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건전지는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기기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생활용품으로, 지속시간·고출력·누액 방지 등을 강조한 제품이 다수 출시되고 있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이 시중에 유통 중인 알카라인 건전지 14개 제품의 품질(지속시간)·안전성(내누액, 중금속함량)·경제성(충전식 전지 비교) 등을 시험평가했다.

시험평가 결과, 핵심 품질인 지속시간은 사용 용도(저부하·중부하)에 따라 제품별 차이가 있었고, 제품 가격 대비 지속시간으로 제품 간 비교 시 AAA형은 최대 8.6배, AA형은 최대 7.1배 차이가 났다. 안전성 및 표시사항은 전 제품이 관련 기준에 적합했다.

≪ 항목별 주요 시험평가 결과 ≫

☐지속시간, 제품 간 AAA형은 최대1.3배, AA형은 최대 1.2배 차이 있어(세부내용, 8페이지)

 ㅇ사용 용도(저부하·중부하)별 시험조건에서 얼마나 오래 지속되는지 시험평가한 결과, 제품 간 AAA형*은 최대 1.3배, AA형*은 최대 1.2배 차이가 있었다.

  -저부하**(디지털오디오) 작동 조건에서 AAA형은 다이소(네오셀), 듀라셀(울트라), 벡셀(플래티넘), 에너자이저(맥스) 등 4개 제품, AA형은 다이소(네오셀), 듀라셀(디럭스·울트라) 등 3개 제품의 지속시간이 상대적으로‘우수’했다. 

  -중부하***(작동완구, 휴대용 전등) 작동 조건에서 AAA형은 다이소(네오셀), 벡셀(플래티넘) 등 2개 제품, AA형은 듀라셀(디럭스·울트라), 벡셀(플래티넘) 등 3개 제품의 지속시간이 상대적으로‘우수’했다. 

 *AAA형(작은 크기 건전지):단면 지름 10.5mm,높이 44.5mm / AA형(일반 크기 건전지) : 단면 지름 14.5mm,높이 50.5mm
 *저부하:건전지 에너지 소모가 상대적으로 적은 제품(예.디지털오디오, 게임용 무선 기기, 디지털도어락 등)
 *중부하:건전지 에너지 소모가 중간 정도인 제품(예.모터, 장난감, 휴대용 전등 등)

☐1개당 가격은 약 7배, 가격 대비 지속시간은 AAA형은 제품 간 최대 8.6배, AA형은 제품 간 최대 7.1배 차이 있어(세부내용, 10페이지) 

 ㅇ(가격) 12개입 제품 기준으로 건전지 1개당 가격은 제품 간 약 7배 차이가 있었고, 묶음 개수가 많을수록 1개당 가격이 낮아져 20입 이상 제품은 4입 제품보다 최대 3.2배 저렴해 멀티팩 제품을 구매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건전지의 권장 사용기간은 5년~12년 수준으로, 건전지 사용이 많은 가정에서는 멀티팩 제품 구입이 유리

 ㅇ(가격 대비 성능) 시험평가 대상 브랜드별 건전지 가격을 100원으로 환산하여 지속시간을 비교한 결과 다이소(네오셀)* 제품이 AAA형은 최대 8.6배, AA형은 최대 7.1배 수준으로 지속시간이 길어 가격 대비 성능이 우수했다.

 *다이소(네오셀) 제품은 12개입 미판매로, 10개입 기준으로 계산함. 

☐ 안전성(내누액·중금속 함량), 전 제품이 이상 없어(세부내용, 11페이지) 

 ㅇ내누액·중금속 함량 등 안전성은 전 제품이 이상 없었다.

☐ 법정표시사항, 전 제품이 관련 기준에 적합해(세부내용, 11페이지)

 ㅇ제품의 표시사항(극성·사용권장기한 등) 표기는 모든 제품이 관련 기준에 적합했다. 


