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는 때 이른 무더위에 선풍기와 에어컨 사용이 시작되면서 과열 등으로 인한 화재 예방에 각별한 주의를 요청하였다.

 ○ 특히, 일부 지역에서는 한낮 기온이 30도(℃)를 넘나들며 폭염특보도 작년보다 일주일 빠르게 내려지기도 했다.

□ 최근 5년(2019~2023)간 발생한 냉방기 화재는 총 1,803건이며, 이 중 에어컨 관련 화재는 1,265건, 선풍기는 538건으로 에어컨으로 인한 화재가 2.4배 정도 많고 해마다 증가 추세다.

 ○ 이러한 화재는 더위가 시작되는 6월부터 차츰 증가하기 시작하여 무더위가 절정인 8월에 가장 많이 발생했다.

 ○ 냉방기 화재는 전선의 접촉 불량 등 전기적 요인과 과열·과부하 등 기계적 요인, 부주의 등이 주된 원인이다. 이 중, 접촉불량 등 전기적 요인이 에어컨의 경우 78%(986건), 선풍기의 경우 65%(350건)로 가장 많았다.
  
- 다만 선풍기 화재는 과열 등 기계적 요인이 28%(150건)로 에어컨의 기계적 요인인 8%(102건)에 비해 발생 비율이 높았다.

□ 무더운 여름, 선풍기와 에어컨으로 인한 화재를 예방하려면 다음과 같은 사항에 주의한다.

 ○ 선풍기의 전원선은 무거운 물체에 눌리거나 꺾이지 않도록 사용하고 끌거나 잡아당겨 늘어나지 않도록 주의한다.

  - 보관된 선풍기를 꺼내 쓸 때는 내부에 쌓인 먼지를 제거한 후 사용하고, 옷가지나 수건 걸침 등으로 모터의 송풍구가 막혀 과열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 에어컨과 실외기는 전선이 벗겨지거나 훼손된 곳은 없는지 확인하고, 특히 전력 소모가 많은 에어컨 전원은 과열되기 쉬우니 가급적 용량이 큰 고용량 콘센트를 사용한다.

 ○ 또한, 실외기 등에 쌓인 먼지로도 과열되어 불이 날 수 있으니, 실외기 사용 전에는 반드시 먼지를 제거하고 점검 후 가동한다.

  - 실외기는 밀폐되지 않고 통풍이 잘되는 곳에 설치하고 항상 주변을 깨끗하게 관리하여야 한다.

  - 실외기 팬의 날개가 고장 났거나 평소에 없던 소음 등이 있을 때는 즉시 수리하고 점검받아야 한다.

 ○ 아울러, 선풍기과 에어컨을 장시간 사용하기보다는 시간설정 기능 등을 활용하여 틈틈이 쉬어주고, 자주 환기하도록 한다. 

  - 특히 밀폐된 공간일수록 주기적인 환기가 필요하다.

□ 박명균 예방정책국장은 “에어컨과 선풍기로 인한 화재가 증가 추세인 만큼, 올여름은 냉방기 사용 전 철저히 점검하고 안전하게 사용하여 사고 없는 시원한 여름 보내시길 바란다”라고 하였다.




[ 행정안전부 2024-06-1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389 "원금과 고수익을 동시에 보장" 한다고 유혹하는 유사수신 업체 투자권유를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70 2020.11.23
4388 히터 팬 고장으로 과열 및 화재 우려 있는 Brod & Taylor 식품건조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8 2023.09.07
4387 히스타민이 고함유된 Pelazza Anchovy 통조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3.08.17
4386 흰 가루가 발생하는 (주)보니코리아의 아웃라스트 소재 섬유제품, 사용 자제 촉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27 2017.06.23
4385 흙먼지털이 시설에 설치된 공기분사기에 대한 안전관리 강화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1 2021.03.25
4384 흉터 치료, 지방감소 표시.광고 제품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7 2021.05.13
4383 휴대폰 할인마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7 2022.05.03
4382 휴대폰 텔레마케팅 사기판매 이용자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3 2023.01.25
4381 휴대폰 케이스 일부에서 카드뮴과 납 다량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10 2017.08.24
4380 휴대폰 앱을 이용한 신종 보이스피싱 사례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7 2019.04.18
4379 휴대폰 사기판매 이용자 피해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7 2022.08.08
4378 휴대폰 사기 판매 예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14 2021.10.05
4377 휴대전화發 불법도박 이미지스팸 주의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26 2018.02.13
4376 휴대용 수소흡입기, 질병·질환 치료 등 부당광고 조심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1 2023.03.16
4375 휴대용 선풍기 안전하게 사용하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02 2017.08.03
4374 휴대용 가스레인지 관련 사고 26%는 봄철에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15 2021.04.02
4373 휴대기기에 사용되는 충전지 안전성 조사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35 2017.09.14
4372 휴가철 캠핑 시 축산물 부패·변질에 유의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811 2016.08.08
4371 휴가철 숙박, 여행, 항공 소비자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9 2018.07.25
4370 휴가철 맞이하여 어린이·청소년 물놀이 안전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8 2017.07.1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