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건강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제로 슈거’, ‘제로 칼로리’ 표시를 강조하는 이른바 ‘제로(Zero) 식품’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 국내 제로 탄산음료 시장규모는 ’20년 924억 원에서 ’22년 3,683억 원으로 약 4배 성장(마켓링크, ’23년 6월)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이 제로 식품의 당류 및 열량을 조사한 결과, 제로슈거 소주의 열량 및 당류는 일반 소주과 비교해 큰 차이가 없었다. 또한 비알코올 맥주의 ‘0.0’ 표시는 소비자 오인을 유발할 우려가 있었다

☐ 소비자의 68.6%, 제로슈거 소주 열량이 상당히 낮다고 인식
  
국내에 판매 중인 5개 종류의 제로슈거 소주를 시험 검사한 결과, 당류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비교군인 일반 소주도 당류가 100ml당 평균 0.12g으로 낮아 제로슈거 소주로 표시*가 가능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 식품등의 표시기준(식약처 고시)에 따르면, 식품 100ml당 열량 4kcal 미만일 때 무열량, 식품 100g당 또는 100ml당 당류 0.5g 미만일 때 무당류 강조표시를 사용할 수 있음.
  
제로슈거 소주의 열량은 일반 소주 대비 100ml당 최소 2.85%(2.60kcal)에서 최대 13.87%(14.70kcal)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알코올이 100ml당 최소 0.5도(2.77kcal*)에서 최대 2.6도(14.38kcal*) 낮고, 알코올 도수에 따라 열량이 차이나는 것을 고려하면 당류 차이가 소주의 열량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고 보기는 어려웠다.
 * 알코올 1g당 7kcal, 알코올 비중 0.79를 적용하여 알코올 도수 차이에 따른 열량 차이 계산
  
그러나 제로 음료 또는 주류를 구매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 2,000명을 설문한 결과, 68.6%(1,371명)는 제로슈거 소주가 일반 소주 대비 열량이 상당히 낮을 것이라고 응답해 소비자의 기대와는 차이가 있었다.

한편, 제로(제로슈거·제로칼로리) 음료 20개 제품의 경우 비교군 일반 음료와 비교해 열량은 100ml당 평균 39.83kcal(98.14%), 당류는 100ml당 평균 9.89g(99.36%) 낮아 열량과 당류 감소 효과가 컸다.

☐ 알코올 1% 미만 비알코올 맥주, 알코올이 없는 무알코올 맥주로 오인 우려

‘식품등의 표시기준*’은 음료의 알코올 함유 여부에 따라 알코올 0%는 ‘무알코올(Alcohol free, 성인용)’, 알코올 1% 미만은 ‘비알코올(Non-alcoholic, 성인용)’로 표시하도록 정하고 있다.
 * 비알코올 식품은 ‘에탄올 1% 미만 함유’ 표시를 바탕색과 구분되도록 표시하여야 함(’24.1.1.시행)
  
그러나 설문조사 결과 소비자의 57.2%(1,144명)는 무알코올과 비알코올의 의미 차이를 알지 못하고 있었고, 52.3%(1,045명)는 비알코올 표시가 알코올이 전혀 없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비알코올 맥주는 ‘0.0’, 무알코올 맥주에는 ‘0.00’ 표시가 쓰이고 있는데, 소비자의 83.0%(1,660명)가 ‘0.0’과 ‘0.00’의 차이를 알지 못한다고 응답해 소비자가 비알코올 맥주를 알코올이 없는 것으로 오인할 가능성이 더욱 컸다.
 * 비알코올 음료에는 소수점 첫째 자리까지 0이라는 의미로 ‘0.0’ 표시가, 무알코올 음료에는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0이라는 의미로 ‘0.00’ 표시가 주로 쓰이고 있음.


미국의 경우, 무알코올(Alcohol free)임을 상품 라벨에 표시하고 실제 알코올 함량이 0인 경우에만 ‘0.0’ 표시를 사용할 수 있다.


☐ 건강을 위해 제로 식품 구입, 맛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상대적으로 높아


제로 식품을 구매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건강관리에 도움이 될 것 같아서(82.1%)’가 가장 높았고, 주로 구매하는 제로 식품의 유형은 탄산음료(66.3%), 소주(10.4%), 맥주(8.8%), 이온음료(6.0%) 순이었다.

 

제로 식품의 ‘건강관리 유용성(49.1%)’ 및 ‘용기·포장 구성(36.7%)’은 긍정적인 응답이 많았으나, ‘상품명의 정보 유용성*(32.7%)’, ‘맛(24.7%)’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인식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 제로 식품의 상품명만 보고 어떤 성분이 제로인지 알 수 있는지 여부


☐ 제로 식품의 상품정보를 꼼꼼히 살펴보고 구매할 필요


설문조사 결과, 소비자의 51.7%만이 제로 식품 구매 시 영양성분 함량 등까지 자세히 살펴본 후 구매한다고 응답했다. 제로 식품 내 성분에 대한 오인을 줄이기 위해서는 구매 시 제로 상품 라벨 뒷면의 영양 정보 등을 꼼꼼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조사대상 사업자에게 ▲ 제로 식품표시 개선을 권고했고, 유관 부처와 ▲ 제로 강조표시 관련 개선방안 등에 대해 협의할 예정이다.




[ 한국소비자원 2024-05-0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399 수입식품정보마루 전자민원 정보서비스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2.01 29
5398 공동주택관리법 하위법령 개정안 입법예고…3월 5일까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1.28 29
5397 10일부터 소규모 건설현장도 안전관리계획 수립 의무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09 29
5396 안전기준에 부적합한 ‘휴대용체스5000·3000’, 자발적 회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24 29
5395 모기.진드기 등 기피제, 온라인 광고 40건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22 29
5394 건설근로자에게 최대 200만 원까지 긴급 생활안정자금 무이자 대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13 29
5393 2020년 1월 온라인쇼핑 동향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04 29
5392 불가피하게 인근 새 집으로 이사했어도 이주자택지 공급대상자로 인정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11 29
5391 어린이 기호식품 조리.판매업소 위생 수준 '양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30 29
5390 설 명절 앞두고 식품위생법 등 위반업체 135곳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21 29
5389 만 18세 미만도 온라인으로 장애인등록증 재발급 신청 가능해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14 29
5388 스키장 등 겨울철 다중이용시설 내 식품취급업소 점검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09 29
5387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상품 등의 정보제공에 관한 고시 개정안 행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27 29
5386 국공립어린이집 보육교직원 대상 직무교육으로 부모 만족도 더욱 높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11 29
5385 2019년 동계 항공편, 확인하고 타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25 29
Board Pagination Prev 1 ... 561 562 563 564 565 566 567 568 569 570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