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2022년 손상으로 인해 병원에 입원한 환자의 발생현황 조사결과인 「2022년 퇴원손상통계」 및 원시자료를 6월 26일(수)부터 대국민 공개한다고 밝혔다.


퇴원손상심층조사는 손상 발생 및 역학적 특성에 대한 통계를 생산하고 손상예방관리정책 수립 및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지난 2005년부터 실시해 왔으며, 분석한 결과를 「퇴원손상통계」를 통해 ’06년부터 매년 공개하고 있다.



1. 입원환자의 15.4%는 손상환자, 질병군 중 1위


2022년 퇴원손상심층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2022년 전체 입원환자는 7,402,655명이었으며, 이 중 손상환자가 1,142,195명(15.4%, 1위)으로 가장 많이 차지하였다(그림 1 참고). 또한 10년 전과 비교해 2.3%p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손상예방에 대한 국가적 관리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그림 2 참고).


전체 손상환자 중 남자(51.7%)가 여자(48.7%)보다 더 많았지만, 65세 이상 연령층에서는 여자가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그림 3 참고).



2. 추락·낙상이 주요 원인, 꾸준히 증가 추세


손상의 주요 원인으로는 추락·낙상(49.6%)이 가장 많았으며(그림 4 참고), 여자(1,182명)가 남자(813명)보다 1.5배 높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운수사고(22.1%), 부딪힘(11.1%) 순으로 많았는데,  ’12년 퇴원율*과 비교하여 운수사고는 감소(’12년 771명→’22년 444명, 42.4%↓)하였고, 추락·낙상은 증가(’12년 703명→’22년 998명, 42.0%↑)하였다(그림 5 참고).

  * 퇴원율 : 해당년도 추계인구를 반영한 인구 10만 명당 퇴원환자수


추락·낙상으로 인한 손상환자는 55세부터 여자가 남자보다 많았고,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퇴원율 격차는 더 증가하였다. 연령별 퇴원율은 연령에 따라 증가하여 75세 이상 여자(5,957명)에서는 0-14세 여자(202명)보다 29.5배 높게 나타났다(그림 6 참고).  



3. 중독 환자 중 15-24세는 자해 목적이 대부분, 주로 신경정신작용약물 중독


중독 환자는 여성이 남성보다 많았으며, 특히 15-34세는 여성이 남성보다 약 2.5배 가량 많이 발생하여, 여성의 중독에 대한 세심한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7 참고).


중독 손상환자 중 15-24세에서 의도성 자해 중독(89.4%)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55-64세에서는 비의도성 중독(48.9%)과 의도성 자해 중독(48.7%)의 비율이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그림 8 참고). 이는 같은 손상이라 하더라도 성별·연령별로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손상예방관리도 성별·연령별 특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자해 목적으로 사용하는 중독물질을 살펴보면, 15-54세 및 75세 이상의 자해 중독 환자는 항뇌전증제·진정제·최면제·항파킨슨제·정신작용약물(47.1-53.2%)에 의한 중독이 가장 많았고, 55-74세에서는 살충제·제초제(42.8-53.1%)로 인한 자해 중독이 많았다(그림 9 참고).



4. 의도성 자해 환자, 청소년에서 가장 많이 발생


생애주기별 의도성 자해 환자 퇴원율은 청소년(13-18세)이 64명으로 가장 많았고, 노인(65세 이상) 52명, 청장년(19-64세) 32명, 어린이(0-12세) 1명 순이었다. ’12년과 비교하면 청소년(13-18세)은 증가(’12년 28명→’22년 64명, 128.6%↑)하였고, 노인(65세 이상)은 감소(’12년 81명→’22년 52명, 35.8%↓)하였다(그림 10 참고). 청소년의 의도적 자해는 최근 3년간 지속 증가 추세(’20년 48명, ’21년 57명, ’22년 64명)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22년에는 여자 청소년(100명)이 남자 청소년(31명)의 3.2배로 높아 사회적 관심과 대책이 필요한 부분이다.



