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어린이 안전사고, 가정 내에서 가장 많이 발생
- 완구부속품, 전기밥솥, 의약품 등 위해 다발 품목 주의! -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이 최근 3년간(’13년~’15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을 통해 수집한 어린이 안전사고 총 76,845건을 분석한 결과, 1세~3세(걸음마기) 때 가장 많이 다치는 것으로 나타나 보호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1세~3세(걸음마기)’가 38,524건(50.1%)으로 어린이 안전사고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고, 이어 ‘4세~6세(유아기)’ 16,580건(21.6%), ‘7세~14세(취학기)’ 15,063건(19.6%), ‘1세 미만(영아기)’ 6,678건(8.7%)의 순으로 나타났다.

*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 소비자기본법에 의거, 전국 62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 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는 시스템

안전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한 곳은 ‘주택’으로 전체의 69.1%(53,072건)를 차지하였고, 최근 3년 위해발생장소 현황 그래프다음으로 ‘여가, 문화 및 놀이시설’ 7.3%(5,616건), ‘교육시설’ 7.0%(5,338건), ‘도로 및 인도’ 3.4%(2,635건) 등이 뒤를 이었다.

일반적으로 안전한 공간으로 여겨지는 가정에서 어린이 안전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아 가정 내 환경 개선 및 보호자의 주의가 필요하다.

위해부위별로는 ‘머리 및 얼굴’ 부위 손상이 50,330건(65.5%)으로 가장 많았다. 특히, 상체 부분이 하체에 비해 무거워 신체적 불균형이 심한 3세 이하 영유아의 경우, ‘머리 및 얼굴’ 부위 손상 비율이 70% 이상을 차지하였다.

위해품목별로는 ‘바닥재’ 9,178건(11.9%), ‘침실가구’ 8,032건(10.5%), ‘거실가구’ 5,169건(6.7%) 등으로 가구에 의한 어린이 안전사고가 많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바닥재’로 인한 사고 비율은 걸음마를 시작하는 1세~3세(걸음마기)가 15.9%로 가장 높았고, 이후 감소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침실가구’로 인한 사고 비율은 1세 미만(영아기)이 35.8%에 달하였고,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급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어린이에게 사망 및 장애 등 심각한 위해를 발생시킬 수 있는 삼킴, 화상, 중독사고 등을 분석한 결과, ‘이물질 삼킴/흡인사고’는 총 6,016건이 접수되었다. 이 중 완구의 부속품을 삼킨 사례가 849건(14.1%)으로 가장 많았고, ‘구슬’ 655건(10.9%), ‘동전’ 321건(5.4%), ‘스티커’ 201건(3.3%), 그리고 장내 손상 및 심각한 위해를 일으킬 수 있는 ‘전지’도 195건(3.2%) 등이 있었다.

‘화상사고’는 총 2,426건으로 ‘전기밥솥’, ‘정수기’ 등 주로 주방에서 사용하는 물품에 의해 화상을 입는 사고가 많았다.

‘중독사고’는 총 705건으로 ‘의약품’ 225건(31.9%), ‘청소 및 세탁용품’ 90건(12.8%)으로 나타나 특히 3세 이하의 영유아가 있는 가정에서는 의약품, 화학물질 등의 보관 및 관리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블라인드 끈에 의한 질식사고’는 총 4건이었으며, 이 중 1건은 사망사고로 블라인드에 의한 질식사고 발생 즉시 응급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사망에 이를 수 있어 신속한 대처가 필요하다.

한국소비자원은 “어린이 안전사고가 가정이나 놀이시설 등 어린이들이 주로 활동하는 공간에서 발생하고 있다”며 사고 예방을 위한 보호자의 세심한 주의를 당부했다. 아울러 어린이 안전 확보를 위해 어린이 안전사고 분석과 교육용 애니메이션을 지속적으로 보급?확대해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템 2016-06-3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173 여름철, ‘콘택트렌즈’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2.07.26
4172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 있는 Tacobear 장신구 세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2.08.24
4171 납 및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 있는 Leonardo 유아용 유리컵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2.08.24
4170 영유아 익사 사고 가능성이 있는 Babyway 유아용 목욕 의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2.08.24
4169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오염 가능성 있는 단백질 쉐이크(4)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2.09.27
4168 추워지는 날씨, 전열기 화재 안전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2.11.17
4167 ‘벤스가구’ A/S·배송 지연으로 인한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2.12.02
4166 중금속 잔류물질이 존재하는 직물로 포장된 ALBERT MENES 향신료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3.07.12
4165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이 있는 Maggi Masala 향신료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3.08.17
4164 부패 가능성이 있는 Post 시리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3.08.17
4163 기준치를 초과하는 잔류농약이 검출된 Brooke Bond 차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3.08.18
4162 전동킥보드 화재! 예방이 최선입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3.08.24
4161 낙상 우려 있는 Woom 유아용 자전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3.09.08
4160 가스 누설 위험 있는 Russell Hobbs 가스레인지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3.09.08
4159 감전 위험 있는 멀티탭(브랜드 미상)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3.09.18
4158 LG전자 인증판매점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3.10.11
4157 SK스토아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3.11.06
4156 전문의약품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리콜된 Hado Labo 피부치료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3.11.20
4155 알러지원 성분이 함유된 Love raw 피넛버터 초콜릿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3.11.20
4154 전문의약품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Esapharma 피부치료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3.11.20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