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과 한국생활안전연합(공동대표 윤명오·김태윤·윤선화)은 에스컬레이터와 엘리베이터 등 보행자의 이동편의 증진을 위한 승강기 시설*에서 교통약자인 고령자의 안전사고가 증가함에 따라 소비자안전주의보를 발령했다.

  *승강기 시설 :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 ‘무빙워크’ 등

☐ 승강기 시설 고령자 안전사고, 2021년 이후 2023년까지 매년 2배 넘게 증가해
  
최근 5년간(2020년~2024.9월)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만 65세 이상의 고령자 승강기 시설 안전사고는 총 1,507건으로 2021년(124건) 이후 매년 2배 넘게 증가했고, 2023년에는 전년 대비 124.3%(358건) 상승한 646건이 접수됐다.

 * 연간접수현황(증가율):’20년116건→’21년124건(6.9%)→’22년288건(132.3%)→’23년646건(124.3%)

☐ 인구 만 명당 안전사고는 65세 이상 고령자에게서 가장 많이 발생해
  
상황 인지능력을 갖춘 만 6세 이상 어린이부터 만 65세 이상 고령자의 2023년 생애주기별 인구 만 명당 승강기 시설 안전사고 발생빈도를 분석한 결과, 65세 이상 고령자의 안전사고 발생빈도는 0.68건으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서 월등히 높았는데, 두 번째로 높은 빈도를 기록한 어린이(0.12건) 보다도 약 5배 이상 높았다.

특히, 5세 단위로 구분한 고령자의 안전사고 발생빈도는 ‘85~89세’가 만 명당 1.22건으로 가장 높았고, 최근 5년간 계속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승강기 시설 이용 시 안전 수칙을 준수하는 등 각별한 주의가 필요했다.

☐ 고령자 승강기 시설 안전사고의 91.8%는 ‘낙상사고’, 85.8%는 ‘에스컬레이터’에서 발생해
  
세부적으로 승강기 시설 안전사고의 원인과 발생장소, 부상부위를 살펴보면, 접수된 안전사고(1,507건)의 91.8%(1,384건)는 미끄러져 넘어지거나 추락하는 낙상사고로 나타났고, 발생장소의 85.8%(1,293건)는 ‘에스컬레이터’ 관련 시설에서 발생했다.
  
주요 부상 부위는 ‘머리 및 얼굴’로 전체 안전사고의 절반 이상인 54.7%(827건)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주로 피부가 찢어지는 열상이나 부종, 타박상 등의 증상이었다.

☐ 고령자의 경우,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승강기 시설 안전수칙 준수해야
  
이에 한국소비자원과 한국생활안전연합은 고령자의 승강기 시설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에스컬레이터 등을 탈 때는 반드시 손잡이를 잡아 균형을 잃지 않도록 할 것, ▲엘리베이터 문에 기대거나 충격을 주지 말 것 등을 당부했다.
  
아울러, 승강기 시설 안전사고 이외에도 빈번하게 발생하는 고령자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관련 안전수칙을 담은 ‘어르신을 위한 안전한 소비생활 가이드’를 함께 배포하여 고령자와 보호자가 숙지하고 준수할 수 있도록 홍보할 계획이다.




[ 한국소비자원 2024-11-1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726 금속 섬유가 혼입될 가능성이 있는 Webber Naturals 건강기능식품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 2024.11.14
4725 구속장치가 작동하지 않아 낙상 위험이 있는 유모차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 2024.11.14
4724 과열로 인한 화재 위험이 있는 Fantasy 무선충전패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4.11.14
4723 과열 및 발화 가능성이 있는 AnkerWork 블루투스 스피커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 2024.11.14
4722 과속으로 인한 사고 발생 가능성이 있는 OUXI 산악용 전기자전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 2024.11.14
4721 푸모니신 초과 검출된 ‘과자’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 2024.11.14
4720 과도한 미백 성분이 함유된 Dream Cosmetics 미백 로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 2024.11.13
4719 과도한 농도의 카드뮴이 함유된 목걸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 2024.11.13
4718 과도한 농도의 납을 함유한 유아용 LED 드로잉 테이블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4.11.13
4717 과도한 납이 함유된 무선이어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 2024.11.13
4716 곰팡이가 발생한 플랫 크래프트 버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4.11.13
4715 감전 위험이 있는 YZPOWER 전동킥보드용 충전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 2024.11.13
» 고령소비자, 에스컬레이터 등 승강기 시설 낙상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 2024.11.13
4713 해외직구 팔찌 제품 발암물질 납 기준치 최대 905배 초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4.11.11
4712 최근 3주간 쯔쯔가무시증 환자 증가,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 2024.11.08
4711 아침기온 뚝! 일교차 큰 입동, 겨울철 건강관리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 2024.11.08
4710 추워지는 날씨, 난방기구 사용할 땐 화재 등 안전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 2024.11.07
4709 딥페이크 이용, “자녀 납치했다” 사기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24.11.07
4708 공부 잘하는 약? 집중력 향상 영양제? 온라인 부당광고·불법판매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2 2024.11.05
4707 식품모방완구 놀이 시 안전사고 유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4.11.04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251 Next
/ 25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