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은 실내 공간에서 어린 자녀를 마음껏 놀게 할 수 있어 선호되는 키즈카페에서 어린이 안전사고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안전주의보를 발령했다.

☐ 최근 증가 추세인 키즈카페 내 안전사고, ‘걸음마기(1~3세)’에 가장 많이 발생
  
최근 5년간(2019년~2023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키즈카페 관련 안전사고는 총 1,205건으로,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중 감소하다 2023년에는 전년 대비 49.8%(112건) 증가한 337건이 접수됐다.

*연간접수현황(증감율):’19년397건→’20년150건(△62.2%)→’21년96건(△36.0%)→’22년225건(134.4%)→’23년337건(49.8%)

※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58개 병원, 52개 소방서 2개 유관기관 등 112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분석‧평가하는 시스템
  
이중 연령이 확인된 1,165건의 안전사고를 분석한 결과, 키즈카페 안전사고의 40.4%(471건)가 보행에 서툴러 넘어지기 쉽고 호기심이 강한 ‘걸음마기(1~3세)’에 발생하고 있어 보호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미끄러짐·넘어짐’ 사고가 48.4%로 가장 많이 발생
  
키즈카페에서 발생한 안전사고의 주요 원인은 ‘미끄러짐·넘어짐’이 48.4%(583건)로 가장 많았고, 이어 ‘추락’ 27.1%(326건), ‘부딪힘’ 13.0%(157건) 등의 순이었다.
  
구체적으로는 키즈카페 놀이시설에서 넘어져 바닥을 짚는 과정에서 ‘팔꿈치’에 ‘골절’이 발생하거나, 추락하면서 ‘머리’에 ‘뇌진탕’을 입는 사례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트램펄린’ 안전사고의 38.9%는 ‘골절’ 사고로 이어져
  
키즈카페 안전사고가 다발하는 상위 10개 품목을 분석한 결과, ‘트램펄린’이 370건으로 가장 많았고, 주로 트램펄린을 타던 중 넘어지거나 추락하면서 팔·다리 등에 골절(38.9%, 144건) 부상을 입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트램펄린 안전사고는 골절과 머리 부상 위험이 크다. 영·유아기의 뼈 특성상 골절 부상은 성장판의 손상으로 이어질 수도 있어, 기구 이용 전에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주의사항 숙지가 반드시 필요하다.

한국소비자원은 키즈카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소비자에게 ▲ 영유아가 기구 및 시설을 이용할 때 항상 보호자가 감독할 것, ▲ 이용 전 놀이기구별 안전 수칙을 아이에게 지도할 것, ▲ 아이의 안전을 위해 미끄럼방지 양말을 착용하게 할 것, ▲ 트램펄린은 비슷한 체중과 나이끼리 이용하고 텀블링 등의 과격한 행동은 하지 않도록 지도할 것 등을 당부했다. 


[ 한국소비자원 2024-09-2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626 전기자전거·전동킥보드 화재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5 2024.09.25
» 매년 증가하는 키즈카페 안전사고, 전년 대비 49.8% 상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8 2024.09.25
4624 적합성 입증이 되지 않은 구명조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3 2024.09.24
4623 이물 혼입 가능성이 있는 Natural Factors 영양보충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8 2024.09.24
4622 이물 혼입 가능성이 있는 Kirkland Signature 영양보충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7 2024.09.24
4621 의약품 성분이 함유된 UMARY 히알루론산 보충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5 2024.09.24
4620 웨이트 플레이트가 이탈될 위험이 있는 덤벨세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5 2024.09.24
4619 복용량 등 법적 요건을 위반한 EFX Sports 체중감량 보충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0 2024.09.24
4618 보호 효과가 미흡한 자전거 헬멧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24.09.24
4617 다른 제품의 라벨이 잘못 부착된 OHSAWA JAPAN 참기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4 2024.09.24
4616 기준치를 초과한 잔류농약이 검출된 Twinings 차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24.09.24
4615 기준치를 초과한 잔류농약이 검출된 CLASSICO 소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6 2024.09.24
4614 ‘스트릿윙스’ 쇼핑몰 배송·환급 지연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4 2024.09.24
4613 기준치를 초과한 잔류농약이 검출된 Badia 향신료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66 2024.09.23
4612 기준치를 초과한 보존료가 검출된 Rubiss 과채음료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7 2024.09.23
4611 기준치를 초과하는 비스페놀A 함유한 Koziol 유리컵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4.09.23
4610 곰팡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OHSAWA JAPAN 라면(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2 2024.09.23
4609 곰팡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OHSAWA JAPAN 라면(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8 2024.09.23
4608 어린이보호포장이 미적용 된 Kao 주방용 세정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24.09.23
4607 화재 위험이 있는 Goal Zero 파워스테이션 모듈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4 2024.09.23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251 Next
/ 25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