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질병관리청)를 바탕으로 최근 5년(’18~’22년)간 우리 국민의 하루 평균 나트륨·당류 섭취량을 분석한 결과, ‘18년 이후 나트륨 섭취량은 지속 감소 추세에 있으나, 여전히 세계보건기구(WHO) 권고기준에 비해 1.5배 많이 섭취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당류는 WHO 권고기준 보다 낮은 수준이나 일부 어린이·청소년 연령층에서는 권고기준을 초과했다고 밝혔다.

1. 나트륨, WHO 권고기준에 비해 높은 수준으로 섭취

우리 국민의 하루 평균 나트륨 섭취량은 ’18년 3,274mg에서 ’22년 3,074mg으로 200mg(약 6.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 국민이 나트륨을 많이 섭취하는 통로인 ‘김치, 국·탕·찌개, 면류’을 통한 나트륨 섭취량이 그간 줄어든** 영향인 것으로 보인다. 
  * 나트륨 섭취량(mg/일) : (’18) 3,274 → (’19) 3,289 → (’20) 3,220 → (’21) 3,081 → (’22) 3,074
 ** ① 면(라면 등) 및 만두류(mg/일) : (’18) 559 → (’22) 452 (19% 감소)
    ② 김치류(mg/일) : (’18) 453 → (’22) 426 (6% 감소)
    ③ 국·탕류(mg/일) : (’18) 357 → (’22) 330 (8% 감소)
    ④ 찌개·전골류(mg/일) : (’18) 262 → (’22) 233 (11% 감소)

’22년 나트륨 섭취량(3,074mg)을 분석해 보면, 여전히 WHO 권고기준(2,000mg/일, 소금으로 환산시 5g)에 비해 1.5배 높은 수준이며, 남성의 경우 하루 평균 3,576mg, 여성은 2,573mg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근 음식점에서 섭취하는 나트륨의 양은 점차 감소한 반면, 가정에서 배달·포장음식을 통한 나트륨 섭취량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는데, 이는 코로나19 발생으로 인한 식품 섭취 트렌드 변화가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는 영향으로 보인다.
  * 가정내 배달·포장음식으로부터 나트륨 섭취량(mg/일) : (‘18)166→ (’20)260 → (‘22)255

일상생활에서 나트륨을 가장 많이 섭취하는 장소는 가정이었는데, 이는 김치, 국·탕·찌개와 같이 나트륨 함량이 높은 음식들을 주로 가정에서 섭취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 나트륨 섭취장소(’22년) : 가정(66.8%) > 음식점(17.5%) > 학교·직장(13.8%) 순 
  * 가정에서 나트륨 섭취량 (’22년, 1,962mg) : 직접조리 1,308mg(66.7%) > 배달·포장 255mg(13.0%) > 간편조리 246mg(12.5%) > 즉석섭취 149mg(7.6%) 등

이에 식약처는 가정에서 국·탕·찌개 조리 시 소금, 젓갈 등의 사용을 줄이고 표고·다시마·멸치가루 등으로 대체하는 조리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음식점에서 배달·포장음식을 주문할 때는 양념을 따로 요청하는 등 일상생활에서 나트륨을 적게 섭취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2. 당류, WHO 권고기준 보다 낮은 수준으로 섭취

’22년 국민이 가공식품을 통해 섭취하는 당류 섭취량은 ’18년 36.4g(1일 총 열량의 7.4%)에서 ’22년 34.6g(1일 총 열량의 7.6%)로 5년간 비슷한 추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WHO 권고기준*보다 낮은 수준이다.
   *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비율(%) : ('18) 7.4→ ('20) 7.6 → ('22) 7.6 
   ** 1일 총열량의 10% 미만

최근 5년간 우리 국민이 당류를 많이 섭취하는 통로인 ‘음료류’ 소비가 약 30% 증가했음에도 음료류를 통한 당류의 섭취량*은 증가되지 않았다. 이는 국민이 탄산음료** 대신 당류가 적은 탄산수*** 등을, 설탕을 섞은 믹스커피 대신 블랙커피****를 많이 섭취하는 등 최근 소비 패턴 변화의 영향인 것으로 보인다.
   * 음료류 섭취량(g/일) : (’18) 201.9 → ('20) 221.2 → ('22) 259.6 
     음료류를 통한 당류 섭취량(g/일) :  (‘18) 11.9 → (’20) 12.3 → (’22) 11.1
  ** 탄산음료 섭취량(g/일) : ('18) 42.8 → ('20) 53.4 → ('22) 45.8 
 *** 탄산수/제로칼로리 탄산음료 섭취량(g/일) : (’18) 0.8 → (’22) 12.2 
**** 믹스커피/블랙커피 섭취량(g/일) : (‘18) 14.2 → (‘22) 13.8 / (‘18) 70.4 → (‘22) 111.1

