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본격적인 무더위를 맞아 여름철 음식점의 식중독 예방을 위한 유의사항과 식재료별 취급 요령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최근 5년간(’19~’23년 (잠정)) 여름철(6~8월)에 발생한 식중독은 평균 98건(환자수 2,061명)으로 이 중 음식점에서 발생한 식중독이 전체 비율의 58%(57건)를 차지하며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름철에 발생한 식중독의 50% 이상이 병원성대장균과 살모넬라균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다. 주요 원인 식품으로는 살모넬라 식중독은 김밥, 냉면 등 달걀을 사용한 음식이었으며 병원성대장균 식중독은 가열조리 없이 섭취하는 생채소 및 육류에서 많이 발생했다.

따라서 음식점에서는 식재료 및 조리기구에 대한 철저한 세척‧소독 관리 등을 통해 식중독 발생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① 식재료별 세척·보관 등 취급 요령

(채소류) 여름철 장마로 인해 가축의 분뇨·퇴비 등이 환경에 유출되면 동물의 대장에 존재하는 병원성대장균이 수확 전 채소류에 이행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음식점에서는 겉절이, 쌈채소 등과 같이 가열·조리 없이 섭취하는 채소류의 경우 염소 소독액(100ppm)*에 5분간 담근 후 수돗물로 3회 이상 세척 후 손님에게 제공해야 한다.

    * 100ppm : 4% 농도 염소 소독액의 약 400배 희석액(소독제 0.1L(종이컵 반컵) + 물 40L)

또한, 교차오염을 줄이기 위해 채소류 절단 작업은 세척 후에 하는 것이 좋고 세척·절단 등 전처리 과정을 마친 식재료를 상온에 장시간 보관할 경우 미생물이 쉽게 증식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게 조리·판매해야 한다.

(달걀 및 닭고기) 달걀 껍질이나 닭고기에는 닭의 장관에 존재하는 살모넬라균에 오염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음식점 조리 종사자는 달걀이나 닭고기를 만지고 난 뒤에는 반드시 비누 등 세정제로 손을 깨끗이 씻어야 한다.

또한, 달걀·닭고기 조리 시 사용한 위생 장갑은 교차오염의 우려가 높아 새로운 장갑으로 교체하거나 세척하고 다른 식재료를 조리해야 살모넬라 식중독을 예방할 수 있다.

(육류) 음식점에서 육류를 냉장고에 보관할 때는 핏물이 흘러나오지 않도록 밀폐용기에 담아 보관해야 한다. 또한, 핏물이 발생하여 다른 식재료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냉장고의 가장 아래칸에 보관하는 것이 좋고 핏물이 냉장고 내부에 묻은 경우 염소 소독액을 사용해 닦아내야 한다.

② 조리 시 주의사항

음식점에서 달걀을 조리할 때 내부까지 완전히 익도록 충분히 가열하면 살모넬라균은 열에 약해 식중독을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

음식점에서 조리 용기 크기에 비해 많은 양의 생닭 등을 한꺼번에 조리할 경우 내부까지 제대로 익지 않는 경우가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아울러 다짐육, 냉동 패티 등은 중심온도 75℃, 1분 이상 충분히 가열하여 속까지 완전히 익도록 조리해야 한다.

③ 조리기구 세척·소독 요령

음식점에서 사용하는 칼·도마는 채소용, 육류용, 어류용 등 식재료별로 구분해 사용해야 하며, 위생적인 관리를 위해 열탕 소독 또는 기구등의 살균·소독제를 사용하여 세척·소독해야 한다.

또한, 조리대와 개수대도 중성세제와 염소 소독제를 사용하여 주기적으로 소독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밖에도 식약처는 음식점에서 식중독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조리 종사자 등의 개인 위생관리를 철저히 하고 조리음식 재사용 금지 등 기본 위생수칙 준수를 당부했다.

아울러 각 가정에서도 음식점에서 포장한 음식이나 배달한 음식은 상온에 보관하지 않고 바로 섭취해야 식중독을 예방할 수 있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계절에 따라 발생하는 식중독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식중독 예방수칙과 실천의 중요성을 홍보하여 국민의 안전하고 건강한 식생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24-06-2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407 온라인쇼핑몰 부업 사기피해 주의게시글 타이틀 정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1 2024.07.05
4406 방통위, 갤럭시 폴더블6 이용자 사기 피해 주의보 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9 2024.07.04
4405 충돌 시 머리 부상 위험이 있는 Korimefa 자전거 헬멧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6 2024.07.03
4404 질식 위험이 있는 Chibebe 유아용 빈백 의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0 2024.07.03
4403 중독 위험이 있는 Super Lube 4온스 합성 침투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3 2024.07.03
4402 중독 위험이 있는 Super Lube 1쿼트 합성 침투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2 2024.07.03
4401 이물 혼입 가능성이 있는 Les Accents du Soleil 건살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1 2024.07.03
4400 LG전자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2 2024.07.03
4399 의약품 성분이 함유된 UMARY 히알루론산 보충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4 2024.07.02
4398 음량 출력이 약한 Egardia 연기 감지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8 2024.07.02
4397 알레르기 유발물질이 미표시된 DaVinci Laboratories 영양보충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7 2024.07.02
4396 손잡이 분리로 인한 화상 위험이 있는 Melitta 커피메이커(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8 2024.07.02
4395 손잡이 분리로 인한 화상 위험이 있는 Melitta 커피메이커(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1 2024.07.02
4394 손잡이 분리로 인한 화상 위험이 있는 Melitta 커피메이커(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4 2024.07.02
4393 부품 탈락으로 열상 위험이 있는 송풍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6 2024.07.02
4392 부력 수준이 미흡하여 익사 위험이 있는 Sailtrek 구명조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1 2024.07.02
4391 부력 수준이 미흡하여 익사 위험이 있는 NEWAO 구명조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8 2024.07.02
4390 바늘 조각이 발견된 Red Land Cotton 침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3 2024.07.02
4389 본격적인 장마, 빗길 교통사고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5 2024.07.02
4388 오늘의오브제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3 2024.07.02
Board Pagination Prev 1 ...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 262 Next
/ 26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