5. 주로 길·간선도로와 주거지에서 많이 발생


손상은 길·간선도로(남자 29.2%, 여자 24.1%)와 주거지(남자 13.2%, 여자 27.4%)에서 주로 발생하였으며, 남자는 산업·건설현장(남자 7.0%, 여자 0.7%), 여자는 상가, 쇼핑몰 등 상업시설(남자 2.3%, 여자 2.5%)에서 다음으로 많이 발생하였다(그림 11 참고). 



6. 손상환자의 재원일수가 가장 길고, 연령에 따라 증가


손상환자의 평균재원일수(13일)는 전체 입원환자의 재원일수 평균(8일)에 비해 길었고, 연령이 높아질수록 재원 기간도 증가하였다(0-14세 6일 → 75세 이상 17일). 손상 원인별로는 불·화염·열(14일), 추락·낙상(14일), 운수사고(12일) 순으로, 진료비 지불원별로는 산재보험(24일), 의료급여(17일), 국민건강보험(12일) 순으로 길었다(그림 12~14 참고). 



7. 연령별 특성에 따른 손상예방관리 필요


2022년 퇴원손상심층조사 결과에 따르면, 손상은 연령별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생애주기별 손상예방관리가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효과적인 손상 예방과 관리를 위해서는 손상 발생 규모나 위험요인을 파악할 수 있는 감시체계를 통해 과학적 근거 마련이 우선되어야 한다.”라며, “감시체계 운영을 통해 생애주기별 손상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대국민 손상예방수칙을 개발·보급함으로써 국민의 건강 증진에 기여하겠다.”고 전했다.


질병관리청은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어린이 체험활동 손상예방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보급(4.8.)한 바 있으며, 상반기에 노인 낙상 예방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과 및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보급할 예정이다.


「2022년 퇴원손상통계」는  국가손상정보포털* 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원시자료는 「질병관리청 원시자료 공개절차 등에 관한 규정(질병관리청 예규 제124호)」에 따라 국가손상정보포털 누리집을 통해 신청서를 접수하고 심의를 거쳐 제공한다. 이용자는「퇴원손상심층조사 원시자료 이용지침서」를 통해 자료의 구조를 이해하고, 분석 시 필요한 변수를 손쉽게 활용할 수 있다. 

  * 국가손상정보포털 누리집(https://www.kdca.go.kr/injury) > 자료실> 통계집




[ 질병관리청 2024-06-2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389 바늘 조각이 발견된 Red Land Cotton 침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 2024.06.28
4388 미생물이 증식할 가능성이 있는 반려동물 눈꺼풀 물티슈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 2024.06.28
4387 리스테리아균 오염 가능성이 있는 PLANTERS 견과류 가공품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 2024.06.28
4386 기준을 위반한 보존료가 함유된 CANDY KITTENS 젤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 2024.06.28
4385 금속 조각 혼입 가능성이 있는 Pedigree 반려견용 사료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 2024.06.28
4384 과도한 납을 함유한 유아 미술용 폼롤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 2024.06.28
4383 경첩 불량으로 도어 테두리가 손상될 위험이 있는 빌트인 오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6.28
4382 건강상의 피해가 우려되는 세븐프리미엄 견과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 2024.06.28
4381 치과 임플란트 시술 관련 피해, 매년 증가 추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 2024.06.28
4380 가정에서 사용하는 ‘개인용 인공호흡기’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 2024.06.27
» 입원환자 중 손상환자 비율 여전히 1위, 추락·낙상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 2024.06.26
4378 ‘㈜티움커뮤니케이션’ 관련 쇼핑몰 이용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 2024.06.26
4377 피해다발업체 - 이끌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 2024.06.26
4376 여름철 음식점에서 주의해야 할 식중독 예방법 알려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 2024.06.24
4375 무더운 여름철, 야생버섯 섭취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 2024.06.24
4374 온라인쇼핑몰 부업 사기피해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 2024.06.24
4373 국내외 유명 투자전문가를 사칭하는 채팅App(오픈채팅방)의 해외주식 매수추천에 유의해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 2024.06.18
4372 더위 시작, 올여름 에어컨과 선풍기 안전 사용으로 화재 예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 2024.06.17
4371 알레르기 유발물질 미표시한 “곡류가공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 2024.06.14
4370 피해다발업체 - 위잇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8 2024.06.1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