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결핵환자와 보호자가 다제내성결핵 치료에 대해 쉽게 이해하고 올바로 대처할 수 있도록,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이사장 정만표)와 함께 교육책자「다제내성결핵은 무슨 병인가요?」를 첫 발간(6.19.)하였다.

다제내성결핵은 결핵치료에 핵심이 되는 약제인 이소니아지드와 리팜핀에 동시에 내성이 있는 결핵균에 의해 발생하는 결핵으로, 일반 결핵(감수성 결핵)*보다 치료와 부작용 관리에 전문성이 더 요구된다.

  * 감수성결핵 : 결핵치료의 근간이 되는 이소니아지드와 리팜핀에 내성이 없는 결핵균에 의해 발생한 결핵으로 치료기간이 6〜9개월 소요됨

과거에는 다제내성결핵의 치료에 평균 18~20개월이 소요되었으나, 최근 치료기간을 6~9개월까지 단축할 수 있는 단기요법(BPaL(M), MDR-END)*이 도입되어 다제내성결핵 치료 부담이 경감되었다.

  * BPaL(M) : 베다퀼린, 프레토마니드, 리네졸리드, (목시플록사신)

   MDR-END : 델라마니드, 리네졸리드, 레보플록사신, 피라진아미드

또한, 전 세계적으로 다제내성결핵의 치료성공률은 약 63%* 이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다제내성결핵 전문가 협의체(컨소시엄)를 통한 전문치료 컨설팅 및 약제비 부담 완화 등 다방면의 치료지원으로 치료성공률이 77.4%**이다.

  * 출처: 「Global Tuberculosis Report 2023(WHO)」, ’20년 결핵신고환자 기준

 ** 출처: 질병관리청 분석결과, ’21년 결핵신고환자 기준

하지만 아직도 다제내성결핵 환자가 질병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임의로 치료를 중단하거나, 잘못된 약복용 등으로 인해 치료를 실패하는 사례가 있다. 이에 현장에서 환자가 보건소와 의료기관의 결핵업무 담당자에게 주로 하는 문의사항들과 최근의 변화된 치료경향을 반영하여, 6개 주제로 구분하여 알기 쉽게 질의응답 형태로 구성한 교육책자를 발간하게 되었다.

◈ 책자명: “다제내성결핵은 무슨 병인가요?”

· (1장) 다제내성결핵 개요(4문항)

· (2장) 다제내성결핵의 진단(1문항)

· (3장) 다제내성결핵의 치료(6문항)

· (4장) 약제부작용 및 대처방법(7문항)

· (5장) 다제내성결핵과 임신(2문항)

· (6장) 다제내성결핵의 관리(2문항)

· (부록) ①항결핵약제 설명, ②다제내성결핵 전문의료기관 안내, ③국립결핵병원 안내


이 교육책자*에는 다제내성결핵의 개요, 진단 및 치료 방법, 부작용 관리 등 22개 다빈도 질의에 대한 설명과 함께 올해(’24.4월) 도입된 단기요법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였고, 부록으로 다제내성결핵 전문의료기관과 국립결핵병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다제내성결핵환자가 치료 의료기관을 선택할 때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질병관리청 누리집(https://kdca.go.kr) > 알림‧자료 > 홍보자료 > 교육자료

  결핵ZERO 누리집(https://tbzero.kdca.go.kr) > 교육/홍보자료 > 교육자료

지영미 청장은 “결핵은 치료에 장기간이 필요하기는 하지만, 적절한 약제로 꾸준히 치료하면 완치가 가능”하다고 하며, “이번 교육책자가 다제내성결핵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결핵치료를 끝까지 성공적으로 마무리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 질병관리청 2024-06-1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159 다양한 장묘시설 및 서비스에 대한 정보제공 미흡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23 83
8158 다양한 젠더폭력 근절을 위한 예방교육 영상 방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20 35
8157 다양한 체험프로그램이 가득한 여름방학, 신나게 체험하며 꿈을 키워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12 29
8156 다운 이불 비교정보 생산 결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17 79
8155 다운 이불, 보온성과 털의 품질이 제품별로 차이 있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16 146
8154 다이어트 앱, 부당 약관 및 과장 광고로 소비자피해 우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28 52
8153 다이어트 표방 식품 화장품 광고점검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07 9
8152 다이어트, 부기제거에 좋다며 고의·상습적으로 부당 광고한 영향력자(인플루언서) 4명 등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28 17
8151 다임러트럭·케이시피중공업 일부 트럭·펌프 17일부터 무상 수리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17 43
8150 다임러트럭코리아(주), 덤프트럭 시정조치(리콜)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13 210
8149 다임러트럭코리아(주), 덤프트럭 시정조치(리콜) 실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3 76
8148 다임러트럭코리아(주), 덤프트럭 시정조치(리콜)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9 120
8147 다자녀 가구의 철도·공항주차장 이용료 감면 혜택...‘이용 편해지고 많아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10 58
8146 다자녀 가정, 자동차 검사수수료 부담 완화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09 78
8145 다자녀 할인확대, 소멸 마일리지 보상 등 철도서비스 제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8.23 20
Board Pagination Prev 1 ... 377 378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