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어린이 안전사고, 가정 내에서 가장 많이 발생

- 완구부속품, 전기밥솥, 의약품 등 위해 다발 품목 주의! -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이 최근 3년간(’13~’15)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 통해 수집한 어린이 안전사고 총 76,845건을 분석한 결과, 1~3(걸음마기) 때 가장 많이 다치는 것으로 나타나 보호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1~3(걸음마기)’38,524(50.1%)으로 어린이 안전사고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고, 이어 ‘4~6(유아기)’ 16,580(21.6%), ‘7~14(취학기)’ 15,063(19.6%), ‘1세 미만(영아기)’ 6,678(8.7%)의 순으로 나타났다.

12

안전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한 곳은 주택으로 전체의 69.1%(53,072)차지하였고, 다음으로 여가, 문화 및 놀이시설’ 7.3%(5,616), ‘교육시설’ 7.0%(5,338), 도로 및 인도’ 3.4%(2,635) 등이 뒤를 이었다.

일반적으로 안전한 공간으로 여겨지는 가정에서 어린이 안전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아 가정 내 환경 개선 및 보호자의 주의가 필요하다.

위해부위별로는 머리 및 얼굴부위 손상이 50,330(65.5%)으로 가장 많았다. 특히, 상체 부분이 하체에 비해 무거워 신체적 불균형이 심한 3세 이하 영유아의 경우, ‘머리 및 얼굴부위 손상 비율이 70% 이상을 차지하였다.

위해품목별로는 바닥재’ 9,178(11.9%), ‘침실가구’ 8,032(10.5%), ‘거실가구5,169(6.7%) 등으로 가구에 의한 어린이 안전사고가 많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바닥재로 인한 사고 비율은 걸음마를 시작하는 1~3(걸음마기)15.9%로 가장 높았고, 이후 감소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침실가구로 인한 사고 비율은 1미만(영아기)35.8%에 달하였고,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급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어린이에게 사망 및 장애 등 심각한 위해를 발생시킬 수 있는 삼킴, 화상, 중독사고 등을 분석한 결과, ‘이물질 삼킴/흡인사고는 총 6,016건이 접수되었다. 이 중 완구의 부속품을 삼킨 사례가 849(14.1%)으로 가장 많았고, ‘구슬’ 655(10.9%), ‘동전’ 321(5.4%), ‘스티커’ 201(3.3%), 그리고 장내 손상 및 심각한 위해를 일으킬 수 있는 전지195(3.2%) 등이 있었다.

화상사고는 총 2,426건으로 전기밥솥’, ‘정수기등 주로 주방에서 사용하는 물품에 의해 화상을 입는 사고가 많았다.

중독사고는 총 705건으로 의약품’ 225(31.9%), ‘청소 및 세탁용품’ 90(12.8%)으로 나타나 특히 3세 이하의 영유아가 있는 가정에서는 의약품, 화학물질 등의 보관 및 관리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블라인드 끈에 의한 질식사고는 총 4건이었으며, 이 중 1건은 사망사고로 블라인드에 의한 질식사고 발생 즉시 응급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사망에 이를 수 있어 신속한 대처가 필요하다.

한국소비자원은 어린이 안전사고가 가정이나 놀이시설 등 어린이들이 주로 활동하는 공간에서 발생하고 있다며 사고 예방을 위한 보호자의 세심한 주의를 당부했다. 아울러 어린이 안전 확보를 위해 어린이 안전사고 분석과 교육용 애니메이션을 지속적으로 보급확대해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국소비자원 2016-06-3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99 소중한 피부, 자외선으로부터 지켜주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07 80
2698 여름철, 레이저 제모기의 올바른 사용법 안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06 155
2697 해외직구 방식을 이용한 치아미백제 불법 판매 적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06 148
2696 무등록 제조 식품‘곤드레 바파다’등 4개 제품 회수 조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06 90
2695 쌀 등급 중‘미검사’삭제하여 쌀 고품질화 촉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06 93
2694 주택연금가입자, 재산세 감면 손쉬워진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06 123
2693 맞춤형 보육 이용시간, 어린이집 이용하기에 충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06 83
2692 ‘모바일 부동산 앱’이용 시 허위·미끼성 매물 주의해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06 138
2691 음주, 무면허 사고사실을 숨겨 자동차보험금을 편취한 사기혐의자 1,435명(17억원) 적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06 339
2690 제대혈 위탁보관 계약서상 불공정약관조항 시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06 167
2689 자궁경부암 무료접종 2주차 1만8천여 명 접종, 안전접종 수칙 준수 당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05 109
2688 재규어랜드로버, FCA, 닛산, 벤츠, 아우디, 스카니아, 두카티 리콜 실시(총 24개 차종 5,963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05 179
2687 스카니아코리아(주), 덤프트럭 시정조치(리콜)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05 187
2686 (설명자료)‘가전 10% 환급‘ 우왕좌왕 정부 (’16.7.4. 중앙)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05 175
2685 금융투자의 자기책임 원칙 확립 방안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05 108
Board Pagination Prev 1 ... 741 742 743 744 745 746 747 748 749 750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