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는 때 이른 무더위에 선풍기와 에어컨 사용이 시작되면서 과열 등으로 인한 화재 예방에 각별한 주의를 요청하였다.

 ○ 특히, 일부 지역에서는 한낮 기온이 30도(℃)를 넘나들며 폭염특보도 작년보다 일주일 빠르게 내려지기도 했다.

□ 최근 5년(2019~2023)간 발생한 냉방기 화재는 총 1,803건이며, 이 중 에어컨 관련 화재는 1,265건, 선풍기는 538건으로 에어컨으로 인한 화재가 2.4배 정도 많고 해마다 증가 추세다.

 ○ 이러한 화재는 더위가 시작되는 6월부터 차츰 증가하기 시작하여 무더위가 절정인 8월에 가장 많이 발생했다.

 ○ 냉방기 화재는 전선의 접촉 불량 등 전기적 요인과 과열·과부하 등 기계적 요인, 부주의 등이 주된 원인이다. 이 중, 접촉불량 등 전기적 요인이 에어컨의 경우 78%(986건), 선풍기의 경우 65%(350건)로 가장 많았다.
  
- 다만 선풍기 화재는 과열 등 기계적 요인이 28%(150건)로 에어컨의 기계적 요인인 8%(102건)에 비해 발생 비율이 높았다.

□ 무더운 여름, 선풍기와 에어컨으로 인한 화재를 예방하려면 다음과 같은 사항에 주의한다.

 ○ 선풍기의 전원선은 무거운 물체에 눌리거나 꺾이지 않도록 사용하고 끌거나 잡아당겨 늘어나지 않도록 주의한다.

  - 보관된 선풍기를 꺼내 쓸 때는 내부에 쌓인 먼지를 제거한 후 사용하고, 옷가지나 수건 걸침 등으로 모터의 송풍구가 막혀 과열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 에어컨과 실외기는 전선이 벗겨지거나 훼손된 곳은 없는지 확인하고, 특히 전력 소모가 많은 에어컨 전원은 과열되기 쉬우니 가급적 용량이 큰 고용량 콘센트를 사용한다.

 ○ 또한, 실외기 등에 쌓인 먼지로도 과열되어 불이 날 수 있으니, 실외기 사용 전에는 반드시 먼지를 제거하고 점검 후 가동한다.

  - 실외기는 밀폐되지 않고 통풍이 잘되는 곳에 설치하고 항상 주변을 깨끗하게 관리하여야 한다.

  - 실외기 팬의 날개가 고장 났거나 평소에 없던 소음 등이 있을 때는 즉시 수리하고 점검받아야 한다.

 ○ 아울러, 선풍기과 에어컨을 장시간 사용하기보다는 시간설정 기능 등을 활용하여 틈틈이 쉬어주고, 자주 환기하도록 한다. 

  - 특히 밀폐된 공간일수록 주기적인 환기가 필요하다.

□ 박명균 예방정책국장은 “에어컨과 선풍기로 인한 화재가 증가 추세인 만큼, 올여름은 냉방기 사용 전 철저히 점검하고 안전하게 사용하여 사고 없는 시원한 여름 보내시길 바란다”라고 하였다.




[ 행정안전부 2024-06-1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359 전기 감전 위험이 있는 YAMAHA 어댑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 2024.06.12
4358 무더운 여름철, 야생버섯 섭취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 2024.06.24
4357 여름철 음식점에서 주의해야 할 식중독 예방법 알려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 2024.06.24
4356 곰팡이 오염 가능성이 있는 이츠키 우동(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 2024.06.04
4355 케이블이 파손되어 낙상할 위험이 있는 짚라인 키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 2024.06.12
4354 곰팡이 오염 가능성이 있는 이츠키 우동(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 2024.06.04
4353 곰팡이 오염 가능성이 있는 이츠키 우동(4)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 2024.06.04
4352 규정 준수 문서가 누락된 오렌지색 구명조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 2024.06.05
4351 기능이 미흡해 부상 위험 있는 등반용 랜야드(Grillon Hook)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 2024.06.05
4350 표시 미흡으로 제품을 삼킬 위험이 있는 에센셜 오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 2024.06.12
4349 로렌하이 사칭 온라인몰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 2024.06.04
4348 곰팡이 오염 가능성이 있는 플랫 크래프트 버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 2024.06.04
4347 규정 준수 문서가 누락된 검정색 구명조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 2024.06.04
4346 이런 해외직구식품 구매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 2024.06.05
4345 규정 준수 문서가 누락된 회색·검정 구명조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 2024.06.05
4344 기능이 미흡해 부상 위험 있는 등반용 랜야드(Grillon MGO)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 2024.06.05
4343 국내외 유명 투자전문가를 사칭하는 채팅App(오픈채팅방)의 해외주식 매수추천에 유의해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 2024.06.18
4342 AC발전기 벨트 강도가 미흡한 선외기 모터 리콜실시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 2024.06.04
» 더위 시작, 올여름 에어컨과 선풍기 안전 사용으로 화재 예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 2024.06.17
4340 곰팡이 오염 가능성이 있는 이츠키 우동(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 2024.06.0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