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어린이 안전사고, 가정 내에서 가장 많이 발생

- 완구부속품, 전기밥솥, 의약품 등 위해 다발 품목 주의! -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이 최근 3년간(’13~’15)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 통해 수집한 어린이 안전사고 총 76,845건을 분석한 결과, 1~3(걸음마기) 때 가장 많이 다치는 것으로 나타나 보호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1~3(걸음마기)’38,524(50.1%)으로 어린이 안전사고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고, 이어 ‘4~6(유아기)’ 16,580(21.6%), ‘7~14(취학기)’ 15,063(19.6%), ‘1세 미만(영아기)’ 6,678(8.7%)의 순으로 나타났다.

12

안전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한 곳은 주택으로 전체의 69.1%(53,072)차지하였고, 다음으로 여가, 문화 및 놀이시설’ 7.3%(5,616), ‘교육시설’ 7.0%(5,338), 도로 및 인도’ 3.4%(2,635) 등이 뒤를 이었다.

일반적으로 안전한 공간으로 여겨지는 가정에서 어린이 안전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아 가정 내 환경 개선 및 보호자의 주의가 필요하다.

위해부위별로는 머리 및 얼굴부위 손상이 50,330(65.5%)으로 가장 많았다. 특히, 상체 부분이 하체에 비해 무거워 신체적 불균형이 심한 3세 이하 영유아의 경우, ‘머리 및 얼굴부위 손상 비율이 70% 이상을 차지하였다.

위해품목별로는 바닥재’ 9,178(11.9%), ‘침실가구’ 8,032(10.5%), ‘거실가구5,169(6.7%) 등으로 가구에 의한 어린이 안전사고가 많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바닥재로 인한 사고 비율은 걸음마를 시작하는 1~3(걸음마기)15.9%로 가장 높았고, 이후 감소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침실가구로 인한 사고 비율은 1미만(영아기)35.8%에 달하였고,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급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어린이에게 사망 및 장애 등 심각한 위해를 발생시킬 수 있는 삼킴, 화상, 중독사고 등을 분석한 결과, ‘이물질 삼킴/흡인사고는 총 6,016건이 접수되었다. 이 중 완구의 부속품을 삼킨 사례가 849(14.1%)으로 가장 많았고, ‘구슬’ 655(10.9%), ‘동전’ 321(5.4%), ‘스티커’ 201(3.3%), 그리고 장내 손상 및 심각한 위해를 일으킬 수 있는 전지195(3.2%) 등이 있었다.

화상사고는 총 2,426건으로 전기밥솥’, ‘정수기등 주로 주방에서 사용하는 물품에 의해 화상을 입는 사고가 많았다.

중독사고는 총 705건으로 의약품’ 225(31.9%), ‘청소 및 세탁용품’ 90(12.8%)으로 나타나 특히 3세 이하의 영유아가 있는 가정에서는 의약품, 화학물질 등의 보관 및 관리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블라인드 끈에 의한 질식사고는 총 4건이었으며, 이 중 1건은 사망사고로 블라인드에 의한 질식사고 발생 즉시 응급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사망에 이를 수 있어 신속한 대처가 필요하다.

한국소비자원은 어린이 안전사고가 가정이나 놀이시설 등 어린이들이 주로 활동하는 공간에서 발생하고 있다며 사고 예방을 위한 보호자의 세심한 주의를 당부했다. 아울러 어린이 안전 확보를 위해 어린이 안전사고 분석과 교육용 애니메이션을 지속적으로 보급확대해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국소비자원 2016-06-3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767 휴대전화 가족결합 할인도 공공 마이데이터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2.19 22
4766 2023 통계로 보는 1인가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12 22
4765 23년 상반기 주요 민원사례로 알아보는 소비자 유의사항05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06 22
4764 항공 운임 ‘총액’으로 꼼꼼하게 확인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06 22
4763 「의료급여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국무회의 의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05 22
4762 2023년 귀속 상반기분 근로장려금 신청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04 22
4761 청탁금지법 시행령 개정안 국무회의 의결, 30일부터 바로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30 22
4760 2023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25 22
4759 부동산 투기 대응 등을 위한 토지거래허가제도 정비 및 거래가격 거짓신고 과태료 상향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20 22
4758 2023학년도 2학기 학자금대출 금리 1.7%로 동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05 22
4757 후원방문판매업자의 정보공개에 관한 고시 개정·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03 22
4756 연료비 아끼고 온실가스 줄이는 에코 드라이빙 캠페인에 참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13 22
4755 기아·폭스바겐 등 자발적 시정조치(리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07 22
4754 4월 ‘커피’ 품목의 소비자상담 증가율 두드러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19 22
4753 어린이용 킥보드, 제품별로 내구성에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02 22
Board Pagination Prev 1 ... 598 599 600 601 602 603 604 605 606 607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