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장마 이후 지속되는 높은 습도와 연일 33도 안팎의 폭염이 지속됨에 따라, 열사병, 열탈진 등 온열질환에 대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 온열질환 : 열로 인해 발생하는 급성질환으로 고온의 환경에 장시간 노출 시 두통, 어지럼증, 근육경련, 피로감, 의식 저하 등의 증상을 보이고, 방치 시에는 생명이 위태로울 수 있는 질병으로 열사병과 열탈진이 대표적임.


지난해(2023년)「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 운영 결과에 따르면, 온열질환자는 주로 7월 말부터 8월 초(7.20~8.10) 사이에 전체 환자의 57%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근 폭염이 지속됨에 따라 온열질환자가 더욱 증가할 수 있으므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올해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 운영 결과(5.20.~7.28.), 추정 사망자 4명을 포함한 총 995명의 온열질환자가 신고되어, 전년 동 기간(962명) 대비 3.4% 증가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5.20.~7.28.)까지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로 신고된 온열질환자는 65세 이상이 29.5%를 차지하였고, 전체 발생자 중 남성이 78.7%로 여성보다 많이 발생하였다. 


 온열질환은 작업장(29.3%)과 논밭(18.1%) 등 주로 실외에서 많이 발생(82.0%)하였고, 주 질환은 열탈진(54.0%)과 열사병(21.2%)으로 나타났다.


취약집단 등 건강보호 강화」


 질병관리청은 기후 취약 집단에 대한 「맞춤형 건강수칙」을 본격적인 무더위에 앞서 개발·안내*한 바 있다.


 * (카드뉴스 제공) 임신부(7.12. 배포), 어르신(7.19. 배포), 어린이(7.26. 배포)


 특히 지난 5월에는 온열질환을 예방할 수 있도록 대상자별, 상황별, 장소별 등「온열질환 예방 매뉴얼」을 개발·배포(5.2.)하였고, 7월에는 군중모임 행사 시 발생할 수 있는 온열질환 대비에 참고할 수 있도록 「군중모임행사 온열질환 예방 가이드」를 개발해 관련 기관에 안내(7.24)하였다.


 * 대규모 행사·군중 모임을 준비하는 기관에서는 주최자 및 참여자 체크리스트를 참고하여 온열질환 예방 활동에 활용


 온열질환 예방 매뉴얼 및 예방 가이드 등 관련 자료는 질병관리청 누리집*을 통해 열람 및 내려받아 온열질환 예방 활동에 누구나 손쉽게 참고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 질병관리청(www.kdca.go.kr) > 건강정보 > 건강위해정보 > 폭염 > 건강수칙홍보자료



「폭염대비 건강수칙」


폭염으로 인한 건강 피해는 작은 실천으로도 예방이 가능하므로 물 자주 마시기(물), 시원하게 지내기(그늘), 더운 시간대에는 활동 자제하기(휴식) 등 건강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폭염 주의보·경보가 발령되면 더운 시간대 활동을 줄이고, 불가피한 경우에는 챙 넓은 모자, 밝고 헐렁한 옷 등을 착용하면 온열질환 예방에 도움이 된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건강수칙을 잘 지키는 것만으로도 온열질환을 상당히 예방할 수 있으므로 물을 자주 마시고, 더운 시간대 활동 자제하기 등 건강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라고 강조하였다.


아울러 “특히 취약집단 보호자들은 부모님, 노약자 등에게 안부 전화를 자주 드려 낮 시간 활동 자제, 충분한 물 섭취, 시원한 환경 유지 등 건강수칙이 잘 지켜지도록 함께 살펴주실 것”을 당부하였다.



< 폭염 대비 건강수칙 


① 물 자주 마시기

- 갈증을 느끼지 않아도 규칙적으로 물 자주 마시기

* 신장질환자는 의사와 상담 후 섭취

 시원하게 지내기

- 샤워 자주 하기

- 헐렁하고 밝은색의 가벼운 옷 입기

- 외출 시 햇볕 차단하기(양산, 모자 등)

 더운 시간대에는 활동 자제하기

가장 더운 시간대에는 야외작업운동 등을 자제하고,
시원한 곳에 머물기

* 갑자기 날씨가 더워질 경우 자신의 건강 상태를 살피며 활동 강도 조절하기

 매일 기온 확인하기

기온폭염특보 등 기상 상황을 수시로 확인하기



[ 질병관리청 2024-07-3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526 롯데ON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5 2024.07.31
525 W쇼핑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24.07.31
524 온쇼핑 사칭사이트 주의게시글 타이틀 정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8 2024.07.31
» 장마 이후 지속되는 폭염, 건강수칙을 지켜 온열질환 예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1 2024.07.31
522 익사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NEWAO 구명조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9 2024.07.31
521 작동 불량한 Wild Country 등강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8 2024.07.31
520 적합성 평가를 받지 않아 낙상 위험이 있는 암벽등산용 벨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7 2024.07.31
519 절연 미흡으로 감전 위험이 있는 전기 보온도시락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1 2024.07.31
518 접지 미흡으로 발화 및 폭발 가능성이 있는 iLEPO USB 충전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7 2024.07.31
517 질식 위험이 있는 Instoy 몬테소리 완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1 2024.07.31
516 질식 위험이 있는 Race & Chase 영유아용 원목 완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1 2024.07.31
515 내시경 등 수면마취 후 절대 운전하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24.08.01
514 물놀이 안전수칙을 잘 지키면, 안전 올리고 즐거움 두 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4 2024.08.01
513 폭발한 리튬 전지가 포함된 블루투스 마이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4 2024.08.01
512 표시사항 요건을 위반한 에폭시 레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24.08.01
511 화재 및 감전 위험이 있는 LDNIO 멀티탭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7 2024.08.01
510 감전 위험이 있는 Hatch Baby 베이비 사운드 머신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5 2024.08.01
509 감전 위험이 있는 모기퇴치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0 2024.08.01
508 티몬, 위메프 환불 사태를 악용한 스미싱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0 2024.08.02
507 여름철 폭염 지속...남은 배달음식 상온 보관하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0 2024.08.02
Board Pagination Prev 1 ...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 251 Next
/ 25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