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불법건축물 대지 소유자에게 이행강제금 부과는 잘못
건축 이행강제금은 위반행위 시정 책임이 있는 자에게 부과해야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성영훈, 이하 권익위)는 불법건축물에 대한 행정청의 시정명령 이행 권한도 없는 건축물 대지 소유자에게 이행강제금을 부과한 처분을 취소하라고 서울특별시 구로구에 의견표명했다.
건축 이행강제금이란 불법건축물에 대한 행정청의 시정명령을 시정기간 내 이행하지 않은 건축주·공사시공자·현장관리인·소유자·관리자·점유자 등(이하 건축주 등)에게 금전을 부과하여 시정을 강제하는 제도를 말한다.
서울 구로구에 거주하는 A씨는 지난 2003년에 관할구청의 사용승인 없이 장기간 무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다가구 주택(6세대)의 대지소유권을 취득하고 주택의 일부를 임차하여 2013년까지 10여 년간 세입자로 거주했다.
관할구청은 A씨가 이 주택에 10년 동안 거주하고 대지소유권도 취득하여 해당 주택의 용승인 절차를 이행할 실질적·법률적 의무가 있고 보아 시정명령 및 이행강제금 부과처분을 하고 재산을 압류했다.
이에 A씨는 이 주택의 소유자를 대상으로 건물 철거에 대한 소송을 제기했고 뒤늦게 서울특별시 행정심판위원회에 관할구청의 이행강제금 부과 처분을 무효로 해 달라며 행정심판을 청구했다.
그러나 서울특별시 행정심판위원회는 세입자인 A씨가 건축주 등해당되지 않아 이행강제금을 부과한 것이 위법하긴 하지만, 행정처분이 무효가 되기 위해서는 그 하자가 중대하고 객관적으로 명백해야 하는데 A씨에 대한 이행강제금 부과처분은 사실관계 등을 오인한 것이므로 무효는 아니라고 재결했다.
관할구청도 A씨가 이행강제금 부과 처분 당시 별다른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다며 A씨에게 부과한 이행강제금 부과 및 압류 처분을 취소할 수 없다는 입장이었다.
A씨의 고충민원을 접수한 권익위는 A씨가 해당 주택의 대지를 소유하고 있으나 해당 주택의 건축허가를 받지도 않았을 뿐 아니라 해당 주택의 위반 부분을 철거하여 사용승인을 받을 수도 없다고 밝혔다.
또한 해당 주택의 소유권이 없는 A씨가 해당 주택을 건축법령에 부합되게 시정할 의무도 없어 이행강제금 부과 대상자인 건축주 에 해당된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이에 권익위는 A씨에 대한 이행강제금 부과 처분이 무효는 아니라도 위법한 처분이라는 서울특별시 행정심판위원회의 재결 등을 종합하여 A씨에 대한 이행강제금 부과 및 부동산 압류 처분을 모두 취소해 줄 것을 관할구청에 의견표명 했다.
관할구청도 권익위의 의견표명을 수용하여 2009년에서 2011년까지 A씨에게 부과된 이행강제금 부과 처분을 취소하고 압류 처분도 해제했다.
[붙임] 관련 법령
□「건축법79(위반 건축물 등에 대한 조치 등) 1
허가권자는 대지나 건축물이 이 법 또는 이 법에 따른 명령이나 처분에 위반되면 이 법에 따른 허가 또는 승인을 취소하거나 그 건축물의 건축주·공사시공자·현장관리인·소유자·관리자 또는 점유자(이하 "건축주등"이라 한다)에게 공사의 중지를 명하거나 상당한 기간을 정하여 그 건축물의 철거·개축·증축·수선·용도변경·사용금지·사용제한, 그 밖에 필요한 조치를 명할 수 있다.”
80(이행강제금) 1
허가권자는 제79조 제1항에 따라 시정명령을 받은 후 시정기간 내에 시정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한 건축주등에 대하여는 그 시정명령의 이행에 필요한 상당한 이행기한을 정하여 그 기한까지 시정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하면 다음 각 호의 이행강제금을 부과한다. (이하 생략)”
 
[국민권익위원회 2016-06-2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683 입국 검역조사 비대면으로 편리하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3.07 37
6682 소비자기본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3.05 37
6681 엠폭스 감염병 위기경보 단계‘주의’에서 ‘관심’으로 하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06 37
6680 2023년 8월 소비자물가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05 37
6679 환경 관련 표시·광고에 관한 심사지침 및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 지침 개정·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31 37
6678 현대·기아·벤츠 등 자발적 시정조치(리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30 37
6677 봄철 수두 및 유행성이하선염 증가, 학교생활 시 감염병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04 37
6676 고용노동부, "근로시간 제도 개편 방안"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07 37
6675 K-POP 팬의 52.7%는 굿즈 수집을 위해 음반 구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07 37
6674 2023년 2월 소비자물가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06 37
6673 「안심상속」사망자 재산조회 서비스 확대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02 37
6672 구직자라면 꼭 알아야 할 최신 채용 경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28 37
6671 전자레인지, 표시용량과 실제 사용 가능 용량에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0.27 37
6670 일회용생리대 건강영향조사 연구 결과 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0.24 37
6669 냉장고, 저장온도성능·에너지소비량·보습률 등 품질에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0.18 37
Board Pagination Prev 1 ... 475 476 477 478 479 480 481 482 483 484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