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족구병“유행 지속”최선은“예방수칙 준수”!

  • 수족구병 5월 이후 급증, Enterovirus 71 등에 의한 중증사례 발생
  • 뇌염, 뇌수막염 등 신경계 합병증이 의심될 경우 신속히 병원에 방문하여 진료받기
  • 수족구병이 의심되면 바로 병·의원에서 진료를 받고 자가 격리하기
  • 외출 후, 배변 후, 식사 전·후, 기저귀 교체 전·후 손 씻기의 생활화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기석)는 수족구병이 5월부터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실험실 표본감시에서 뇌염, 뇌수막염 등 중증으로 진행될 수 있는 Enterovirus 71(EV71)이 분리되고, 중증 사례도 보고되어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손, 발, 입안의 수포성 발진 사례]

사진 출처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6659&mobile&cid=51007&categoryId=51007

전국 99개 의료기관이 참여한 수족구병 임상 표본감시결과, 수족구병 의사환자분율*이 23주 30.6명, 24주 36.3명, 25주(6.12∼6.18) 43.0명(잠정치)으로 증가하였으며, 영유아(0∼6세)에서 특히 높았다(49.8명).

* 수족구병 의사환자분율 = 수족구병 의사환자수/총진료환자수 * 1,000

수족구병 의심환자 병원체 감시* 결과, 16년 24주(1.1∼6.11)까지 검사 의뢰된 80건 중 Enterovirus 71이 3건(5.7%) 확인되었으며, 이중 1명(만9개월 남아)은 중증 합병증인 뇌염이 발생하여 중환자실에서 입원치료중이라고 밝히면서,

* 원인병원체 : 에코바이러스 18 (13건), 콕사키바이러스 A16 (6건), 엔테로바이러스 71 (3건), 콕사키바이러스 A10 (2건), 콕사키바이러스 A4 (2건), 기타 엔테로바이러스 (23건)

수족구병 환자가 고열, 구토 등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중증으로 진행될 수 있으므로 신속히 종합병원을 방문하여 정밀검사 및 진료를 받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수족구병을 진단받은 영·유아가 아래와 같은 증상을 보이는 경우>

  1. 39도 이상의 고열이 있거나 38도 이상의 열이 48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2. 구토, 무기력증, 호흡곤란, 경련 등의 증상을 보이는 경우
  3. 팔다리에 힘이 없거나 걸을 때 비틀거리는 등의 증상을 보이는 경우

    * 합병증을 동반한 수족구병 사망사례 현황
    : (‘09년) 2건, (‘10년) 1건, (‘11년) 2건, (‘12년)1건, (‘13년)2건, (14년) 1건, (‘15년) 0건

수족구병 감염 예방 및 확산 방지를 위해 예방수칙 준수를 철저히 해줄 것을 강조하면서, 개인위생 습관 실천이 어려운 영유아에서 많이 발생하는 질환이므로 어린이집, 유치원 등에서 아이 돌보기 전·후 손씻기, 장남감 등 집기 청결 관리 등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 줄 것을 강조하였다.

수족구병 예방수칙

  • 외출 후, 배변 후, 식사 전·후, 기저귀 교체 전·후 손 씻기의 생활화

    * 특히 산모, 소아과나 신생아실 및 산후 조리원, 유치원, 어린이집 종사자

  • 아이들의 장난감, 놀이기구, 집기 등을 청결(소독)히 하기
  • 환자의 배설물이 묻은 옷 등을 철저히 세탁하기
  • 수족구병이 의심되면 바로 병의원에서 진료를 받고 자가 격리하기

[보건복지부 2016-06-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744 수입 삼겹살과 간장·된장의 면세 효과, 가격 인하로 이어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30 8
5743 수입 영.유아용 이유식 중금속 검사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24 71
5742 수입 조제분유, 수입가격 대비 국내 판매가격은 1.8~4.1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28 66
5741 수입 프로바이오틱스 제품 검사명령 시행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26 19
5740 수입과자 구입 시 주의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22 108
5739 수입과자 영양성분 표시 관리 강화 필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09 88
5738 수입쇠고기 구매이유는 ‘합리적인 가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24 73
5737 수입식물 병해충 검출동향 분석결과 발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05 126
5736 수입식품 안전정보포털의 새로운 이름을 지어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02 8
5735 수입식품 원재료 등 허위신고 행정처분 강화된다 !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22 68
5734 수입식품 유통기한 중량 위변조 행위 원스트라이크 아웃제 도입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04 41
5733 수입식품 정보, 이젠 사진으로 쉽게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01 8
5732 수입식품 통관검사, 안전은 올리고 규제는 낮춘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16 25
5731 수입식품안전관리 수출국 현지 중심으로 대전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13 233
5730 수입식품정보마루 전자민원 정보서비스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2.01 29
Board Pagination Prev 1 ... 538 539 540 541 542 543 544 545 546 547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