 ㅇ ’23년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을 받는 1인가구는 131만 4천 가구로, 수급대상가구 10가구 중 7가구(73.5%)가 1인가구임 (33쪽)
 ㅇ ’23년 1인가구가 필요로 하는 지원 정책은 주택 안정 지원이 37.9%로 가장 높았고, 돌봄 서비스 지원(13.9%), 심리정서적 지원(10.3%) 순임 (34쪽)

Ⅵ. 여가
□ 2023년 1인가구의 주된 여가활동은 휴식(93.6%) 및 취미·오락활동(74.9%)임
 ㅇ ‘23년 1인가구가 지난 1년간 가장 많이 참여한 여가활동은 휴식활동이 93.6%로 가장 많았고, 취미·오락활동(74.9%), 사회 및 기타 활동(57.1%) 등의 순임 (35쪽)
 ㅇ '23년 1인가구의 여가활동의 주된 목적은 개인의 즐거움을 위해가 40.7%로 가장 많았고, 마음의 안정과 휴식을 위해(19.1%), 건강을 위해(11.7%) 순임 (36쪽)
 ㅇ '23년 1인가구의 하루 평균 여가시간은 평일 4.3시간, 주말 6.3시간임 (38쪽)

Ⅶ. 안전
□ 2024년 1인가구가 생각하는 사회의 가장 큰 불안 요인은 범죄(17.2%)임
 ㅇ ’24년 1인가구의 28.6%는 우리 사회가 안전하다고 생각하고, 26.1%는 우리 사회가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함 (40쪽)
 ㅇ ’24년 1인가구는 우리사회의 가장 큰 불안 요인을 범죄(17.2%), 경제적 위험(16.9%), 국가 안보(16.5%), 신종 질병(9.2%) 순으로 응답함 (41쪽)
 ㅇ '24년 1인가구의 48.1%는 전반적인 생활환경이 좋다고 응답하였고, 9.8%는 전반적인 생활환경이 나쁘다고 응답함 (42쪽)


[ 통계청 2024-12-0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379 2024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09 27
» 2024 통계로 보는 1인가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09 22
14377 신축 건물 주소, 별도 신청하지 않아도 자동 부여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09 23
14376 인터넷서비스, 위약금 관련 소비자피해 38.9%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06 22
14375 의약품 부작용 치료 비용, 더욱 든든하게 지원하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06 22
14374 노후 아파트 내 어린이놀이터, 안전관리 미흡한 곳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05 34
14373 나를 위한 128가지 복지서비스, 복지멤버십이 알려드려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05 29
14372 연말에는 저렴해진 한우와 함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05 23
14371 연말정산 과다공제, 실수는 예방하고 꼼수에는 적극 대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05 126
14370 도심 버스터미널에 택배·주문배송 시설 들어선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05 14
14369 12월의 추천 공공서비스, 놓치면 아쉬운 ‘내 숨은 돈’, 바로 찾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04 47
14368 겨울철 내 주변 위험요소는 안전신문고로 신고해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04 13
14367 12월부터 민간 앱·웹에서도 고향사랑기부 가능해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04 23
14366 2023년 생명표 작성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04 18
14365 2024년 11월 소비자물가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04 15
Board Pagination Prev 1 ...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990 Next
/ 99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