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여름철 모기의 활동이 활발해지고 야외 활동 시 주로 사용하게 되는 의약외품 모기기피제의 올바른 사용방법과 주의사항 등 소비자 안전사용 정보를 안내한다고 밝혔다.

모기기피제는 모기를 직접 죽이는 살충효과는 없으나 모기가 싫어하는 성분을 이용해 사람에게 접근을 차단하는 제품으로, 작은 입자 형태로 뿌려 사용하는 에어로솔제, 분무형 액제와 발라서 사용하는 로션제·액제·겔제 등이 있다.

모기기피제의 유효성분(주성분)으로는 ▲디에틸톨루아미드 ▲이카리딘 ▲에틸부틸아세틸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파라멘탄-3,8-디올 등이 있으며 각 성분의 종류나 농도에 따라 사용 가능 연령이 달라지므로 나이에 따라 적절한 제품을 선택해 사용해야 한다.

디에틸톨루아미드(DEET)가 10% 이하로 포함된 제품은 6개월 이상부터 사용할 수 있으며, 10% 초과 30% 이하 제품은 12세 이상부터 사용할 수 있다.

이카리딘(Icaridin)은 6개월 미만의 영아에게 사용해서는 안되고, 에틸부틸아세틸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IR3535)는 6개월 미만의 영아에게 사용할 경우 의사와 상의가 필요하며, 파라멘탄-3,8-디올(p-Menthane-3,8-diol)은 4세 이상부터 사용할 수 있다.

모기기피제는 팔·다리·목 등 노출된 피부 또는 옷·양말·신발 등에 뿌리거나 얇게 발라 사용하며, 얼굴에 사용하는 경우 손에 먼저 덜어 눈이나 입 주위를 피해 발라야 한다. 특히 어린이에게 사용할 때는 어른 손에 먼저 덜어서 어른이 어린이에게 발라 주도록 한다.

보통 한번 사용 시 4~5시간 동안 기피 효과가 유지되며, 필요 이상으로 과량 또는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피부가 붉어지는 등 알레르기·과민반응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너무 자주(4시간 이내) 추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기기피제 사용 후 외출에서 돌아오면 기피제가 묻어있는 피부를 비누와 물로 깨끗이 씻고, 옷과 양말도 다시 입기 전에 반드시 세탁해야 한다.

모기기피제는 빠르게 흡수될 수 있는 상처·염증 부위, 점막, 눈·입 주위와 햇볕에 많이 탄 피부에는 사용하지 않아야 하며, 피부가 붉어지는 등 알레르기·과민반응이 나타나거나 눈에 들어갔을 때는 물로 충분히 씻어내고 필요시 의사의 진찰을 받아야 한다.

또한 흡입하지 않도록 밀폐된 공간에서는 사용하지 말아야 하며, 분사형 제품은 화재의 위험이 있으므로 화기 근처에서 보관·사용하면 안된다.

특히 식약처는 현재 허가된 의약외품 모기기피제 중 팔찌형·스티커형 제품은 없다고 밝혔다. 소비자는 향기나는 팔찌·스티커(공산품)를 모기기피제로 오인해 잘못 구매하지 않도록 제품 용기나 포장에서 의약외품 표시와 식약처에 의약외품으로 허가(신고)된 제품인지 의약품안전나라(nedrug.mfds.go.kr)에서 확인* 후 구입해야 한다.

* 의약품안전나라(nedrug.mfds.go.kr) → 의약품등 정보 →의약품 및 화장품 품목정보 → 의약품등 정보검색 → ’제품명‘에서 확인

식약처는 앞으로도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의약외품을 소비자가 안심하고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생활밀착형 안전사용 정보를 꾸준히 제공할 예정이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24-07-1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447 열상 위험이 있는 경작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3 2024.07.18
4446 알레르기 유발물질이 미표시된 Sarson's 식초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9 2024.07.18
4445 안정성이 미흡한 유아 학습용 의자 스탠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0 2024.07.18
4444 알레르기 유발물질 미표시 “생면”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0 2024.07.18
4443 여름철 물놀이용품 안전사고 발생에 주의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8 2024.07.18
4442 손잡이가 미흡하여 부상 위험이 있는 Nacatin 미니 전기톱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1 2024.07.17
4441 소형 부품 삼킴으로 질식할 위험이 있는 BOHS 봉제인형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0 2024.07.17
4440 브레이크 시스템 고장 위험이 있는 BERG Toys BV 유아용 자전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5 2024.07.17
4439 발수 기능 아이콘이 잘못 표시된 유아용 의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2 2024.07.17
4438 발수 기능 아이콘이 잘못 표시된 유아용 모자(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2 2024.07.17
4437 발수 기능 아이콘이 잘못 표시된 유아용 모자(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9 2024.07.17
4436 밀봉 결함이 있는 Hisamitsu 의료용 온열팩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2 2024.07.17
4435 미작동으로 사고 발생 우려가 있는 일산화탄소 감지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8 2024.07.17
4434 미승인 성분을 함유한 중독 위험이 있는 살충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3 2024.07.17
4433 라벨 표시가 잘못된 영유아 잠옷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5 2024.07.17
4432 낙상 위험이 있는 아이젠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8 2024.07.17
4431 끼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Medline 침대 난간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6 2024.07.17
4430 기준치 초과한 잔류농약이 검출된 McCORMICK CULINARY 월계수잎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8 2024.07.17
4429 과도한 농도의 납이 함유된 스피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1 2024.07.17
4428 휴가철, 렌터카 사고 시 수리비·면책금 과다 청구에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0 2024.07.16
Board Pagination Prev 1 ...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 262 Next
/ 26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