≪ 폐건전지 분리배출 설문조사 결과 ≫

☐ 폐건전지 분리배출, 거주 유형별로 수거함 설치 여부 차이 크고 분리배출 활성화를 위한 정책 강화 및 제도개선 필요해(세부내용, 12페이지)
   
※ 전지류는「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자원재활용법)」에 따라 생산자책임재활용 의무 대상 제품임. 또한 폐건전지를 일반 생활쓰레기와 함께 배출하는 경우, 중금속 성분으로 인한 환경오염 및 화재·폭발 등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높아 반드시 전용 수거함에 분리배출 해야 함. 

 ㅇ(수거함 설치)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아파트 거주자의 92.3%(554/600), 아파트 외 거주자의 29.8%(119/400)가 폐건전지 수거함이 거주지 내에 설치되어 있다고 답변해 거주 유형별로 차이가 컸다.

 ㅇ(배출 방법)‘폐건전지 수거함에 배출(786명, 78.6%)’이 가장 많았으나, ‘일반쓰레기로 배출’하는 소비자의 비율은 아파트 외 거주자(28.5%)가 아파트 거주자(5.2%)보다 5배 높았다.

 ㅇ(분리배출 중요도) 폐건전지 분리배출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도는 평균 4.45점(5점 만점)으로 다수의 소비자가 필요성을 공감하고 있었다. 

 ㅇ(분리배출 활성화 방안) 소비자들은 건전지 분리배출 활성화를 위해‘수거함 접근성 강화(39.7%)’, 공공시설(행정복지센터 등)에 폐건전지 반납 시‘인센티브 제공(20.0%)’,‘홍보·교육 강화(19.5%)’등과 같은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 일반 건전지와 충전식 전지의 경제성·환경성 비교 결과 ≫

☐ 충전식 전지, 200회 사용 시 일반 건전지 대비 최소 20배 이상 저렴해(세부내용, 14페이지) 

 ㅇ충전식 전지(AA형,리튬이온,1.5V)와 일반 건전지를 200회 사용 시 소요비용을 환산하여 경제성을 비교한 결과, 초기 구입 비용을 감안하더라도 충전식 전지를 사용하는 것이 최소 20배~최대 42배 저렴했다. 

  -충전식 전지는 반복해서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고 폐건전지 배출량을 저감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건전지 사용량이 많은 가정의 경우 충전식 전지를 구매·이용하는 것이 경제적이다.

건전지는 가정 내에서 다소비하는 제품인만큼 지속시간·가격·안전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명이 다한 폐건전지는 반드시 전용 수거함에 분리 배출해야 한다. 

한국소비자원은 앞으로도 소비자의 합리적인 소비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생활․가전제품의 안전성 및 품질비교 정보와 친환경 소비문화 확산을 위한 환경성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 한국소비자원 2024-06-2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90 검역감염병 오염지역 7월 1일부터 변경, 해외여행 전 확인 필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28 19
3589 검사소 방문 없이 온라인으로 재검사 받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07 131
3588 건축허가 시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쉽고 명확하게 알려드려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16 19
3587 건축행정시스템(세움터), 클라우드 기반으로 더 편리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28 17
3586 건축사보 자격, 5년제→4년제·전문대 졸업자로 완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9 84
3585 건축사 자격시험, “내년부터 연 2회”로 확대 시행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08 22
3584 건축물관리법 시행령」 국무회의 통과, 5월1일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21 38
3583 건축물 화재안전성 강화를 위해 건축물 마감재료의 성능 시험 방법이 바뀝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05 21
3582 건축물 허가부터 철거까지 규정·절차 만화로 쉽게 배운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14 43
3581 건축물 에너지 사용량 정보, 인터넷으로 확인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28 78
3580 건축물 분양제도, 수요자 중심으로 개선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3 33
3579 건축물 감리, 공종·단계별 “실명제” 도입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05 81
3578 건조해지는 날씨, 산불 발생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08 11
3577 건조한 바람부는 3월, 산불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2.27 20
3576 건조한 가을, 산에서는 작은 불도 위험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05 12
Board Pagination Prev 1 ... 682 683 684 685 686 687 688 689 690 691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