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는 2024년 상반기 ‘공공데이터 제공 표준(이하 데이터 표준)’을 제·개정했다고 밝혔다.

 ○ ‘데이터 표준’은 지방자치단체 등 다수의 공공기관이 각기 다른 형태로 민간에 제공하고 있는 데이터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데이터를 동일한 형식과 항목으로 표준화한 것이다. 

 ○ 데이터 표준을 통해 데이터를 개방하는 공공기관은 정확한 기준을 갖고 데이터의 내용과 형식을 관리할 수 있게 되어 체계적인 데이터 관리를 할 수 있게 된다. 

 ○ 민간기업은 데이터 표준을 적용한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여러 기관을 찾아다니며 각기 다른 형태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불편을 덜게 되었다. 

□ 행정안전부는 2014년에 2종을 최초로 제정한 후 점진적으로 데이터 표준을 확대하여 2023년까지 203종의 공공데이터를 발굴해 데이터 표준을 제공해왔다. 

 ○ 이를 통해 공공기관이 시행하고 있는 데이터 개방업무의 신뢰성을 높이고 민간기업의 서비스 창출을 활성화하고 있다.
 
 ○ 특히, 전국 주차장 정보(국토교통부)와 장애인 편의시설(보건복지부), 식품영양 성분정보(식품의약품안전처) 등의 데이터 표준은 국민의 일상을 편리하게 변화시킨 대표적 사례이다. 

   ※ 데이터 표준(누적) : (’14년) 2종 → (’22년) 169종 → (’23년) 203종→ (’24년) 250종목표

□ 이번에, 행정안전부는 공공행정 분야, 식품건강 분야 등 9개 분야 15종의 데이터 표준을 신규로 제정했다. (붙임 참고)

 ○ 이와 함께 기존에 제공해오던 데이터 표준 199건은 기관 의견 및 기초정보 변동사항을 반영하여 개정했다.

□ 행정안전부는 올해 하반기에도 데이터 표준 32종을 추가 발굴하여 연내 총 250종을 운영할 예정이다.

 ○ 데이터 표준은 공공데이터포털(www.data.go.kr)에서 제공되고 있으며, 국민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공개하고 있다.

   ※ 데이터 표준은 공공데이터포털(www.data.go.kr)의 데이터찾기-데이터목록-표준데이터셋 메뉴에서 확인 

□ 한편, 정부가 민간에 개방하는 데이터의 표준화 범위가 지속 확대됨에 따라, 앞으로 국민의 생활과 밀접한 민간기업의 서비스 창출이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 이용석 디지털정부혁신실장은 “국민생활과 밀접한 다양한 분야의 데이터 표준의 개발 및 개방이 중요하다”라며, “향후 국민편의 증진뿐 아니라 신산업 육성에 필요한 데이터 표준을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민간기업의 서비스 창출을 지원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 행정안전부 2024-07-0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924 2023-2024절기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 해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7.12 115
13923 시각장애인도 야구장에서 프로야구 경기 생생하게 즐긴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7.12 102
13922 2024년 신규 도입 ‘요실금 치료 지원 사업’ 추진 지역 16개 시·군·구 선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7.12 106
13921 65세 이상 인구 1,000만 명 넘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7.11 126
13920 학교 밖 청소년이라면 무료로 건강 챙기고 편의점 상품권도 받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7.11 88
13919 기아·닛산등 자발적 시정조치(리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7.11 104
13918 국립공원 안전사고 예방, 여름철 성수기 불법행위 집중단속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7.10 107
13917 2024년 6월 고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7.10 75
13916 용산어린이정원, 방문 하루 전 예약·당일 입장 가능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7.10 99
13915 무료 공영 주차장 장기 방치 차량, 10일부터 견인 가능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7.10 123
13914 2024년 6월 강원특별자치도 고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7.10 67
13913 여성용 수영복 내구성과 기능성에 제품 간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7.09 130
13912 위기임산부 상담전화 1308, 약국과 임신테스트기에서도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7.09 122
13911 자살예방 교육이 의무화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7.09 73
13910 「교통안전법」 시행령 개정안, 9일 국무회의 의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7.09 87
Board Pagination Prev 1 ...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 1018 Next
/ 10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