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본격적인 무더위를 맞아 여름철 음식점의 식중독 예방을 위한 유의사항과 식재료별 취급 요령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최근 5년간(’19~’23년 (잠정)) 여름철(6~8월)에 발생한 식중독은 평균 98건(환자수 2,061명)으로 이 중 음식점에서 발생한 식중독이 전체 비율의 58%(57건)를 차지하며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름철에 발생한 식중독의 50% 이상이 병원성대장균과 살모넬라균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다. 주요 원인 식품으로는 살모넬라 식중독은 김밥, 냉면 등 달걀을 사용한 음식이었으며 병원성대장균 식중독은 가열조리 없이 섭취하는 생채소 및 육류에서 많이 발생했다.

따라서 음식점에서는 식재료 및 조리기구에 대한 철저한 세척‧소독 관리 등을 통해 식중독 발생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① 식재료별 세척·보관 등 취급 요령

(채소류) 여름철 장마로 인해 가축의 분뇨·퇴비 등이 환경에 유출되면 동물의 대장에 존재하는 병원성대장균이 수확 전 채소류에 이행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음식점에서는 겉절이, 쌈채소 등과 같이 가열·조리 없이 섭취하는 채소류의 경우 염소 소독액(100ppm)*에 5분간 담근 후 수돗물로 3회 이상 세척 후 손님에게 제공해야 한다.

    * 100ppm : 4% 농도 염소 소독액의 약 400배 희석액(소독제 0.1L(종이컵 반컵) + 물 40L)

또한, 교차오염을 줄이기 위해 채소류 절단 작업은 세척 후에 하는 것이 좋고 세척·절단 등 전처리 과정을 마친 식재료를 상온에 장시간 보관할 경우 미생물이 쉽게 증식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게 조리·판매해야 한다.

(달걀 및 닭고기) 달걀 껍질이나 닭고기에는 닭의 장관에 존재하는 살모넬라균에 오염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음식점 조리 종사자는 달걀이나 닭고기를 만지고 난 뒤에는 반드시 비누 등 세정제로 손을 깨끗이 씻어야 한다.

또한, 달걀·닭고기 조리 시 사용한 위생 장갑은 교차오염의 우려가 높아 새로운 장갑으로 교체하거나 세척하고 다른 식재료를 조리해야 살모넬라 식중독을 예방할 수 있다.

(육류) 음식점에서 육류를 냉장고에 보관할 때는 핏물이 흘러나오지 않도록 밀폐용기에 담아 보관해야 한다. 또한, 핏물이 발생하여 다른 식재료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냉장고의 가장 아래칸에 보관하는 것이 좋고 핏물이 냉장고 내부에 묻은 경우 염소 소독액을 사용해 닦아내야 한다.

② 조리 시 주의사항

음식점에서 달걀을 조리할 때 내부까지 완전히 익도록 충분히 가열하면 살모넬라균은 열에 약해 식중독을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

음식점에서 조리 용기 크기에 비해 많은 양의 생닭 등을 한꺼번에 조리할 경우 내부까지 제대로 익지 않는 경우가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아울러 다짐육, 냉동 패티 등은 중심온도 75℃, 1분 이상 충분히 가열하여 속까지 완전히 익도록 조리해야 한다.

③ 조리기구 세척·소독 요령

음식점에서 사용하는 칼·도마는 채소용, 육류용, 어류용 등 식재료별로 구분해 사용해야 하며, 위생적인 관리를 위해 열탕 소독 또는 기구등의 살균·소독제를 사용하여 세척·소독해야 한다.

또한, 조리대와 개수대도 중성세제와 염소 소독제를 사용하여 주기적으로 소독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밖에도 식약처는 음식점에서 식중독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조리 종사자 등의 개인 위생관리를 철저히 하고 조리음식 재사용 금지 등 기본 위생수칙 준수를 당부했다.

아울러 각 가정에서도 음식점에서 포장한 음식이나 배달한 음식은 상온에 보관하지 않고 바로 섭취해야 식중독을 예방할 수 있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계절에 따라 발생하는 식중독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식중독 예방수칙과 실천의 중요성을 홍보하여 국민의 안전하고 건강한 식생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24-06-2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869 실리카겔 혼입 가능성 있어 리콜된 Nestle 코코아 분말(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2 2023.01.13
2868 이마트몰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2 2023.07.13
2867 경영인정기보험 관련 불완전판매 우려 및 불건전 영업행위에 대한 소비자 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2 2024.04.17
2866 새 학기 시작, 어린이 보행자 교통사고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3 2018.03.08
2865 올해 온열질환자 작년 발생 초과, 휴가철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3 2018.07.30
2864 보일러 가동 전 점검으로 중독사고 예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3 2018.11.15
2863 임야화재 절반이 2월에서 4월 사이 집중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3 2021.02.18
2862 알레르기 유발 성분(우유) 미표시된 Ruffles 감자칩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3 2021.06.02
2861 고령소비자, 이동전화서비스 불완전판매 피해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3 2021.11.16
2860 성분 표시가 정확하지 않은 Jurlique 에센스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3 2021.11.30
2859 부품분리 및 삼킴 위험 있는 Kenwood 푸드 프로세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3 2022.04.29
2858 바퀴 부분 파손으로 낙상 위험 있는 Amazon Basics 사무용 회전의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3 2023.01.12
2857 균열이 쉽게 생겨 낙상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Fischer 스키부츠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4 2020.04.13
2856 코로나19 재난지원금·대출·주식투자 유도 문자 속지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4 2021.02.08
2855 “설 명절 택배, 상품권 소비자 피해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4 2021.02.03
2854 OCTOBERMAY INTL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4 2021.01.28
2853 물기·습기 많은 장마철, 감전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4 2022.06.23
2852 골프용품 쇼핑몰 헬리우스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4 2023.05.25
2851 골프, 캠핑, 유아용품 박람회 전시할인 상품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4 2023.06.08
2850 대구 홍역 유행, 전국 확산 방지 조치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5 2019.01.11
Board Pagination Prev 1 ...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