한편, ’22년 당류 섭취량을 분석해보면, 국민 전체 평균 당류 섭취량은 WHO 권고기준에 비해 낮은 수준이긴 하나, 일부 어린이·청소년 등의 집단에서 WHO 권고기준을 넘어 1일 총열량의 10% 이상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 어린이 6∼11세 9.7%(남 9.21,900 kcal, 여 10.31,611 kcal) , 청소년 12∼18세 10.3%(남 9.92,080 kcal, 여 10.91,682 kcal), 청년 19∼29세 9.5%(남 8.52,220 kcal, 여 10.51,575 kcal)

일부 어린이·청소년 연령층에서 당류 섭취가 높게 나타난 이유는 하루 식사(총열량)에서 빵류, 당 함량이 높은 과일·채소음료류, 탄산음료 등을 상대적으로 많이 섭취하는 것이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 (여자 6∼11세) 빵류 > 아이스크림류 > 탄산음료류 > 캔디류 > 가공유류
    (여자 12∼18세) 탄산음료류 > 과일·채소류음료 > 발효유류 > 빵류 > 초콜릿류 
    (여자 19∼29세) 탄산음료류 > 빵류  > 설탕류 > 과일·채소류음료 > 다류(아이스티 등) 

따라서, 식약처는 당류 섭취를 줄이기 위해서는 간식으로 과자·빵·떡류 보다는 신선한 과일을 섭취하고, 커피를 마실 때는 설탕이나 시럽을 줄이며, 탄산음료 보다는 물 또는 탄산수를 마시는 등 일상속에서 당류 줄이기의 노력을 당부하였다.

또한, 식품의 영양성분 표시를 확인하는 것이 나트륨·당류 섭취량을 줄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조사 결과*에 따라 식약처는 영양성분 및 나트륨·당류 저감 표시 대상 식품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영양표시 확인방법 등에 대한 홍보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영양성분 표시 확인한 소비자가 나트륨 187mg, 당류 3.3g 적게 섭취(’22년)

한편, 식약처는 우리 국민의 나트륨·당류의 적정 섭취를 위해 나트륨·당류 과잉섭취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시키고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홍보와 함께 영양표시 대상식품도 지속적으로 확대했으며, 국민 다소비 식품을 중심으로 나트륨·당류 함량을 줄인 저감제품 개발·유통을 지원해 왔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주기적인 국민의 나트륨·당류 섭취 실태조사와 이에 기반한 식생활·영양안전 정책을 통해 우리 국민의 건강한 식생활 환경 조성을 위해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24-05-3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700 식약처, 의약외품 '휴대용 공기' 허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14 14
4699 외교부 영사민원24 모바일 앱 서비스 개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14 11
4698 이재민, 임시주거용 조립주택에 입소 즉시 주소 사용 가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14 16
4697 안전신문고, 4월부터 6월까지 안전신고 18만여 건 접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14 10
4696 15일부터 온라인으로 만나는 ‘물류산업 청년 채용박람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14 40
4695 제한차량 운행허가 신청이 쉽고 편리해집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14 36
4694 하도급법 과징금고시 개정안 행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15 35
4693 국민권익위, 추석 연휴 앞두고 코로나19 확산 우려에 대한 민원예보 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15 38
4692 자동차관리법 시행령」개정안 국무회의 통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15 75
4691 22일부터 ‘자동차365’ (온라인포털) 에서도 신규등록 시 자동차번호 선택이 가능해집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15 72
4690 분양가상한제 기본형건축비 9월 정기 고시…15일부터 적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15 75
4689 2020년 상반기 금융민원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15 77
4688 방통위, 코로나19 위기상황 이용 식품 등 허위·과장광고 스팸문자 대량 전송 업체 등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15 82
4687 신선하고 깨끗해진 달걀, 안심하고 드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15 71
4686 어린이 통학버스에 설치된 안전벨트, 보호 성능 미흡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15 83
Board Pagination Prev 1 ... 608 609 610 611 612 613 614 615 616 617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