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는 농사일로 바쁜 시기를 맞아 경운기와 트랙터 등 농기계 사용 시 안전사고 예방에 각별한 주의를 요청하였다.

□ 최근 3년(2020~2022) 동안 농기계 사용 중 발생한 사고는 총 3,729건이며, 229명이 사망하고 2,482명이 다쳤다.

 ○ 특히, 모내기와 씨앗 파종 등 농사일로 바쁜 5월에는 453건의 농기계 사고로 321명의 인명피해(사망 26명, 부상 295명)가 발생하였다.

   ※(5월 농사)지역별 모내기, 옥수수․참깨․콩․수수 파종, 과수 열매 솎기 등

○ 사고의 주요 원인은 농기계 작업 중 끼임이 1,321건(35%)으로 가장 많았고, 경운기 등이 뒤집히거나 넘어지는 전복·전도 1,042건(28%), 교통사고 731건(20%), 낙상․추락 278건(7%) 순이다.

□ 농기계 사고를 예방하려면 다음과 같은 사항에 주의하여야 한다.

○ 농기계 작업을 할 때 소매나 옷자락 등이 농기계에 말려들거나 감겨 끼이지 않도록 주의하고, 특히 회전체 작업 시에는 손이나 발 등 신체를 가까이하지 않도록 조심한다.

   - 회전체는 가급적 안전 덮개가 있는 것을 사용하고, 농기계를 점검할 때는 반드시 시동을 끄거나 전원 차단 후 실시한다.

 ○ 경운기 등 농기계로 좁은 농로, 경사로 등을 이동할 때는 진입 전에 미리 속도를 줄여 안전하게 운행한다.

   - 길 가장자리에 보호 난간이 없거나 풀이 무성하여 도로 상태를 알 수 없는 곳은 위험하니 진입 전 미리 살피고 안쪽으로 다녀야 한다.

 ○ 농기계로 도로를 다닐 때는 교통법규를 철저히 준수한다. 신호가 없는 교차로에서는 속도를 낮춰 일시 정지하고 전후·좌우의 교통상황을 살핀 후 안전하게 통과한다.

   - 또한, 야간 시간대 운행시에는 농기계 뒷면에 야광 반사판 같은 등화장치를 반드시 부착하고, 흙 등 이물질로 가려지지 않도록 관리한다.

 ○ 아울러, 농기계 작업 중 몸이 나른하고 피곤해지면 집중력이 떨어지며 작은 부주의도 사고로 이어지기 쉬우니 작업 중에는 틈틈이 휴식을 취하도록 한다.

□ 박명균 예방정책국장은 “농번기를 맞아 농기계 사고의 위험이 높은 요즘, 농기계를 사용하기 전에 꼼꼼히 점검하고 농기계 작업을 할 때는 숙련자일지라도 항상 안전에 주의하여야 한다”라고 강조하였다.




[ 행정안전부 2024-05-22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273 알레르기 유발물질이 미표시된 Nissin 컵라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4.05.20
4272 로또 당첨번호 예측서비스, 소비자피해 여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4.05.29
4271 알러지원 성분이 함유된 Love raw 피넛버터 초콜릿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 2023.11.20
4270 부품 탈락으로 아동의 질식 위험 가능성 있는 Wild Republic 봉제인형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 2023.11.20
4269 미승인 성분이 함유된 Psychotic 운동 보조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 2023.12.13
4268 질식 위험이 있는 Make Believe Ideas 보드북 (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 2023.12.18
4267 질식 위험이 있는 Make Believe Ideas 보드북 (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 2023.12.18
4266 불완전 장착 가능성 있는 Salomon Summit 12 LSH 스키바인딩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 2023.12.21
4265 앞바퀴 스포크에 뒤틀려 낙상 위험 있는 Vaude 자전거 가방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 2024.01.05
4264 구독형 도시락에서 병원성 세균 검출, 소비자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 2024.04.16
4263 이물질 혼입 가능성이 있는 Patak's 가지 피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 2024.04.16
4262 알레르기 유발물질이 미표시된 Cellife 영양보충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 2024.05.20
» 바쁜 농번기, 농기계 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 2024.05.23
4260 눈 마사지기 1개 제품, 안전기준 부적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 2023.11.16
4259 감전 위험 있는 김태창 노크노크 마사지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 2023.11.20
4258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이 있는 Victor Hi-pro plus 반려견 사료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 2023.11.21
4257 다른 제품이 혼입된 오쿠라 샤인머스캣만 캔디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 2023.11.21
4256 배터리 단락 위험 있는 Aiper 수영장 청소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 2023.12.18
4255 유리 혼입 가능성 있는 MAGGI 쇠고기 육수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 2023.12.18
4254 삼킴 위험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는 ZDZBLX 자석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 2023.12.1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