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2022년 손상으로 인해 병원에 입원한 환자의 발생현황 조사결과인 「2022년 퇴원손상통계」 및 원시자료를 6월 26일(수)부터 대국민 공개한다고 밝혔다.


퇴원손상심층조사는 손상 발생 및 역학적 특성에 대한 통계를 생산하고 손상예방관리정책 수립 및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지난 2005년부터 실시해 왔으며, 분석한 결과를 「퇴원손상통계」를 통해 ’06년부터 매년 공개하고 있다.



1. 입원환자의 15.4%는 손상환자, 질병군 중 1위


2022년 퇴원손상심층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2022년 전체 입원환자는 7,402,655명이었으며, 이 중 손상환자가 1,142,195명(15.4%, 1위)으로 가장 많이 차지하였다(그림 1 참고). 또한 10년 전과 비교해 2.3%p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손상예방에 대한 국가적 관리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그림 2 참고).


전체 손상환자 중 남자(51.7%)가 여자(48.7%)보다 더 많았지만, 65세 이상 연령층에서는 여자가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그림 3 참고).



2. 추락·낙상이 주요 원인, 꾸준히 증가 추세


손상의 주요 원인으로는 추락·낙상(49.6%)이 가장 많았으며(그림 4 참고), 여자(1,182명)가 남자(813명)보다 1.5배 높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운수사고(22.1%), 부딪힘(11.1%) 순으로 많았는데,  ’12년 퇴원율*과 비교하여 운수사고는 감소(’12년 771명→’22년 444명, 42.4%↓)하였고, 추락·낙상은 증가(’12년 703명→’22년 998명, 42.0%↑)하였다(그림 5 참고).

  * 퇴원율 : 해당년도 추계인구를 반영한 인구 10만 명당 퇴원환자수


추락·낙상으로 인한 손상환자는 55세부터 여자가 남자보다 많았고,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퇴원율 격차는 더 증가하였다. 연령별 퇴원율은 연령에 따라 증가하여 75세 이상 여자(5,957명)에서는 0-14세 여자(202명)보다 29.5배 높게 나타났다(그림 6 참고).  



3. 중독 환자 중 15-24세는 자해 목적이 대부분, 주로 신경정신작용약물 중독


중독 환자는 여성이 남성보다 많았으며, 특히 15-34세는 여성이 남성보다 약 2.5배 가량 많이 발생하여, 여성의 중독에 대한 세심한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7 참고).


중독 손상환자 중 15-24세에서 의도성 자해 중독(89.4%)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55-64세에서는 비의도성 중독(48.9%)과 의도성 자해 중독(48.7%)의 비율이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그림 8 참고). 이는 같은 손상이라 하더라도 성별·연령별로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손상예방관리도 성별·연령별 특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자해 목적으로 사용하는 중독물질을 살펴보면, 15-54세 및 75세 이상의 자해 중독 환자는 항뇌전증제·진정제·최면제·항파킨슨제·정신작용약물(47.1-53.2%)에 의한 중독이 가장 많았고, 55-74세에서는 살충제·제초제(42.8-53.1%)로 인한 자해 중독이 많았다(그림 9 참고).



4. 의도성 자해 환자, 청소년에서 가장 많이 발생


생애주기별 의도성 자해 환자 퇴원율은 청소년(13-18세)이 64명으로 가장 많았고, 노인(65세 이상) 52명, 청장년(19-64세) 32명, 어린이(0-12세) 1명 순이었다. ’12년과 비교하면 청소년(13-18세)은 증가(’12년 28명→’22년 64명, 128.6%↑)하였고, 노인(65세 이상)은 감소(’12년 81명→’22년 52명, 35.8%↓)하였다(그림 10 참고). 청소년의 의도적 자해는 최근 3년간 지속 증가 추세(’20년 48명, ’21년 57명, ’22년 64명)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22년에는 여자 청소년(100명)이 남자 청소년(31명)의 3.2배로 높아 사회적 관심과 대책이 필요한 부분이다.



5. 주로 길·간선도로와 주거지에서 많이 발생


손상은 길·간선도로(남자 29.2%, 여자 24.1%)와 주거지(남자 13.2%, 여자 27.4%)에서 주로 발생하였으며, 남자는 산업·건설현장(남자 7.0%, 여자 0.7%), 여자는 상가, 쇼핑몰 등 상업시설(남자 2.3%, 여자 2.5%)에서 다음으로 많이 발생하였다(그림 11 참고). 



