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정신건강센터(센터장 곽영숙)는 전 국민의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건강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 제공 등을 목적으로 ?2024년 국민 정신건강 지식 및 태도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발표하였다.
이번 조사는 정신건강 관련, 총 4개 분야*에 대해 전국 15세 이상 69세 이하 국민 3,000명을 대상(’22년 2,000명)으로 약 3개월간 진행되었다.
* ▲정신건강에 대한 인식, ▲정신건강 상태, ▲정신질환 사례별(Case Vignette) 인식 (’24년 신규추가), ▲정신건강 관련 기관 인지도
주요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신건강에 대한 인식) 정신질환 이해도는 4.05점으로 ’22년 대비 0.1점 상승하였고, 부정적 인식(’22년 3.15점 → ’24년 3.12점)과 수용도(’22년 3.18점 → ’24년 3.22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인식이 개선된 항목은 ▲누구나 정신질환에 걸릴 수 있다(’22년 83.2% → ’24년 90.5%), ▲정신질환은 일종의 뇌기능 이상일 것이다(’22년 49.3% → ’24년 61.4%) 등이 있으며, ▲내가 정신질환에 걸리면 몇몇 친구들은 나에게 등을 돌릴 것이다(’22년 39.4% → ’24년 50.7%), ▲정신질환이 있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더 위험한 편이다(’22년 64.0% → ’24년 64.6%)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방법을 알고 있다(’22년 27.9% → ’24년 24.9%) 등은 상대적으로 인식이 악화됐다.
(정신건강 상태) ‘평소 자신의 정신건강 상태’를 묻는 문항에 대해, 응답자의 55.2%가‘좋다’라고 평가하였다. 또한, 전체 응답자의 78.8%가 ‘평소 건강한 정신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라고 답하였다. 하지만, 지난 1년간 정신건강 문제 경험률은 73.6%로 ’22년 결과(63.9%)에 비해, 9.7%p 증가하였다.
특히, ▲심각한 스트레스(’22년 36.0% → ’24년 46.3%), ▲수일간 지속되는 우울감(’22년 30.0% → ’24년 40.2%), ▲기타중독(인터넷, 스마트폰 등)(’22년 6.4% → ’24년 18.4%) 등은 ’22년도 결과 대비 10%p 이상 증가하였다. 이러한 정신건강 문제 경험 시, 도움을 요청했던 대상은 ‘가족 및 친지’가 49.4%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정신과 의사 또는 간호사(44.2%), 친구 또는 이웃(41.0%) 순이었다.
(정신질환 사례별 인식) 정신질환 사례별(Case Vignette) 인식은 주어진 사례를 보고 해당 질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으로, 총 3가지 사례(▲주요 우울 장애, ▲정신과적 증상이 불분명한 자살사고, ▲조현병)에 대해 1,000명씩 유의 할당하여 조사하였다.
앞서 정신건강에 대한 일반적 이해도가 높아진 것과는 달리, 제시된 정신질환 사례를 정확하게 인식한 비율은 주요 우울 장애 43.0%, 조현병 39.9%로 다소 낮았다. 또한, 부정적 인식에서 ‘정신질환자는 위험하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64.6%인 것과 달리, ‘사례와 같은 정신질환 문제가 있는 사람들은 다른 사람에게 위험하다.’라고 응답하는 비율*이 매우 낮았다.
* ▲주요 우울 장애 11.9%, ▲자살사고 12.4%, ▲조현병 31.9%
(정신건강 관련 기관 인지도)‘국립정신건강센터’인지도는 66.8%로 ’22년(65.6%) 대비 1.2%p 증가했으나, 그 외 기관 및 상담 전화 인지도*는 떨어졌다.
* ▲정신건강복지센터(60.6% → 58.1%), ▲정신건강위기상담전화(33.1% → 23.3%) 등
국립정신건강센터 곽영숙 센터장은 “본 조사를 통해, ’22년 대비 정신건강 문제 경험률이 높아진 것과 달리,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방법을 아는 비율은 오히려 감소하였다”라며, “정신건강 문제는 치료가 필요한 질환이며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교육을 적극적으로 해야 한다”라고 말하였다.
?2024년 국민 정신건강 지식 및 태도 조사?의 상세 보고서와 과거 조사에 대한 결과보고서는 국립정신건강센터 공식 누리집(ncmh.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보건복지부 2024-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