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보건복지부는 7월 9일(화) 국무회의에서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법률(이하 자살예방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이 의결되었다고 밝혔다.

이번 시행령 개정안은 자살예방 교육 의무화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자살예방법 개정(‘23.7 공포., ’24.7.12. 시행)에 따라 자살예방 의무교육 대상 추가, 교육 방법, 실시 횟수, 결과 제출 방법 등 법률에서 위임된 사항과 교육 의무화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였다.

개정 자살예방법과 동법 시행령에 따라 국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초중고등학교, 사회복지시설, 병원급 의료기관의 장은 자살방지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하여 연 1회 자살예방 교육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보건복지부 장관 또는 주무부처의 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자살예방법과 동법 시행령에서 규정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자살예방 교육 대상

자살예방 교육 의무 대상은 자살예방법에 규정된 국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초ㆍ중등교육법」 제2조에 따른 학교, 사회복지시설과 자살예방법 시행령에 규정된 병원급 의료기관이다.

자살예방 교육 노력 대상은 자살예방법에 규정된「고등교육법」제2조에 따른 학교와 자살예방법 시행령에 따른 상시근로자가 30명 이상인 사업장과 「대안교육기관법」에 따른 대안교육기관 등이 된다.

2. 자살예방 교육의 내용

자살예방 교육은 자살예방 인식개선 교육과 생명지킴이 교육이 있다. 인식개선 교육은 생명의 소중함과 가치, 자기 이해와 돌봄, 도움 요청에 관한 내용 등을 교육하며 학생·직장인 등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권장한다.   생명지킴이 교육은 자살 문제와 현황, 자살위험요인과 자살경고신호, 자살위기 대응 기술 등을 교육하며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등 서비스 제공자를 대상으로 권장한다.

3. 자살예방 교육의 방법과 실시 횟수

인식개선 교육 또는 생명지킴이 교육을 연 1회 이상 실시하여야 하며 집합교육, 시청각 교육 또는 인터넷 교육의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4. 자살예방 교육 실적 보고

자살예방 교육을 의무로 실시해야 하는 기관ㆍ단체 및 시설의 장은 교육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다음 연도 1월 31일까지 보건복지부 장관 또는 주무부처의 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자살예방 교육 의무화는 개정 자살예방법과 동법 시행령에 따라 2024년 7월 12일부터 시행되나 부칙에 따라 2024년 1월 1일부터 7월 12일 이전까지 종전의 자살예방법 제17조제1항*에 따라 교육을 실시한 경우 2024년도 자살예방 교육을 한 것으로 본다.

 * (종전 자살예방법 제17조제1항) 각 호에 해당하는 기관ㆍ단체 및 시설의 장은 자살방지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하여 자살예방 상담ㆍ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자세한 자살예방 교육 안내와 교육 수강은 누리집(edu.kfsp.or.kr)을 참고하면 된다.

보건복지부 이형훈 정신건강정책관은 “자살예방 교육을 통해 우리 사회에 생명존중문화가 더욱 확산되기를 바란다.”라며, “자살위험이 있을 때 도움을 요청하는 방법과 도움을 주는 방법 등에 대해 실효성 있는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탄탄한 생명안전망이 조성되어 자살률 감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하였다.


[ 보건복지부 2024-07-0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939 피싱 범죄, 간편하게 제보하고 신속하게 차단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7.18 133
13938 제습기, 제품별로 제습성능·제습효율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7.17 108
13937 건강하고 안전한 여름휴가를 위한 올바른 장보기 요령과 식재료 보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7.17 147
13936 내일(7.19일)부터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이 시행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7.17 91
13935 ‘7월은 재산세 납부의 달’입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7.16 89
13934 주식·카드 포인트·상품권도 기부 가능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7.16 80
13933 자동차 결함 시정(리콜) 전에 미리 수리한 소유자도 비용을 보상받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7.16 119
13932 2024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 부가조사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7.16 107
13931 전기차 충전기 등급제 도입으로 소비자 선택권 강화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7.16 133
13930 7월 소(牛)프라이즈! 이제는 투뿔(1++)까지 최대 50% 할인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7.16 146
13929 「고용보험법」 및 「고용산재보험료징수법」 개정안 등 고용노동부 소관 8건 국무회의 심의·의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7.16 100
13928 번거롭고 어려운 고객 주소 오류 수정, 행안부가 대신해 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7.15 124
13927 풍수해지진재해보험금, 지금 당장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7.15 76
13926 여름철 알아두면 유용한 자동차보험 정보를 안내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7.15 99
13925 시외버스, 온라인 예매 노선 2배 늘리고, 모든 노선 해외카드 결제 가능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7.15 125
Board Pagination Prev 1 ...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 1018 Next
/ 10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