6. 손상환자의 재원일수가 가장 길고, 연령에 따라 증가


손상환자의 평균재원일수(13일)는 전체 입원환자의 재원일수 평균(8일)에 비해 길었고, 연령이 높아질수록 재원 기간도 증가하였다(0-14세 6일 → 75세 이상 17일). 손상 원인별로는 불·화염·열(14일), 추락·낙상(14일), 운수사고(12일) 순으로, 진료비 지불원별로는 산재보험(24일), 의료급여(17일), 국민건강보험(12일) 순으로 길었다(그림 12~14 참고). 



7. 연령별 특성에 따른 손상예방관리 필요


2022년 퇴원손상심층조사 결과에 따르면, 손상은 연령별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생애주기별 손상예방관리가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효과적인 손상 예방과 관리를 위해서는 손상 발생 규모나 위험요인을 파악할 수 있는 감시체계를 통해 과학적 근거 마련이 우선되어야 한다.”라며, “감시체계 운영을 통해 생애주기별 손상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대국민 손상예방수칙을 개발·보급함으로써 국민의 건강 증진에 기여하겠다.”고 전했다.


질병관리청은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어린이 체험활동 손상예방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보급(4.8.)한 바 있으며, 상반기에 노인 낙상 예방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과 및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보급할 예정이다.


「2022년 퇴원손상통계」는  국가손상정보포털* 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원시자료는 「질병관리청 원시자료 공개절차 등에 관한 규정(질병관리청 예규 제124호)」에 따라 국가손상정보포털 누리집을 통해 신청서를 접수하고 심의를 거쳐 제공한다. 이용자는「퇴원손상심층조사 원시자료 이용지침서」를 통해 자료의 구조를 이해하고, 분석 시 필요한 변수를 손쉽게 활용할 수 있다. 

  * 국가손상정보포털 누리집(https://www.kdca.go.kr/injury) > 자료실> 통계집




[ 질병관리청 2024-06-2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369 자동차 금융사기 관련 소비자 유의사항 안내 및 피해 예방을 위한 제도개선 방안 마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3.07.31
3368 자동심장충격기 관련 의무교육·설치 확대 필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2 2018.01.31
3367 자궁경부암 예방하는 ‘사람유두종바이러스 백신’ 접종. 중1(2005년생) 여학생은 12월 31일까지 꼭 맞으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5 2018.12.27
3366 자궁경부암 예방하는 ‘사람유두종바이러스 백신’ 접종, 중1(2004년생) 여학생은 올해 내 ‘꼭’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7 2017.12.18
3365 잇단 여행사 폐업으로 인한 소비자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9 2018.10.10
3364 입증되지 않은 문구 사용한 Supernal 일회용 마스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8 2021.01.27
» 입원환자 중 손상환자 비율 여전히 1위, 추락·낙상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 2024.06.26
3362 입에 넣을 경우 질식 위험있는 유아용 탕온도계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4 2022.04.04
3361 임플란트, 레진 등 일상화된 치과치료 관련 보험사기에 연루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 소비자경보 「주의」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3.08.31
3360 임야화재 절반이 2월에서 4월 사이 집중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2 2021.02.18
3359 임신 중 비타민 D 적정 유지가 출생 후 자녀의 아토피피부염 예방에 도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7 2019.03.08
3358 임신 20주 이후, 이부프로펜 등 복용은 피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 2023.11.30
3357 임산부의류 인터넷 쇼핑몰‘꼰지잼잼’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42 2017.09.06
3356 임산부가 복용시 유산 위험 있는 Super Urinary Gout Support 의약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3 2021.05.13
3355 일회용 면봉 일부 제품, 일반세균·형광증백제 기준 초과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3 2018.11.07
3354 일회용 기저귀, 올바르게 선택하고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21.08.13
3353 일차방향족 아민 용출된 Quttin 국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2.10.18
3352 일상화 되고 있는 임플란트, 보험사기에 유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18.05.24
3351 일상생활 중 끓는 물이나 음식에 의한 화상이 가장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4 2018.12.03
3350 일산화탄소 중독 위험 있는 Muraco 캠핑용 주전자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1 2020.11.23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