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어린이 안전사고, 가정 내에서 가장 많이 발생
- 완구부속품, 전기밥솥, 의약품 등 위해 다발 품목 주의! -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이 최근 3년간(’13년~’15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을 통해 수집한 어린이 안전사고 총 76,845건을 분석한 결과, 1세~3세(걸음마기) 때 가장 많이 다치는 것으로 나타나 보호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1세~3세(걸음마기)’가 38,524건(50.1%)으로 어린이 안전사고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고, 이어 ‘4세~6세(유아기)’ 16,580건(21.6%), ‘7세~14세(취학기)’ 15,063건(19.6%), ‘1세 미만(영아기)’ 6,678건(8.7%)의 순으로 나타났다.

*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 소비자기본법에 의거, 전국 62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 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는 시스템

안전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한 곳은 ‘주택’으로 전체의 69.1%(53,072건)를 차지하였고, 최근 3년 위해발생장소 현황 그래프다음으로 ‘여가, 문화 및 놀이시설’ 7.3%(5,616건), ‘교육시설’ 7.0%(5,338건), ‘도로 및 인도’ 3.4%(2,635건) 등이 뒤를 이었다.

일반적으로 안전한 공간으로 여겨지는 가정에서 어린이 안전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아 가정 내 환경 개선 및 보호자의 주의가 필요하다.

위해부위별로는 ‘머리 및 얼굴’ 부위 손상이 50,330건(65.5%)으로 가장 많았다. 특히, 상체 부분이 하체에 비해 무거워 신체적 불균형이 심한 3세 이하 영유아의 경우, ‘머리 및 얼굴’ 부위 손상 비율이 70% 이상을 차지하였다.

위해품목별로는 ‘바닥재’ 9,178건(11.9%), ‘침실가구’ 8,032건(10.5%), ‘거실가구’ 5,169건(6.7%) 등으로 가구에 의한 어린이 안전사고가 많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바닥재’로 인한 사고 비율은 걸음마를 시작하는 1세~3세(걸음마기)가 15.9%로 가장 높았고, 이후 감소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침실가구’로 인한 사고 비율은 1세 미만(영아기)이 35.8%에 달하였고,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급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어린이에게 사망 및 장애 등 심각한 위해를 발생시킬 수 있는 삼킴, 화상, 중독사고 등을 분석한 결과, ‘이물질 삼킴/흡인사고’는 총 6,016건이 접수되었다. 이 중 완구의 부속품을 삼킨 사례가 849건(14.1%)으로 가장 많았고, ‘구슬’ 655건(10.9%), ‘동전’ 321건(5.4%), ‘스티커’ 201건(3.3%), 그리고 장내 손상 및 심각한 위해를 일으킬 수 있는 ‘전지’도 195건(3.2%) 등이 있었다.

‘화상사고’는 총 2,426건으로 ‘전기밥솥’, ‘정수기’ 등 주로 주방에서 사용하는 물품에 의해 화상을 입는 사고가 많았다.

‘중독사고’는 총 705건으로 ‘의약품’ 225건(31.9%), ‘청소 및 세탁용품’ 90건(12.8%)으로 나타나 특히 3세 이하의 영유아가 있는 가정에서는 의약품, 화학물질 등의 보관 및 관리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블라인드 끈에 의한 질식사고’는 총 4건이었으며, 이 중 1건은 사망사고로 블라인드에 의한 질식사고 발생 즉시 응급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사망에 이를 수 있어 신속한 대처가 필요하다.

한국소비자원은 “어린이 안전사고가 가정이나 놀이시설 등 어린이들이 주로 활동하는 공간에서 발생하고 있다”며 사고 예방을 위한 보호자의 세심한 주의를 당부했다. 아울러 어린이 안전 확보를 위해 어린이 안전사고 분석과 교육용 애니메이션을 지속적으로 보급?확대해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템 2016-06-3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691 박테리아균에 오염된 유아용 파우더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45 2017.04.26
2690 반동으로 사용자 부상 우려 있는 STIHL 체인 톱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 2024.01.04
2689 반려견 안전관리의무 강화키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0 2018.01.18
2688 반려동물 부가서비스 이용 관련 소비자피해 증가 추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5 2020.12.02
2687 반려동물 사료의 위생 및 유해물질 안전관리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5 2020.10.12
2686 반려동물용 탈취제·물휴지에서 CMIT/MIT 등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3 2017.07.25
2685 반사율 미흡해 사고 발생 위험이 있는 AFAIK 안전 조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 2024.03.15
2684 반사율 미흡해 사고 발생 위험이 있는 Miiepls 안전 조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4.03.18
2683 발기부전치료제 성분이 검출된수입 ‘커피’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 2024.03.25
2682 발기부전치료제 유사물질이 검출된 무신고 수입 ‘이엑스티파워플러스’ 제품 회수 조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9 2017.09.05
2681 발등 벨트 고무 부위에 문제 있어 리콜된 Asics 여성용 워킹슈즈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 2023.12.13
2680 발수 기능이 미흡한 Karrimor 남성용 재킷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3 2021.06.24
2679 발암물질 산업용 색소 사용한 빌리밥 고무젖꼭지 판매 중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489 2015.05.12
2678 발연 가능성 있는 Shifth 마사지 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 2022.07.21
2677 발연 및 점화 가능성이 있는 Cuact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기 판매차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2.12.08
2676 발적과 염증 유발 위험 있는 Summer Fridays 마스크 팩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5 2021.06.02
2675 발화 가능성 있는 KEEDOX 타워형 멀티탭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1 2022.03.10
2674 발화 가능성 있는 MAOZUA 타워형 멀티탭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4 2022.03.10
2673 발화 가능성 있는 야마하(YAMAHA) 전기자전거 배터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7 2021.03.17
2672 발화 우려가 있는 칼텍 휴대용 살균탈취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9 2021.05.24
Board Pagination Prev 1 ...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