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최근 독서실을 대체해 공부 또는 모임을 할 수 있는 스터디카페*가 대중화되면서 관련 소비자피해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 스터디카페는 대부분 무인으로 운영하기 때문에 소비자가 키오스크를 통해 이용권을 구입하는데, 이 과정에서 환불규정 등 이용 관련 안내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 독서실과 카페가 결합한 공간으로, 이용자가 시간 또는 기간에 따른 이용요금을 지불한 뒤 해당 공간을 빌려 공부 등을 할 수 있으며, 음료나 간식류를 판매ㆍ제공함.


☐ ‘계약해지 거부 및 위약금 과다 청구’ 불만이 85.6%로 가장 많아


최근 3년간(2021년∼2023년)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에 접수된 스터디카페 관련 피해구제 신청은 총 174건으로, 2023년은 전년 대비 40.0% 증가했다.


피해구제 신청 건(174건)을 분석한 결과, 불만 유형별로는 사업자의 ‘계약해지 거부 및 위약금 과다 청구’가 85.6%(149건)로 대다수를 차지했고, 이어 ‘계약불이행’ 6.3%(11건) 등의 순이었다.


‘계약해지 거부 및 위약금 과다 청구’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 사업자가 자체 규정을 이유로 ‘환불 불가’를 주장하거나(35건), ▲ 위약금 과다 청구(31건), ▲ 단순 환불 거부(30건) 등이 주를 이루었다.


☐ 대전 스터디카페, 37.1%가 중도 해지 시 환불 어려워

한국소비자원 대전세종충청지원과 충남대학교가 대전광역시에 있는 스터디카페 35개소를 공동 조사한 결과, 조사대상의 68.6%(24개소)에서 키오스크로 이용권을 결제할 때 환불 관련 내용을 확인할 수 없었다.

또한, 매장 내 공지를 확인하거나 사업자에게 직접 설명을 듣는 방식으로 중도 해지 시 환불 가능 여부를 조사한 결과, 62.9%(22개소)는 ‘자체 규정에 따라 환불이 가능’했으나, 37.1%(13개소)는 환불이 불가했다.

☐ 스터디카페 이용자의 97.5%가 무인 매장 이용

스터디카페 이용 경험이 있는 대학생 203명에게 설문한 결과, 97.5%(198명)가 관리자가 없고 키오스크로 결제하는 무인 매장을 이용했다고 응답했다.

이용 형태별로는 ‘당일권’을 구매한 경우가 과반인 51.2%(104명)였고, 다음으로 ‘시간권’ 26.1%(53명), ‘기간권’ 11.8%(24명) 등의 순이었다.

이용권의 종류에 상관없이 최초 결제한 금액은 ‘5천 원에서 1만 원’이 40.4%(82명)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5천 원 이내’ 18.2%(37명), ‘5만 원에서 10만 원’ 14.8%(30명) 등의 순이었다.

☐ 사전에 정확한 이용내용, 환불규정 등 확인 필요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에게 ▲이용기간(시간) 및 내용을 잘 살펴보고, ▲장기 이용권 구입 시 사업자의 설명 또는 매장 공지를 통해 이용약관과 환불규정을 꼼꼼히 확인하며, ▲추후 분쟁 발생에 대비해 이용대금이 20만 원을 넘는 경우 가급적 신용카드 할부 결제를 이용할 것 등을 당부했다.


[ 한국소비자원 2024-04-2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093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2016.12.9~2016.12.15)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75 2016.12.19
4092 에어로졸 제품 사용 부주의시 화재·폭발 우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75 2016.12.21
4091 [보도자료] 국표원, 전기매트, 온열팩 등 52개 겨울용품 리콜명령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64 2016.12.22
4090 패류독소 발생 및 검사현황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16 2016.12.23
4089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2016.12.16~2016.12.22)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97 2016.12.26
4088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2016.12.23~2016.12.29)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51 2017.01.02
4087 2016년 6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94 2017.01.04
4086 2016년 7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71 2017.01.04
4085 2016년 2/4분기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52 2017.01.04
4084 2016년 5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80 2017.01.04
4083 2016년 8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68 2017.01.04
4082 2015년도 소비자위해정보 주요통계분석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06 2017.01.04
4081 2016년 9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65 2017.01.04
4080 2016년 3/4분기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62 2017.01.04
4079 2016년 10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61 2017.01.04
4078 2016년 11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55 2017.01.04
4077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7.1.2.∼2017.1.5.)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38 2017.01.09
4076 패류독소 발생 및 검사현황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86 2017.01.12
4075 다운이불, 표시부적합에 따른 환급·교환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23 2017.01.17
4074 설명자료(한국일보 『미국산 계란 유통기한 30일? 45일? 60일?』보도관련)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08 2017.01.24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