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마스크, 손소독제 등 보건위생관련 품목 성장세 뚜렷 -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손문기)는 '15년 국내 의약외품 생산실적이 1조 8,562억원으로 '14년(1조 6,579억원) 대비 12% 증가했다고 밝혔다.
※ 생산실적: 1조 2,816억원('11년)→ 1조 3,204억원('12년)→ 1조 5,451억원('13년)→ 1조 6,579억원('14년)→ 1조 8,562억원('15년)
○ 메르스 등 신종 감염병 국내 유입, 대기 중 황사·미세먼지 증가 등으로 보건위생 분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치약제, 보건용 마스크 등의 생산실적 증가가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 지난해 국내 의약외품 생산실적을 분석한 결과 주요 특징은 ▲ ▲보건위생, 콘택트렌즈관리용품 관련 제품 큰 폭 상승 ▲치약제, 생리대 등 상위 5개 품목이 생산실적 대부분 차지 ▲생산실적 1위 업체, 품목 전년과 동일 등이다.

〈 보건위생, 콘택트렌즈관리용품 관련 제품 큰 폭 상승 〉
○ 보건위생 관련 제품 중 마스크는 90억원에서 190억원으로 111%나 증가했고, 손소독제 등 외용소독제는 166억원에서 339억원으로 104%, 감염병 예방용 살균소독제도 10억원에서 20억원으로 100%로 급증했다.
- 이러한 증가세는 봄철 황사와 미세먼지 발생 증가, 메르스 등 신종 감염병 국내 유입으로 위생관리 중요성이 높아지고 국민관심이 증가하여 해당 제품에 대한 수요가 많아진 것으로 보인다.
○ 또한 콘택트렌즈관리용품(콘택트렌즈 제외) 생산실적은 '15년 259억원으로 ‘14년(84억) 대비 3배 이상 증가하였는데, 이는 수입제품이 국내 생산제품으로 일부 대체되었고 패션과 미용에 관심이 높은 젊은 층의 콘택트렌즈 수요 증가가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 치약제, 생리대 등 상위 5개 품목이 생산실적 대부분 차지 〉
○ 생활 속에 많이 사용되는 치약제, 생리대, 내복용 제품, 염모제, 탈모방지제 등 5개 품목군의 생산실적은 1조 4,735억원으로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전체 생산실적의 80%를 차지했다.
○ 특히, 치약제는 ’14년(4,281억원)에 비해 29.5%나 증가한 5,545억원(‘15년)으로 전체 생산실적의 29.9%를 차지하였으며, 생리대 2,739억원(14.8%), 내복용제제 2,729억원(14.70%), 염모제 2,227억원(12.0%), 탈모방지제 1,495억원(8.1%)가 뒤를 이었다.

〈 생산실적 1위 업체, 품목 전년과 동일 〉
○ 생산실적 4위 내에 있는 업체는 ‘13년 이후 변동이 없는 가운데 (주)아모레퍼시픽(3,317억원), 엘지생활건강(2,809억원), 동아제약(주) (2,801억원), 유한킴벌리(1,216억원) 등의 순이었으며, 이들 업체의 생산실적은 전체 생산실적의 55%에 달했다.
○ 국내 생산실적 1위 품목은 ‘14년과 동일하게 동아제약(주) ‘박카스디액’(1,664억원)이었으며, ‘페리오캐비티케어플러스치약’(752억원), ‘메디안어드밴스드타타르솔루션치약맥스’(706억원), 박카스에프액(536억원)가 뒤를 이었다.
- 참고로 지난 ‘11년에 일반의약품에서 의약외품으로 전환된 ‘박카스에프액’과 ‘박카스디액’ 전체 생산액은 2,200억원으로 의약외품 생산의 11.9%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무역흑자 규모는 '15년 1,255억원으로 `14년(1,991억원) 대비 37% 감소하였는데, 이는 수출은 감소한 반면 치약제, 마스크 등 위생관련 용품, 금연보조제 등의 수입이 증가한 것이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 무역수지: 1,962억원('11년)→ 1,823억원('12년)→ 2,486억원('13년)→ 1,991억원('14년)→ 1,255억원('15년)

□ 손문기 식약처장은 “신종 감염병 발생 증가 등 사회 환경 변화로 의약외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하여 의약외품 안전기준은 강화하고 안전과 무관한 규제는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있다”고 밝혔다.

 

[식품의약품안전처 2016-06-2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675 [보도참고] 무등록 제조.판매한 감식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29 11
11674 [보도참고] 식약처, 혁신의료기기 소프트웨어 시판 후 안전관리 체계 강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22 36
11673 [보도참고] 의약품.의약외품 허가증 관리, 더욱 편리해집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29 120
11672 [보도참고] 잔류농약 기준이 초과 검출된 ‘호박씨’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9.20 54
11671 [보도참고] 카드뮴 기준 초과 수입 냉동오징어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21 34
11670 [보도참고자료] 수족구병 “예방 백신 및 치료제” 상용화 “성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07 126
11669 [부처합동] '겹삼잎국화(어린 잎과 줄기)' 새로운 식품원료로 인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18 38
11668 [부처합동] 사용금지원료 '방사성물질' 함유 수입화장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07 17
11667 [부처합동] 식약처-농식품부, 외국식료품 판매업소 합동단속 결과 발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30 8
11666 [소비자 유의사항 안내] 상해,실손보험 가입후 동일 직업 또는 직장내에서 직무만 변경되었더라도 그 사실을 보험회사에 알려야 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9.23 41
11665 [청탁금지법 바로 알기①] ‘부정청탁’이란 이런 것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09 7
11664 [청탁금지법 바로 알기④] 관련 법령 위반 계약, 정상적 거래관행 벗어난 공공기관 재화 사용 행위는‘부정청탁’에 해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28 46
11663 [해명]감염병 무서워 여행 취소했다면 환불...보도 관련_(조선비즈 2.10)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11 19
11662 `15년 국내 의약외품 생산실적 1.8조원, 지난해 대비 12%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2 125
» `15년 국내 의약외품 생산실적 1.8조원, 지난해 대비 12%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2 85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