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5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 이하 ‘소비자원’)과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진종욱, 이하 ‘국표원’), 국립소방연구원(원장 김연상, 이하 ‘소방연구원’)은 야외활동이 늘어나는 가을을 맞이하여 이용이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전기자전거와 전동킥보드 등*에 대해 소비자안전주의보를 발령했다.

 * 전동스케이트보드, 전동킥보드, 전동휠, 전동이륜평행차 등의 개인형 이동장치 
  
전기자전거와 전동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장치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화재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사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전동킥보드 화재 : (’21년) 85건 → (’22년) 142건(+67%) → (’23년) 114건(△20%) →
                           (’24.1월∼7월) 39건(전년동기대비 △29%)

전기자전거 화재 : (’21년) 11건 → (’22년) 23건(+109%) → (’23년) 42건(+82%) →
                        (’24.1월∼7월) 18건(전년동기대비 동일수준)
                                                               (출처 : 소방청 국가화재정보시스템)
  
소방청 화재사고 정보 등에 따르면 전기자전거와 전동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장치 화재는 배터리의 과충전이나 손상이 원인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개인형 이동장치의 사용과 충전 시 배터리 관련 안전수칙을 숙지하여 사고를 예방해야 한다.
  
이에 소비자원, 국표원 및 소방연구원은 전기자전거와 전동킥보드 등의 안전한 사용을 위해 ▲ KC 인증을 받은 전동킥보드와 전기자전거 사용하기, ▲ 주행 전후 배터리 등 제품 이상 유무 확인하기, ▲ 직사광선 노출이나 고온에서 보관을 피하고 우천 시 운행하지 않기, ▲ 화재 발생 시 대피로 확보를 위해 비상구(현관문) 근처에서 충전하지 않기, ▲ 외출이나 취침 시 충전을 피하고 충전 완료 후 코드 분리하기 등을 당부했다. 
  
아울러, 3개 기관은 전기자전거와 전동킥보드 등의 화재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사용 수칙을 담은 홍보 포스터(붙임 2 참고)를 제작하여 한국스마트이모빌리티협회, 소비자단체, 개인형 이동장치 대여업체 등에 배포할 계획이다.



[ 한국소비자원 2024-09-2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86 의약품 성분이 함유된 UMARY 히알루론산 보충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5 2024.09.24
385 이물 혼입 가능성이 있는 Kirkland Signature 영양보충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7 2024.09.24
384 이물 혼입 가능성이 있는 Natural Factors 영양보충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8 2024.09.24
383 적합성 입증이 되지 않은 구명조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3 2024.09.24
382 매년 증가하는 키즈카페 안전사고, 전년 대비 49.8% 상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8 2024.09.25
» 전기자전거·전동킥보드 화재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5 2024.09.25
380 젖산균 오염 및 증식 가능성이 있는 기꼬만 소스(1)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 2024.09.25
379 젖산균 오염 및 증식 가능성이 있는 기꼬만 소스(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4.09.25
378 젖산균 오염 및 증식 가능성이 있는 기꼬만 소스(3)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8 2024.09.25
377 젖산균 오염 및 증식 가능성이 있는 기꼬만 소스(4)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5 2024.09.25
376 젖산균 오염 및 증식 가능성이 있는 기꼬만 소스(5)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7 2024.09.25
375 의류몰 IN A ROW(인아로우)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2 2024.09.26
374 일부 해외직구 반려동물용품과 에센셜오일에서 유해물질 등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6 2024.09.26
373 젖산균 오염 및 증식 가능성이 있는 기꼬만 소스(6)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3 2024.09.26
372 진공 불량 우려가 있는 바바 오토이치 상점 절임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1 2024.09.26
371 폐기 후에도 재점화되어 화재 위험이 있는 파티용 트릭 초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1 2024.09.26
370 화장품에 사용이 불가한 성분이 함유된 MAKARI 세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3 2024.09.26
369 화장품에 사용이 불가한 성분이 함유된 MAKARI 젤 크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0 2024.09.26
368 가연성 기준을 위반한 Swomog 유아용 잠옷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24.09.26
367 감전 위험이 있는 Creworks 초음파 세척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7 2024.09.26
Board Pagination Prev 1 ...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 251 Next
/ 25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