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이사장 송형근)은 가을철 국립공원 산행 시 말벌, 독사(毒蛇) 등 독성생물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안내했다. 

가을철은 말벌류가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는 시기로, 야외활동 중에 벌 쏘임 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말벌류는 나무 위, 인공구조물, 땅속, 바위틈 등 다양한 곳에서 살기 때문에 탐방객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벌 쏘임 사고를 피하기 위해서는 지정된 탐방로를 이용하고 바위나 땅에 함부로 앉지 않아야 한다. 국립공원공단이 2016년부터 2018년까지 3차례에 걸쳐 말벌류 및 땅벌류의 공격성*을 실험한 결과, 모자를 쓰거나 밝은색 옷을 입는 것이 벌 쏘임 예방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국립공원공단 연구진이 2016년(등검은말벌, 털보말벌), 2017년(장수말벌), 2018년(참땅벌)을 대상으로 공격 대상 색상, 거리, 부위 등을 실험했으며, 이들 벌들은 반달가슴곰 및 오소리(꿀을 채취하는 천적) 등의 외형 색과 비슷한 검은색 및 갈색, 머리 부위를 주로 공격  

말벌에 쏘였을 경우 그 즉시 머리를 보호하며 현장에서 20~30m 이상 벗어나 차가운 물 등으로 환부를 씻어 내야 한다. 

또한 살모사, 쇠살모사, 까치살모사, 유혈목이 등 맹독을 품은 독사를 주의해야 한다. 보통 살모사류는 가을철에 5~10마리 정도 새끼를 낳고 동면을 위한 먹이 포획 활동이 증가하기 때문에 탐방객과 마주칠 수 있다. 

독사의 경우 종마다 독성은 다르지만 물렸을 경우 피부괴사, 가슴 통증, 심근경색, 쇼크사 등 치명상을 입을 수 있다. 야외에서 독사와 마주칠 때 독사를 위협하지 말고 조심해서 피해 가는 것이 좋다.

말벌에게 쏘이거나, 독사에게 물렸을 경우 알레르기 반응이나 쇼크 등의 이상증세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게 병원으로 이동하여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송형근 국립공원공단 이사장은 “가을철 국립공원 탐방 등 야외활동 시에는 주위를 잘 살펴, 독성생물과의 접촉을 피하도록 하고, 반드시 지정된 탐방로를 이용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 환경부 2024-10-02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680 피해다발업체 - 스텝바이(Stepbuy)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1 2024.10.18
4679 국내결혼중개, 중도해지 거부·위약금 과다 청구 피해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 2024.10.16
4678 나도 모르는 사이에 내 휴대전화가 좀비 폰으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1 2024.10.15
4677 공개매수 관련 소비자경보 발령(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5 2024.10.14
4676 단풍 시작, 산행 시 등산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4 2024.10.14
4675 가을철, 끓인 음식도 식중독 주의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0 2024.10.14
4674 온라인쇼핑몰 부업 사기피해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6 2024.10.14
4673 직거래/중고거래 유인 사기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2 2024.10.14
4672 화재 위험이 있는 식품 건조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2 2024.10.08
4671 화재 위험이 있는 Tala 램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7 2024.10.08
4670 화재 위험이 있는 Montbell 헤드랜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 2024.10.08
4669 화재 우려가 있는 Trader Joe's 향초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8 2024.10.08
4668 피부를 자극할 위험이 있는 Tone 윤활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 2024.10.08
4667 피벗캠이 분리되어 부상 위험이 있는 Kuat 자전거랙(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8 2024.10.08
4666 피벗캠이 분리되어 부상 위험이 있는 Kuat 자전거랙(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6 2024.10.08
4665 피벗캠이 분리되어 부상 위험이 있는 Kuat 자전거랙(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3 2024.10.08
4664 프탈레이트를 과다 함유한 Zupapa 트램펄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1 2024.10.08
4663 폭발 위험이 있는 STELTON 탄산수 제조기(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 2024.10.08
4662 공개매수 관련 소비자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 2024.10.08
4661 폭발 위험이 있는 STELTON 탄산수 제조기(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 2024.10.07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243 Next
/ 243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