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6월 25일 보험사 대비 최대 32% 저렴한 배달종사자용 공제보험상품이 출시된다. 

 ㅇ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배달종사자의 유상운송용 보험료 인하 및 가입률 제고를 위해 설립된 배달서비스 공제조합*(이사장 주용완, 이하 조합)이 사업 개시 준비를 마치고 6월 25일 첫 시간제 공제보험상품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 소화물배송대행서비스인증사업자 8곳(우아한청년들, 쿠팡이츠, 플라이앤컴퍼니, 로지올, 바로고, 만나코퍼레이션, 부릉, 래티브)이 공동 설립한 비영리법인(’23.5. 설립인가)

□ 이번 공제보험상품 출시는 지난 5월 “제25차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 토론회(5.14)”의 후속조치 일환이다. 당시 윤석열 대통령은 “배달종사자들은 늘 교통사고 위험에 노출되어 있지만 보험료가 비싸서 가입조차 어려운 실정”이라며 “배달서비스 공제조합을 설립하고 시간제 보험을 확대해 보험료 부담을 크게 덜어드리려고 한다”고 밝힌 바 있다.

□ 조합은 배달종사자의 업무 환경에 특화된 시간제* 공제상품과 연/월 단위 공제상품을 시중 대비 16%~32% 저렴**하게 제공한다. 종사자 수요가 큰 시간제 공제상품을 시작으로 순차 출시해 나갈 계획이다.

   * 배달종사자가 실제로 배달을 수행하는 시간만 측정하여 보험료 과금이 이뤄지는 상품

  ** 유상운송용 시간단위 공제보험 (6월 25일 출시)
     : (현행) 시간당 평균 853원 수준 → (공제) 시간당 714원
  
       ※ 배달 플랫폼 A社 배달종사자 현행 시간제 보험 평균 보험료 대비 16.2% 저렴

  ** 유상운송용 연/월(30일) 단위 공제보험 (8월말 출시 예정)
     : (현행) 연간 178만원 수준 → (공제) 연간 120만원 수준
  
       ※ 만 40세, 중형(100cc초과 260cc이하), 할인할증 11Z 등급, 기명 1인 한정, 책임보험 기준 32% 저렴 
 ㅇ 정부와 조합은 저렴한 보험료를 통해 보험 가입 문턱을 낮춰, 현재 약 40%*에 머물러 있는 유상운송용 보험 가입률을 5년 내 80%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 이륜차 유상운송용 보험 가입률(%) : 38.7% (출처 : 보험개발원, ‘22년 배달업 실태조사)

□ 또한, 향후 보험료를 매월 내되 무사고 시 보험료가 즉각 인하되는 월단위 보험을 업계 최초로 도입할 예정이다. 이로써 무사고에 따른 보험료 절감 효과를 즉시 체감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운행을 유도한다.

  ㅇ 이와 더불어, 그간 사고이력·연령에 따라 보험 가입이 거절되었던 배달종사자들도 누구나 보험에 가입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 한편 조합은 고품질의 보상서비스 제공을 위해 민간보험사와의 협업을 통해, 사고 발생 시 고객센터·현장출동·대물 손해사정 등의 보험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ㅇ 이외에도 조합은 배달종사자들의 수요에 특화된 제휴 신용카드, 건강검진 지원, 안전교육 이수 및 운행기록장치 장착 시 보험료 할인 등 실질적인 혜택을 담은 다양한 제휴서비스 제공도 추진할 계획이다.

□ 공제상품은 각 배달대행 플랫폼별 모바일 앱 및 공제조합 홈페이지* 등을 통해 6월 25일부터 순차적으로 가입할 수 있다.

   * (배달서비스 공제조합) deliveryservice.or.kr

□국토교통부 엄정희 교통물류실장은 “그간 비싼 보험료 때문에 배달종사자들이 보험 가입을 주저해 온 것이 사실이나 이번 출시된 공제상품이 보험 가입 부담을 낮추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ㅇ “종사자들의 많은 관심 부탁드리고 정부 또한 종사자들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한 정책을 지속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국토교통부 2024-06-2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585 시정권고·의견표명 미해결 고충민원 274건 중 8개 기관이 절반에 달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23 25
5584 시중 유통 PCT 식품 용기 안심하고 사용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4.08 36
5583 시중 유통 가공식품 중 감미료 사용 안전한 수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06 62
5582 시중 유통 냉동수산물, 중량 위반 다수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15 57
5581 시중 유통 냉동수산물, 표시 중량 미달 제품 많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28 85
5580 시중 유통 된장.고추장.간장 등 보존료 사용 안전한 수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24 19
5579 시중 유통 빵류, 당류 저감화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31 35
5578 시중 유통 식품용 기구 및 용기.포장 중 비스페놀류 안전한 수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4.02 47
5577 시중 유통 이유식 제품 관리 강화 필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20 89
5576 시중 유통 일부 일산화탄소경보기 성능 미흡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16 99
5575 시중 유통 중인 백수오 제품 상당수가 가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23 160
5574 시중 유통 중인 베이킹파우더ㆍ당면 제품 등의 알루미늄 함량 높아 섭취 주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18 153
5573 시중 유통 컬러콘택트렌즈 일부 제품 기준 부적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18 61
5572 시중 유통 크릴오일 12개 제품 부적합, 전량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12 6
5571 시중 유통 햄버거, 용혈성요독증후군 유발하는 장출혈성 대장균은 검출 안 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11 52
Board Pagination Prev 1 ... 549 550 551 552 553 554 555 556 557 558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