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SFTS 올해 첫 사망자 발생에 따라 예방수칙 준수 당부

  • 농작업 및 풀숲 야외활동 시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
  • 야외 활동 후 이유 없는 발열증상 발생 시 병원 방문하여 진료와 치료 당부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기석)는 올해 첫 번째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이하 SFTS)’ 사망환자가 발생함에 따라 진드기 매개 감염병인 SFTS에 대한 예방수칙 준수를 당부하였다.

* SFTS : 4-11월 참진드기(야생진드기)에 물려 발생하고 고열, 소화기증상 (구토, 설사 등), 혈소판 감소 등의 증상을 나타냄

<SFTS를 매개하는 작은소피참진드기>

* 첨부파일 참조

< SFTS를 매개하는 작은소피참진드기 >
작은소피참진드기 작은소피참진드기
- (순서)암컷, 수컷, 약충, 유충

* 눈금한칸: 1mm

- 암컷, 비흡혈 상태

SFTS 사망환자는 전남 순천시에 거주하는 84세 여성으로 6월 7일부터 발열, 전신쇠약, 식욕부진 등 증상이 발현하였고, 6월 10일 패혈성 쇼크 등 증상이 악화되어 대학병원으로 전원되어 치료받다가 6월 16일 사망하였다.

6월 15일 광주 보건환경연구원이 시행한 SFTS 유전자 검사에서 양성으로 나와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이 확진검사 시행한 결과 6월 20일에 최종 확진되었다.

SFTS는 2013년 국내에 첫 발생사례 확인 된 이후 ‘13년 36명(17명 사망), ’14년 55명(16명 사망), ‘15년 79명(21명 사망)이 발생하여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16년 6월 22일 현재까지는 17명이 발생하여 작년 동기간(14명) 대비 21.4%가 증가하였다.

SFTS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참진드기*에 물려서 주로 발생하고, 1~2주 정도의 잠복기를 거쳐 발열, 소화기계 증상(오심, 구토, 설사, 식욕부진 등)이 주증상으로 나타내며, 출혈성 소인(혈뇨, 혈변), 신경학적 증상(경련, 의식저하), 다발성 장기부전 등으로 사망에 이를 수 있다.

* 질병관리본부는 참진드기 감시사업(전국 11개 지역, 4월-11월)을 하고 있으며, ‘16년 5월 현재, 채집된 참진드기 중 작은소피참진드기(94.6%)가 가장 많이 채집됨

SFTS는 참진드기가 활동하는 시기(4-11월)에 대부분 발생하고, 주로 야외활동이 많은 중장년 및 면역력이 약해지는 노년층에서 많이 발생하며, 조기 인지와 치료가 중요하다.

보건당국은 매년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 교육 홍보 사업과, 환자 발생 및 관리를 수행하고 있으며, 진드기 매개 감염병인 SFTS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일상생활에서 다음과 같은 예방수칙 준수를 권고하였다.

<진드기 매개질환 예방수칙 및 주의사항>

야외(진드기가 많이 서식하는 풀밭 등) 활동 시

  • 풀밭 위에 옷을 벗어두지 않기, 눕지 않기
  • 돗자리를 펴서 앉고, 사용한 돗자리는 세척하여 햇볕에 말리기
  • 풀밭에서 용변 보지 않기
  • 등산로를 벗어난 산길 다니지 않기
  • 작업 시에는 일상복이 아닌 작업복을 구분하여 입고, 소매는 단단히 여미고 바지는 양말 안으로 집어넣기
  • 진드기가 묻어 있을 수 있는 야생동물과 접촉하지 않기
  • 작업 및 야외활동 시 진드기 기피제 사용이 도움이 될 수 있음

야외 활동 후

  • 옷을 털고, 반드시 세탁하기
  • 샤워나 목욕하기
  • 머리카락, 귀 주변, 팔 아래, 허리, 무릎 뒤, 다리 사이 등에 진드기가 붙어 있지 않은지 꼼꼼히 확인하기

환자 혈액 및 체액에 대한 직접적 노출 주의

  • 의료진은 감염환자 혈액 및 체액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처치 시에 표준적인 혈액 접촉 감염 예방 원칙(Standard Precaution) 준수

 

[보건복지부 2016-06-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71 2016년5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30 85
2670 해외직구 캐주얼 의류, 가격변동 빈번하고 변동폭 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30 140
2669 지난해 의약품 수출실적 5년내 가장 큰 폭으로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9 126
2668 삼계탕, 중국 첫 수출로 대륙입맛 공략에 나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9 90
2667 내년 건강보험료, 올해 수준으로 동결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9 118
2666 타투 화장품·스티커 대체로 안전하나 일부 제품 표시 미흡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9 138
2665 '대부업 등의 등록 및 금융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시행령' 개정안 국무회의 통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9 111
2664 코코본드 예정사유-만기 구체화, 부동산 임대 자율성 확대 등 은행법 시행령 및 은행업감독규정 개정안 공포(6.28.)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9 98
2663 카드사의 불합리한 영업관행 개선방안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9 107
2662 초이스엘 라이트클레이, 무상교환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8 116
2661 회수 대상 의약외품·화장품, 유통 현장에서 바로 차단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8 200
2660 아플라톡신 기준 초과 검출된 땅콩버터 회수 조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8 103
2659 ‘캠핑·레포츠하기 좋은 농촌관광코스 10선’선정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8 126
2658 7월 1일부터 어르신, 결핵 환자, 임산부에 대한 의료비 부담이 줄어들어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8 85
2657 복지 부정수급 신고자에게 포상금 1,051만원 지급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8 96
Board Pagination Prev 1 ... 741 742 743 744 745 746 747 748 749 750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