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휴가철이나 지역축제, 유명 공연 기간 등 사람이 많이 몰리는 시기에 일부 숙박시설들이 성수기임을 이유로 높은 이용료를 책정하고 있어 소비자들의 부담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이 성수기 숙박요금 동향 파악을 위해 숙박 예약플랫폼에서 판매하는 숙박시설 347곳의 가격을 조사했다. 조사 결과, 공연 및 축제기간 동안 이용요금이 평상시보다 최대 400%까지 치솟은 곳도 있었다.

☐ 공연이나 지역축제 기간에는 최대 400%, 휴가철 최대 196%까지 이용요금 올라
  
지역축제 혹은 대형 공연이 개최되는 기간에 해당 지역 숙박시설의 요금을 조사한 결과, 6개 워터밤* 개최지역(전체 9개)의 숙박시설(47곳) 중 12곳의 이용요금이 평소 주말 대비 최대 400%까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5개 흠뻑쇼** 개최지역(전체 9개)의 숙박시설(41곳) 중 28곳에서는 주말과 비교해 최대 177.8%까지 이용요금이 상승했다. 또한, 일부 지역 축제의 경우 인근 숙박시설 21곳 중 19곳이 평소 주말과 비교해 최대 126.8%까지 이용요금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 다양한 가수들이 출연하는 야외 물테마 공연  ** 가수 싸이가 출연하는 단독 콘서트
  
한편 7~8월 여름철 가격조사 결과, 숙박 요금은 비수기*에 비해 모텔은 최대 196%, 펜션은 최대 111%, 호텔은 최대 192%까지 가격이 올랐다.
   * 「소비자분쟁해결기준」에서 여름 성수기는 7. 15.~8. 24.로 봄.

☐ 숙박시설 이용 시 추가비용과 관련한 소비자불만, 60.5%로 가장 높아
  
최근 2년 7개월간(2022년~2024년 7월)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숙박요금 관련 소비자상담은 총 200건으로 나타났다. 이 중 ‘가격변동 등에 따른 사업자의 일방적인 예약 취소 및 추가금액 요구’ 관련 상담이 60.5%(121건)로 가장 높았다.
   * 공정거래위원회가 운영하고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한국소비자원, 광역지자체가 참여하여 상담을 수행하는 전국 단위 
     소비자상담 통합 콜센터(발신자 부담)

설문조사에서도 응답자 1,568명(중복응답) 중 11.5%(180명)가 숙박시설 이용 시 소비자 피해를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실제 피해를 경험했다고 응답한 소비자(180명)의 피해 유형(394건, 중복응답) 분석 결과, ‘숙박시설 예약 시 몰랐던 추가비용 요구’ 관련이 28.2%(111건)로 가장 많았고, ‘취소 또는 환급 거부’가 20.8%(82건), ‘표시·광고 내용과 계약 내용이 다름’이 20.5%(81건), ‘사업자의 예약 취소 요구’가 16.5%(65건) 순으로 나타났다.

☐ 사업자의 일방적 취소 행위에도 소비자는 분쟁해결기준에 따른 배상 받지 못해
  
설문조사 결과, 사업자로부터 예약 취소를 요구받은 사례(65건) 중 66.2%(43건)*는 사업자 책임으로 예약이 취소됐음에도 제대로 된 배상을 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 피해를 경험했다고 응답한 소비자(180명)의 피해유형(394건)을 분석한 결과
 
「소비자분쟁해결기준」에서는 사업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인해 사용 1일 전 또는 당일 취소할 경우 소비자에게 손해를 배상하도록 정하고 있다. 그러나 실태조사 결과, 숙박시설 347곳 중 49.6%(172곳)가 사업자의 귀책에 따른 사용 1일 전 또는 당일 취소에 대한 구체적인 배상기준을 고지하지 않고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소비자분쟁해결기준」에서는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사용 1일 전 또는 당일 취소하더라도 총 요금의 일부(10% 이상)는 환급하도록 정하고 있다. 그러나 실태조사 결과, 숙박시설 347곳 중 56.8%(197곳)가 소비자의 귀책으로 사용 1일 전 또는 당일 취소할 경우 환급이 불가능하다고 고지하고 있었다.

☐ 명확한 성수기 날짜와 시기별 가격·환급기준 차이를 고지해야 
  
소비자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과반인 59.1%(564명)가 숙박시설이 ‘시기별 이용요금을 예약 홈페이지에 사전 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조사대상 숙박시설(347곳)의 이용거래 조건 고지 여부를 조사한 결과, 83.6%(290곳)는 성수기 기간을 명확히 안내하지 않았다. 또한 환급기준에 대해서는 조사대상의 61.7%(214곳)가 성수기·비수기에 관계없이 동일한 환급기준을 고지하거나 특정기간의 환급기준만 고지하고 있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숙박사업자에게 ▲ 숙박시설 추가 이용요금 사전고지, ▲ 「소비자분쟁해결기준」을 반영한 환급 규정 고지, ▲ 숙박시설 계약해지 시 해지사유별 환급기준 추가, ▲ 명확한 성수기 날짜 및 해당 가격·환급기준을 사전 고지할 것 등을 권고했다.


[ 한국소비자원 2024-10-2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09 K-MaaS 앱(슈퍼무브) 하나로 철도·항공 등 교통수단 검색부터 결제까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0.28 27
608 “유보통합포털” 11월 1일 개통 어린이집 입소, 유치원 입학 신청을 한곳에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0.28 40
607 이달의 국가법령정보센터 기능 개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0.28 38
606 기온 뚝 겨울 불청객 뇌졸중·심근경색증 고위험군 건강관리 및 조기증상 숙지 중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0.28 40
605 국내 뇌졸중 환자 여전히 당뇨 흡연율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0.28 55
604 디지털 지도로 간편하게 폐가전 배출하고, 인공지능 딥러닝으로 위기의 아이들 구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0.28 47
603 고령자 민간임대주택, ‘실버스테이’ 연내 도입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0.29 37
602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정령안 국무회의 의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0.29 66
601 2025년도 장기요양보험료율 동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0.29 53
» 공연·축제기간 숙박요금 최대 400% 상승, 소비자 부담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0.29 49
599 부당한 악성 정보공개 청구 심의회 열어 종결 처리 가능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0.29 29
598 의료취약지역 내 CT, MRI 이용 쉬워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0.30 35
597 어린이 놀이기구, 모발말개 등 4개 제품 리콜명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0.30 35
596 ’24-’25절기 코로나19 영유아용 화이자 백신 접종 예약 오늘부터 시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0.30 32
595 '24년 2/4분기 생활인구 산정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0.30 29
Board Pagination Prev 1 ... 945 946 947 948 949 950 951 952 953 954 ... 990 Next
/ 99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