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우리나라는 영아돌연사증후군(SIDS)으로 5년간(2018~2022년) 영아 총 275명이 사망하는 등 연간 출생아 1,000명당 0.2명 내외로 발생*하고 있다. 미국·호주 등은 안전하지 않은 수면 환경을 영아돌연사증후군의 원인 중 하나로 보고 침대, 요람, 쿠션 등 영아 수면용품에 대한 안전기준을 강화하고 있다.
  * 통계청, 「사망원인통계」(2023.9.), 영아사망원인(영아돌연사증후군)

※ 영아돌연사증후군(SIDS, Sudden Infant Death Syndrome) : 1세 미만 영아의 갑작스럽고 예상치 못한 사망을 말하며, 대부분 명확한 이유 없이 수면 중에 발생하여 ‘요람사’라고도 불림.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이 영아 수면용으로 광고·판매하는 30개 제품*을 조사한 결과, 17개(56.7%) 제품은 수면용으로 사용할 경우 질식사고를 일으킬 우려가 있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 요람 10개, 쿠션류 10개, 베개 10개

☐ 바닥면이 경사진 수면용품은 수면 중 질식 우려 있어
  
성장·발달이 미숙한 영아는 수면 중 호흡이 불안하고 상대적으로 덜 발달한 목 근육과 좁은 기도 때문에 다른 연령층에 비해 질식사고의 우려가 높다. 특히, 목을 가누지 못하는 영아를 경사진 수면용품에 재울 경우, 머리 무게로 고개가 앞으로 숙여지면서 기도를 압박하거나, 쉽게 몸을 뒤집을 수 있어 침구에 입과 코가 막히는 등 질식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 조사대상 30개 중 17개 제품, 미국 등에서 수면용으로 판매할 수 없는 제품
  
미국·호주 등은 영아 수면용으로 설계되거나 광고하는 모든 제품의 등받이(표면) 각도를 10도 이하로 규제하고, 각도를 초과하는 제품은 수면용으로의 판매를 금지하고 있다.
  
조사대상 30개 제품의 광고를 조사한 결과, 전 제품(100.0%)이 “침대”, “꿀잠”, “숙면” 등 수면용 또는 수면을 연상시키는 표현과 아기의 잠자는 이미지 등을 활용하여 수면용 제품임을 광고하고 있었다. 

그러나 등받이(표면) 각도를 시험검사한 결과, 조사대상 30개 중 17개(56.7%) 제품이 준용한 미국기준(10도 이하)을 초과(11~58도)하여 미국에서는 수면용으로 판매할 수 없는 제품으로 확인됐다.


☐ 영아돌연사증후군 예방을 위한 주의·경고표시 미흡

  

미국·호주 등은 영아가 누울 수 있는 제품에는 영아돌연사증후군 관련 주의·경고 표시를 의무화하고 있다.

  

영아돌연사증후군 관련 주의·경고 표시를 조사한 결과, 조사대상 30개 중 24개(80.0%) 제품이 질식 위험 등 주의·경고 표시를 하지 않아 영아돌연사증후군 예방을 위한 사업자의 인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모든 조사대상 사업자에게 질식 위험 등 영아돌연사증후군 관련 주의·경고를 표시하고, 등받이(표면) 각도가 10도 초과한 제품은 수면을 연상시키는 광고 내용의 삭제와 수면용이 아니라는 주의사항을 표시하도록 권고했다.

 

아울러 소비자에게는 영아의 안전한 수면과 영아돌연사증후군 예방을 위해 ▲영아의 등을 대고 똑바로 눕혀 재울 것, ▲단단하고 평평한 표면에서 재울 것, ▲수면 공간에는 매트리스에 꼭 맞는 시트를 제외하고 아무것도 두지 말 것 등을 당부했다.

  

국가기술표준원은 영유아의 안전 확보를 위해 안전관리 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개발 과제를 진행 중이며 올해 하반기까지 영아 수면용품에 대한 안전기준 개정안을 마련하고, 업계 및 소비자 등 이해관계자의 의견수렴을 거쳐 안전기준을 개정할 계획임을 밝혔다.



[ 한국소비자원 2024-08-2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587 용역 중개 플랫폼, 수수료는 챙기면서 피해 해결은 소극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3 2024.09.20
4586 50대 이상 중·장년을 노리는 유명의사 사칭 관절염 치료제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9 2024.09.20
4585 추석 전 벌 쏘임·뱀 물림 주의 및 예초기 사용 시 손상 예방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2 2024.09.11
4584 면역력 증진, 혈액순환 개선···화장품 거짓.과장 광고 유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0 2024.09.11
4583 바이낸스 및 아마존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8 2024.09.11
4582 오픈마켓 경유 쇼핑몰 웨스트몰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3 2024.09.10
4581 직거래/중고거래 유인 사기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4 2024.09.10
4580 제조 결함으로 화재 위험이 있는 보조배터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3 2024.09.10
4579 저항력 요건 위반으로 화상 위험이 있는 전기라이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 2024.09.10
4578 익사 위험이 있는 유아용 구명조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2 2024.09.10
4577 익사 가능성이 있는 유아용 보행기 튜브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3 2024.09.10
4576 이물 혼입 가능성이 있는 MORINAGA 과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6 2024.09.10
4575 오작동으로 화재 및 화상 위험이 있는 Atomi 스마트 히터(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5 2024.09.10
4574 오작동으로 화재 및 화상 위험이 있는 Atomi 스마트 히터(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4 2024.09.10
4573 오작동으로 화재 및 화상 위험이 있는 Atomi 스마트 히터(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6 2024.09.10
4572 연기를 감지할 수 없는 YANLOYZW 연기·일산화탄소 감지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1 2024.09.10
4571 연기를 감지할 수 없는 PetUlove 연기·일산화탄소 감지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24.09.10
4570 “추석 명절 항공권, 택배 소비자피해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24.09.10
4569 식약처, 무니코틴 액상형 흡입제품 구매시 주의 당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5 2024.09.09
4568 일교차 큰 가을철, 식중독 발생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4.09.09
Board Pagination Prev 1 ...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 262 Next
/ 26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