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모바일 부동산 앱이용 시 허위·미끼성 매물 주의해야

최근 1인 가구의 증가와 함께 원룸·오피스텔 등 전월세 매물 정보를 쉽게 확인하고 방을 구할 수 있는 모바일 부동산 중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하 부동산 앱’) 이용자가 늘고 있는 가운데 허위·미끼성 매물로 인한 소비자 피해가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100개 매물 중 22개는 매물을 볼 수 없고, 13개는 매물 가격이 달라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2016428일부터 510일까지 3개 부동산 (직방·다방·방콜)에 등록된 서울 지역 내 100개 매물에 대하여 앱 내 게시된 정보와 실제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사전 전화 예약 후 방문하였음에도 매물을 보지 못한 경우가 100개 중 22였고, 보증금·관리비·월세 등 가격이 상이한 경우가 13였으며, 층수·옵션 등 정보*1개 이상 일치하지 않는 경우는 24로 나타났다.

* 정보 : 층수, 옵션, 매물 구조, 공인중개사 정보, 전철역과의 거리, 주차 가능(요금) 여부, 엘리베이터 설치 여부, 그 외 기타 내용

_x242079536

매물을 보여주지 않은 이유(22)로는, 해당 매물이 이미 계약되어 볼 수 없다고 하는 경우15(68.2%)로 가장 많았고, ‘집주인 또는 세입자가 연락되지 않은 경우2(9.1%)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격이 상이한 항목(13)으로는 관리비9개로 가장 많았으며, 월세’ 3, ‘보증금’ 1개 순으로 조사됐다.

층수·옵션 등 정보 항목의 일치 여부를 살펴본 결과, 1개 정보가 불일치한 경우가 16개로 가장 많았고, 2개 정보가 불일치한 경우가 6, 3개 정보가 불일치한 경우가 2개로 나타났다.

거래가 완료된 매물의 35.9%가 계속 게시

한편, 사전 방문 예약 과정에서 거래가 완료되어 매물이 없다고 응답한 92개 매물에 대해 정보를 계속 게시하는지 여부를 점검한 결과, 59(64.1%) 매물은 일주일 이내에 게시를 중단하였으나, 33(35.9%) 매물은 거래 완료 후 7일이 경과해도 계속 게시하고 있었다. 거래가 완료된 매물은 허위·미끼성 매물로 이용될 수 있어 사업자는 거래가 완료된 시점에서 게시를 중단해야 한다.

허위매물 정보에 대한 앱 사업자의 책임은 제한적

부동산 앱 이용약관을 살펴본 결과, 매물 정보의 신뢰도·정확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정보를 등록한 사람(부동산 중개업자 등)에게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부동산 앱 사업자는 안심중개사 제도’, ‘허위매물 ZERO' 등을 내세워 앱에서 안전한 거래를 보장하는 듯하지만 부동산 정보를 제공하는 플랫폼을 제공할 뿐이다. 따라서 부동산 정보의 진실성과 정확성에 대한 책임은 앱을 이용하는 부동산 중개업자나 소비자에게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3개 앱 모두 회원 가입 당시에만 이용약관 연결 링크를 제공하고 있어, 소비자가 서비스 가입 이후 사용 중에도 계속 이용약관을 열람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허위·미끼성 매물 근절을 위한 제도 마련 및 부동산 중개 시장 감시 강화 필요

따라서 한국소비자원은 국토교통부에 ▲매물에 대한 거짓·과장 광고를 금지하고, 이를 어길 경우 업무 정지 등의 처벌이 가능하도록 관련 규정을 보완할 것*과 ▲부동산 앱 허위매물 등에 대한 시장 감시 강화 등을 건의할 예정이다.

2

또한, 부동산 앱 사업자에게는 ▲자사 앱 상 허위매물 관련 신고에 대한 조치내용 실시간 공개 ▲앱 이용 소비자가 부동산 중개업소의 신뢰도를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 도입 ▲·건물 층수, 주차요금 등 중요 정보의 명확한 표시 등을 권고할 예정이다.

더불어 소비자에게는 ▲방문 전 전화 통화를 통해 해당 매물이 있는지, 추가 요금은 발생하지 않는지 등을 명확히 확인하고 ▲매물의 가격이 주변 시세에 비해 지나치게 저렴하거나 사진 상 방의 크기가 표시 면적에 비해 넓어 보일 경우 허위·미끼성 매물의 가능성을 의심할 것을 당부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540 「국민건강보험법 시행규칙」 개정안 입법예고 (6.26~7.5)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7 14
11539 생활안전지도를 개선할 아이디어를 찾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7 14
11538 7월 중점관리 대상 재난안전사고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7 14
11537 치매보험금 분쟁을 선제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보험약관을 개선하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02 14
11536 장애등급제 개편에 맞춰 감염병예방법 상 장애일시보상금 기준 정비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02 14
11535 니켈 기준 초과 검출 식품용 기구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08 14
11534 무선물걸레청소기, 청소성능·사용시간 등 성능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08 14
11533 사업자등록 사실증명, 이제 영문으로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08 14
11532 한국지엠, 포드 등 결함시정 (리콜) 실시 [총 5개 차종 830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10 14
11531 2021년까지 전국 모든 중·고교 학생 탈의실 설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17 14
11530 현대자동차, BMW, 포드, FMK 결함시정 (리콜) 실시 [총 12개 차종 10,813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18 14
11529 이제 인터넷 화면에서 바로 공문서 작성해서 제출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18 14
11528 보험 가입시 설계사 및 GA의 신뢰도 정보를 확인,요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22 14
11527 건설근로자공제회, 하반기 대학생 자녀 학자금대출 이자지원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24 14
11526 만성질환자를 위한 자가투여 주사제 안전사용 정보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26 14
Board Pagination Prev 1 ...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